천체 스케치/사진 ~☆+

  • Harold Hill 따라하기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2901, 2013-04-09 00:13:54(2010-02-09)

  • 나를 Deep-sky 관측에 미치게 한 애가 1996년의 M22라면,

    나를 스케치라는 깊은 구렁텅이에 빠뜨린 주범은 2009년의 Harold Hill 할아버지이다

    1989년作 Cassini 스케치 한 장은 나에겐 실로 엄청난 충격으로 다가왔다

    (윤정한 형님이 추구하는 완벽한 스케치를 접할 때와는 그 느낌이 틀린 것이다)

    책상에 앉아 한참 꾸벅꾸벅 졸다가, 찬물 세례를 받고 갑자기 화들짝 놀라서 정신을 차리는 것처럼,

    몇년간을 주저하던 스케치라는 행위를 더이상의 주저 없이 실행하도록 만드는 힘이 그의 그림에는 있었다


    연필로 달도 그려보고, 파스텔로 성운도 그려보고..

    이제 몸과 마음의 준비가 되었다고 판단하여 펜촉과 잉크를 사서 Harold Hill의 그림 한 장을 놓고 모작(模作)을 만든다

    얼마나 그려보고 싶었던 기법인가. 얼마나 궁금해하던 화풍이던가.

    두꺼운 켄트지에 펜으로 점을 하나씩 찍어 나간다

    끝도없이 점을 찍다보니 한가지 생각이 확고해진다....

    '이 사람.. JP정 보다도 더한 사람이구만.. 폐혁신 급은 될 거 같아.. ㅡ_ㅡ;;;'


    다른 취미도 그럴까?

    별보기 외에는 가져본 취미가 없어서 잘 모르겠지만,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해보자면....

    어떤 취미 분야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성과를 거두려면

    일반 사람들이 생각하는 상식 밖의 노력이 필요한 것 같다.  

    '세상에 이런 일이'에 나올 정도의 노력은 되어야 할까? ㅡ_ㅡ;;


    나는 그래서, 별보기라는 취미가 참 좋다 (취미라고 할 수는 없지만..)

    내 일상에서 보편적인 상식을 벗어나는 일을 할 기회는 이것밖에 없는 것 같다

    그렇다고 '일상의 탈출구'라는 표현은 어울리지 않는다

    별보기는 '일상' 그 자체니까..... ㅡ_ㅡㅋㅋㅋㅋ


    펜화는, 확실히 impact가 있다

    그렇게 표현하고 싶던 깊고 깊은 어두운 그림자가 완벽하게 표현이 된다

    (어렵지만) 명암 계조의 표현도 어떤 테크닉보다 효과적이다

    그리고 어떠한 경우에도 undo는 없다

    잉크로 그린 그림을 어떻게 지우나.. =_=

    그저 정직하고 충실하게 수천개가 되었건 수만개가 되었건 무수한 점을 찍어나가는 수밖에 없다

    그나마도, 단 한번도 실수를 하면 안 되기에.. 온몸의 모든 신경을 모아서 점찍기에 집중해야 한다

    잔머리 굴리기를 좋아하는 nightwid로서는 마음에 안 드는 일이지만, 그 결과의 호소력은 이견을 달 수 없게 만든다


    내가 만든 말인지 어디서 들은 말인지 잘 모르겠는데,

    내가 신봉하는 문장 중에 하나를 적어보련다

    비유가 잘 안 맞을지도 모르겠지만.. 나에게 펜으로 그린 달 그림 한 장은 이렇게밖에 표현할 수가 없다

    "카리스마는 실력으로부터 나온다"


    Neper_res_1002.jpg

댓글 4

  • 김남희

    2010.02.10 08:14

    단 한번의 실수도 안되는 작업이었군요.
    그럼 잔 머리 굴리기에 더 훈련이 될수도 있지않나...ㅋㅋ

    실력이 눈에 띄게 발전 되는 것 같습니다.
    외국 신문이나 잡지의 삽화를 보는 느낌도..
    쌍꺼풀 진한 아저씨가 낮잠 자는 모습으로도 보여요..^^
  • 유혁

    2010.02.10 17:59

    달, 별, 은하 전문 화가... 뭐 그런 길로 접어드는게 아닌가 싶은데요? ^^;;

