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15] 우주의 평화(Pease)를 찾아서 [스케치]
  • 조회 수: 10619, 2016-09-20 02:23:38(2016-09-08)


  • 15번은 가을 하늘에서 가장 찾기 쉬운 구상성단이다.

     

    페가수스의 가장 눈에 띄는 별인 Enif 바로 근처기 때문이다

     

    보이는 모습 또한 그냥 저냥 준수하고 말이다

     

    (뱀주인 구상 애들처럼 히마리 없지는 않다)

     

     

    물론 그 크기와 밝기는 더 남쪽의 M2를 능가할 수 없지만..

     

    지정학적 편리성으로 오히려 인기는 더 좋을 듯.


     

    [ M15 & Pease1 - 인제 상남면에서 조강욱 (2011) ]

    m15.jpg

     

     

    15번은 직시(Direct vision)로 볼 때와 주변시(Averted vision)로 볼 때의 크기 차이가 많이 나는 대상이다

     

    보통 주변시를 쓸 일이 없는 밝은 메시에 구상성단 중에서는 특이한 현상이다

     

    직시로 보면 작아졌다 주변시로는 커지고 직시로는 다시 작아지고..

     

    (아래 설명에서 노란색 원 안의 별들이 보였다가 사라졌다가..)

    M15_des.jpg

     

     

    Blinking Nebula로 유명한 백조자리 행성상성운 NGC6826에 빗대어 생각해보면

     

    Blinking Cluster라고 부를 수 있지 않을까?

     

     

    사실 M15는 Blinking Method라는 나름 최고급 기술(?)을 적용해야 하는 대상이다

     

    바로 성단 내의 행성상성운, Pease1을 보기 위함이다.

     

    이건 시선방향에 겹쳐 보이는 것이 아니라 정말로 구상성단 내에 위치한 행성상성운이다

     

    전 하늘에 단 4개 뿐인 행성상성운 품은 구상성단..


    (이건호 作, 2004년)

     

     

    그러나 그것을 보는 것은 일반적인 노력으로는 불가능하다

     

    구상성단의 별들을 하나하나 분해해서 그 중에서 행성상성운 원반을 찾아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대략적인 순서를 보면 이렇다

     

    M15 한쪽 구석에서 사다리꼴을 찾는다


         

     


    사다리꼴을 이용해서 A~E까지 찾는다


           

     


    E에서 이동방향으로 28“ 이동하여 별이 아닌 무언가를 찾는다


        

     


    참 쉽죠?

    ross.jpg

     

     

    현실은.. 어지간한 날에는 시작점인 사다리꼴 조차 찾을 수 없는 날이 대부분..

     

    ~이 되는 날이면 (1년에 몇 번씩은 시상도 투명도도 좋은 날이 있다)

     

    이제 마지막 단계의 기술을 걸어야 하는데.. 이것이 Blinking Method이다

     

    행성상성운 관측의 치트키인 O필터를 아이피스에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피스와 눈 사이에서 손으로 O를 반복적으로 넣었다 뺐다 하는 것이다

     

    눈 앞에 O가 있으면 별빛은 죽고 행성상성운만 밝아지고

     

    O를 치우면 순간적으로 별빛이 밝아지고 행성상성운은 어두워진다

     

    이것을 1초 단위로 반복하면 행성상성운만 깜빡깜빡.. 구상성단의 별빛은 반대로 빡깜빡깜..

     

     

    2001년에 나의 스케치 스승인 윤정한님께 지나가는 말로 들은

     

    “15인치면 Pease1 정도는 봐야 하는거 아니야?” 한 마디에

     

    10년을 Pease1을 쫓아다니다가

     

    2011년 어느 맑은 날 인제 어느 깊은 산속에서 암막을 뒤집어쓰고 한시간여를 깜빡깜빡...

     

     

     





















    쪼그라든 성단 한 귀퉁이에서 작은 혹이 하나 튀어나온 것을 확인하고서

     

    pease1.jpg


     

    오랫동안 같이 Pease1을 찾아 헤메던 이한솔님과 얼싸안고 기쁨과 감격을 나누었다

     

    사방 수십 km에 아무도 없을 그 외딴 산속의 새벽에 말이다.

     

     

    하아.. 대체 Pease1은 왜 봐야 하는 것일까?

