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8] 근데 석호성운은 왜 석호일까? [스케치]
  • 조회 수: 12955, 2016-08-27 09:16:26(2016-08-27)


  • 석호가 대체 무얼까?

     

    20년이 넘도록 말하고 들어왔던 그 용어, 석호성운.

     

    그게 대체 무언지 너무나 궁금해졌다

     

    결국 네이버에서 한참을 뒤져서 겨우 대충 이해할 수 있었다


    석호.jpg

     

    예를 들면 경포대 앞의 경포호가 대표적인 석호인데,

     

    원래는 해안선의 일부였으나 해안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바다의 일부였던 곳이 호수가 된 것이다.

     

    그건 그렇고..

     

    이게 얘랑은 무슨 관계일까?

     

    의문.JPG

     


    흠 그럼 이건 어떨까. 석호의 영어 이름 Lagoon.


    Lagoon.jpg

     

    이건 왠지 신혼여행 가서 많이 본 것 같긴 한데..

     

    차라리 경포호보다는 이게 더 비슷한 것 같다

     

     

    그건 그렇고, 나는 성운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42번이나 17번 같은 밝고 밀집된 성운은 예외,

     

    8, 16번 같은 퍼져 있는 흐릿한 구름들을 뜯어 보는 것은 그다지 내키지 않는다


    다른 별쟁이들보다 둔감한 눈을 가진 것도 한 가지 이유일 것이다

     

    그래서 그 유명한 8번 석호성운을 눈여겨서 오랫동안 봐준 적이 언제인지 기억도 잘 나지 않는다

     

     

     

    하지만 흐릿한 성운류는 싫어하면서 이상하게 암흑성운에는 관심이 많아서,

     

    M8에서도 딱 하나 보고 싶은 것은 있었다. 벌써 18년이 된 버킷 리스트, Barnard 88!


     

    1999년 여름, 나는 군대에 있었다.

     

    대학 입학하고서 당구도 안치고 미팅도 안하고 공부도 안하고 별만 보러 다니다가

     

    1점대 학점을 받고서 친구들보다 먼저 군대에 조기입대를 하게 되었는데..

     

    강원도 가면 별은 실컷 보겠다고 내심 기대하고 있었으나

     

    논산 훈련소에서 전방으로 기차를 타고 가다가 중간에 내려서 새벽에 봉고차를 타고 도착한 곳은 서울 용산이었다.

     

    물론, 용산의 하늘에서는 우리 집보다도 보이는 것이 없었다.

     

    어쨌든 우리 부대(*)의 시계는 소문대로 잘만 흘러서 어느새 고참이 되어

     

    드디어 정신을 차리고 사회(?)에 나갈 걱정을 하게 되었고..

     

    영어공부를 한다는 명목으로 Sky & Telescope 지를 정기구독하여

     

    내무실을 구르며 그림만 열심히 보다가

     

    1999년 여름에 암흑성운 특집을 만나게 되었다

     

    그 기사에 나온 Barnard 암흑성운들은 몇 년 내로 거의 다 보았는데,

     

    단 하나, Black comet B88만은 넘사벽이었다

     

    요거.JPG

     


    성운기가 이렇게 풍성해야 성운을 가리는 검은 혜성을 볼 수 있을텐데

     

    안시로 저 넓은 성운기를 보는 것 자체가 너무나 힘든 일이다

     

    그래서 궁수와 은하수가 잘 보이는 날이면

     

    석호성운이 얼마나 크게 보이나 망원경으로 슬쩍 한번 보고서

     

    완전 대박이 아니다 싶으면 그냥 지나치는 것이다.

     

     

    20166월도 그리 시원치는 않은 날이었다

     

    그런데 이제는 더 이상 미룰 수가 없게 되었다

     

    메시에 110개 대상 스케치 완주에 824번 딱 두 개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일 그릴 엄두가 나지 않던 두 개)

     

     

    젤리펜으로 에토스 시야에 보이는 별들을 모두 찍어놓고,

     

    UHC를 장착하고 또 한참을 그냥 마냥 바라본다

     

    필름이나 CCD처럼 내 눈도 빛을 오래 축적해야 더 선명하게 보이나보다

     

     

    EQ 플랫폼을 여러번 리셋하고 나서야 (EQP1시간마다 리셋을 해야 한다)

     

    그제서야 겨우 파스텔을 들고 성운기를 그려 나가기 시작한다.