    나중에 "천체 전문화가 조강욱 전시회" 라도 해보면 어떨까요? ㅎㅎㅎ



  • 조강욱

    2010.02.10 18:20

    남희님 - 잔머리를 억제하고 성실하게 작업을 해야 하니 좀 답답한 점이 있습니다

    쌍꺼풀 아저씨가 어디 누워있나.. 한참을 봤는데, '거기' 있군요.. ^^;;
  • 조강욱

    2010.02.10 18:22

    유혁님 - '화가'라는 명칭은 전혀 어울리지 않습니다.. ㅎㅎ

    다만, 가까운 미래에 저 혼자 말고 여럿이서 '야간비행 project 발표회' 같은 것은 열어보고 싶습니다

    스케치 그림, 싟형님의 채색화, 자작 프로젝트, 미니어처 등.. 재미있는 작업이 될 것 같습니다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018
  • 스케치
  • 삼렬, 삼열, 삼엽, Trifid, M20, 20번.. 삼렬성운이란 것은 대체 무슨 뜻일까? 무언가 궁금한 것을 참지 못하는 내가 궁금했다가 까먹고를 반복하다가 궁금한지 십여년만에 그 어휘를 네이버 사전으로 찾아 보았다 삼엽(이파리 세 개)의 오타가 굳어진 것일 거라는 확신...
2016-09-30 02:51:20 조강욱 / 2016-09-23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6393
  • 스케치
  • 안녕하세요? 미술을 배우기 시작한지 6개월째~ 드디어 화실에서 크레이터를 그렸습니다. 첫 대상은 바닥이 비교적 편평해서 묘사하기 쉬울 것 같은 - Plato ㅋㅋㅋ (사진 보고 그린 겁니다. 크레이터를 이렇게 자세히 관측할 망원경은 없ㅋ음ㅋ) 2016년 9월 7일 기존에 ...
2016-09-27 03:39:11 관심은하 / 2016-09-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932
  • 스케치
  • 지인 중에는 내가 110개의 메시에 대상에 대한 글을 모두 써 놓고 하루 하나씩 올리는 줄 알고 있는 분도 있다는.. ㅎ;; 그러면 참 좋겠지만.. 밤마다 11시 반쯤 노트북 앞에 앉아서 오늘은 무슨 얘기를 쓰나 반쯤은 이미 잠에 취해서 의식의 흐름에 따라 글을 쓰다가 ...
2016-09-22 07:27:33 이름없는별 / 2016-09-2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20
  • 스케치
  • 하늘에는 자리 잘못 잡아서 손해 보는 애들이 있다. 메시에 중에도 말이다 13번 옆의 92번, 57번 옆의 56번 같은 애들.. 그리고 17번 옆의 18번도 마찬가지다 (아래 사진의 중앙 좌측은 17번, 오른쪽의 조금 밝은 별들이 모여 있는 애들이 18번이다 출처 : http://sweag...
2016-09-20 02:28:40 조강욱 / 2016-09-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408
  • 스케치
  • 천체 스케치를 주제로 이렇게 별 대책 없는 하루살이 칼럼을 메시에 110편 완주를 목표로 하루하루 써나가고 있지만 2009년까지만 해도 천체 스케치는 그저 ‘하면 좋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막상 하려니 엄두가 나지 않는’ 그런 일이었다 매일 빼먹지 않고 어학 공부를 ...
2016-11-27 11:33:06 / 2016-09-14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6013
  • 스케치
  • 눈을 사물에 고정시킨 채 그림을 그리는 기법 - 블라인드 컨투어 드로잉은 관찰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훈련법이지만 왠지 두려움이 느껴진다는 것이 천체스케치와 비슷합니다. 이번에는 그 심리적 장벽을 넘어보고 싶어서 월령 10일의 달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드로잉 ...
2016-09-20 02:26:47 조강욱 / 2016-09-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15
  • 스케치
  • 밤하늘에는 안시용 대상과 사진용 대상이 있다 물론 밤하늘의 성자 57번처럼 안시로도 사진으로도 모두 만족스러운 대상도 있지만 말이다. 나는 안시쟁이라 장시간 노출로만 화려하게 나오는 희미한 성운류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아무리 해도 사진 만큼의 감동을 느끼...
2016-09-14 07:48:37 / 2016-09-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631
  • 스케치
  • 15번은 가을 하늘에서 가장 찾기 쉬운 구상성단이다. 페가수스의 가장 눈에 띄는 별인 Enif 바로 근처기 때문이다 보이는 모습 또한 그냥 저냥 준수하고 말이다 (뱀주인 구상 애들처럼 히마리 없지는 않다) 물론 그 크기와 밝기는 더 남쪽의 M2를 능가할 수 없지만.. 지...
2016-09-20 02:23:38 조강욱 / 2016-09-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567
  • 스케치
  • 14번을 찾아가는 길은 쉽지 않다 1년에 한 번(메시에마라톤) 밖에 찾지 않아서 이기도 하고 호핑 루트에 밝은 별이나 특징적인 별무리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흠 그럼 보이는 모습은? 그렇게 대충 봐서 기억이 날 리가 없지 2014년 여름휴가는 횡성의 천문인마을에서 ...
2016-09-14 07:48:09 조강욱 / 2016-09-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54
  • 스케치
  • 북반구 중위도에 사는 관측자에게 M13은 특별한 존재이다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보기 좋은 구상성단’이기 때문이다. 과연 진짜로 그럴까? 전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구상성단부터 순서를 매겨 보자. 13번의 위치는 Top 5에도 들지 못하고 겨우 7번째에 이름을 올리고 ...
2016-09-08 05:11:55 조강욱 / 2016-09-0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