     

     

     

     


    pease1_nightwid.jpg

     


    ※ Pease1에 대한 자세한 얘기는 아래 링크로 대신한다

    찾는 방법 http://www.nightflight.or.kr/xe/inform/30445

    관측 기록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3742





                                                              Nightwid 無雲


댓글 2

  • 김남희

    2016.09.09 17:10

    이 세상에는 Pease1을 본 사람과 안본 사람 둘로 나뉜다죠....ㅎㅎ
  • 조강욱

    2016.09.20 02:23

    ㅋㅋㅋ 앞자리에 끼어서 다행이네요 ㅠㅠ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597
  • 스케치
  • 밤하늘에는 안시용 대상과 사진용 대상이 있다 물론 밤하늘의 성자 57번처럼 안시로도 사진으로도 모두 만족스러운 대상도 있지만 말이다. 나는 안시쟁이라 장시간 노출로만 화려하게 나오는 희미한 성운류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아무리 해도 사진 만큼의 감동을 느끼...
2016-09-14 07:48:37 / 2016-09-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619
  • 스케치
  • 15번은 가을 하늘에서 가장 찾기 쉬운 구상성단이다. 페가수스의 가장 눈에 띄는 별인 Enif 바로 근처기 때문이다 보이는 모습 또한 그냥 저냥 준수하고 말이다 (뱀주인 구상 애들처럼 히마리 없지는 않다) 물론 그 크기와 밝기는 더 남쪽의 M2를 능가할 수 없지만.. 지...
2016-09-20 02:23:38 조강욱 / 2016-09-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560
  • 스케치
  • 14번을 찾아가는 길은 쉽지 않다 1년에 한 번(메시에마라톤) 밖에 찾지 않아서 이기도 하고 호핑 루트에 밝은 별이나 특징적인 별무리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흠 그럼 보이는 모습은? 그렇게 대충 봐서 기억이 날 리가 없지 2014년 여름휴가는 횡성의 천문인마을에서 ...
2016-09-14 07:48:09 조강욱 / 2016-09-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33
  • 스케치
  • 북반구 중위도에 사는 관측자에게 M13은 특별한 존재이다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보기 좋은 구상성단’이기 때문이다. 과연 진짜로 그럴까? 전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구상성단부터 순서를 매겨 보자. 13번의 위치는 Top 5에도 들지 못하고 겨우 7번째에 이름을 올리고 ...
2016-09-08 05:11:55 조강욱 / 2016-09-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125
  • 스케치
  • 뱀주인자리 정중앙에는 10번과 12번이 위치하고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별만 드문 것이 아니라 인적도 드물지만 말이다 문제 : 뱀주인이 매력이 없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다음 중 맞는 것을 고르시오 ( ) 1. 비슷비슷하게 생긴 구상성단들만 모여 있어서 2. 호핑...
2016-09-08 05:12:46 조강욱 / 2016-09-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114
  • 스케치
  • M11은 35번과 함께 메시에 산개성단 중에서 가장 화려한 아이다 호핑 위치마저 쉬워서 초보든 고수든 가릴것 없이 여름밤 관측지에 도착하면 망원경을 세팅하고 11번을 스윽 잡고 "우와!" 감탄사 한 번 날려주는 것부터 오늘의 관측을 시작하는 것이 대부분의 별쟁이들...
2016-09-08 05:21:20 조강욱 / 2016-08-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183
  • 스케치
  • 10번은 뱀주인자리 5형제(비록 노잼 5형제지만) 중의 맏형이다. 북천 트로이카 13번, 5번, 3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아이지만 말이다 그렇다 해도 볼 것이 없는 것은 아니다 모든 구상성단은 저마다의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그 중 10번은 구상 중에서도 참 ...
2016-09-08 05:25:37 조강욱 / 2016-08-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31
  • 스케치
  • 원래 계획은 메시에 110개 스케치를 모두 완성한 다음 날부터 칼럼 연재를 시작하려 했는데, 별 이유 없이 차일피일 미루게 된 것은 M9번 때문이었다 흠 그래 1번은 1054년 얘기 쓰고 2번은 꽃게 쓰고 3번은 고속도로 4번은 하트... 하다 보니.. 9번은 뭘 쓰지? 쓸 말이...
2016-08-30 07:49:18 조강욱 / 2016-08-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955
  • 스케치
  • 석호가 대체 무얼까? 20년이 넘도록 말하고 들어왔던 그 용어, 석호성운. 그게 대체 무언지 너무나 궁금해졌다 결국 네이버에서 한참을 뒤져서 겨우 대충 이해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경포대 앞의 경포호가 대표적인 석호인데, 원래는 해안선의 일부였으나 해안에 퇴적...
2016-08-27 09:16:26 / 2016-08-27
thumbnail
  • 정병호 조회 수: 9881
  • 스케치
  • 2003년에 그린 것들입니다. 조자폐님의 스케치를 보고 생각이 나서 올립니다. 셋 다 3시간 반 정도 걸렸습니다. M7 은 그리면서도 좀 문제 있다 생각했는데, 고치자니 너무 방대한 작업이 되겠길래 그냥... ㅎㅎ 스케치 하는 사람의 자세가 아니에요 ㅋㅋ
2016-08-30 07:55:00 조강욱 / 2016-08-2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