    [ B88 없는 M8,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 - 조강욱 (2016) ]

    M8.JPG  


     

    성운은 (나에겐) 참 어렵다

     

    어디까지 그려야 할지 어디까지 도전해야 할지 얼마나 섬세하게 봐줘야 할지 잘 모르겠다

     

    그래도 스케치를 하며 그동안 잘 몰랐던 8번을 더욱 자세히 알게 되었다

     

    (M8 주요구조 설명)

    8_des.JPG

     

     

    그래봤자 잘 찍은 천체사진의 절반 정도밖에는 보지 못했지만 말이다

     

    (연두색 원 안이 내가 관측한 영역)

    8_ori.JPG

     

     

    언젠가는 Barnard 88, 검은 혜성을 주먹만하게 볼 수 있는 날이 있을 것이다

     

     




     

                                        26 Aug 2016

                                        Nightwid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597
  • 스케치
  • 밤하늘에는 안시용 대상과 사진용 대상이 있다 물론 밤하늘의 성자 57번처럼 안시로도 사진으로도 모두 만족스러운 대상도 있지만 말이다. 나는 안시쟁이라 장시간 노출로만 화려하게 나오는 희미한 성운류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아무리 해도 사진 만큼의 감동을 느끼...
2016-09-14 07:48:37 / 2016-09-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619
  • 스케치
  • 15번은 가을 하늘에서 가장 찾기 쉬운 구상성단이다. 페가수스의 가장 눈에 띄는 별인 Enif 바로 근처기 때문이다 보이는 모습 또한 그냥 저냥 준수하고 말이다 (뱀주인 구상 애들처럼 히마리 없지는 않다) 물론 그 크기와 밝기는 더 남쪽의 M2를 능가할 수 없지만.. 지...
2016-09-20 02:23:38 조강욱 / 2016-09-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560
  • 스케치
  • 14번을 찾아가는 길은 쉽지 않다 1년에 한 번(메시에마라톤) 밖에 찾지 않아서 이기도 하고 호핑 루트에 밝은 별이나 특징적인 별무리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흠 그럼 보이는 모습은? 그렇게 대충 봐서 기억이 날 리가 없지 2014년 여름휴가는 횡성의 천문인마을에서 ...
2016-09-14 07:48:09 조강욱 / 2016-09-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33
  • 스케치
  • 북반구 중위도에 사는 관측자에게 M13은 특별한 존재이다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보기 좋은 구상성단’이기 때문이다. 과연 진짜로 그럴까? 전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구상성단부터 순서를 매겨 보자. 13번의 위치는 Top 5에도 들지 못하고 겨우 7번째에 이름을 올리고 ...
2016-09-08 05:11:55 조강욱 / 2016-09-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125
  • 스케치
  • 뱀주인자리 정중앙에는 10번과 12번이 위치하고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별만 드문 것이 아니라 인적도 드물지만 말이다 문제 : 뱀주인이 매력이 없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다음 중 맞는 것을 고르시오 ( ) 1. 비슷비슷하게 생긴 구상성단들만 모여 있어서 2. 호핑...
2016-09-08 05:12:46 조강욱 / 2016-09-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114
  • 스케치
  • M11은 35번과 함께 메시에 산개성단 중에서 가장 화려한 아이다 호핑 위치마저 쉬워서 초보든 고수든 가릴것 없이 여름밤 관측지에 도착하면 망원경을 세팅하고 11번을 스윽 잡고 "우와!" 감탄사 한 번 날려주는 것부터 오늘의 관측을 시작하는 것이 대부분의 별쟁이들...
2016-09-08 05:21:20 조강욱 / 2016-08-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183
  • 스케치
  • 10번은 뱀주인자리 5형제(비록 노잼 5형제지만) 중의 맏형이다. 북천 트로이카 13번, 5번, 3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아이지만 말이다 그렇다 해도 볼 것이 없는 것은 아니다 모든 구상성단은 저마다의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그 중 10번은 구상 중에서도 참 ...
2016-09-08 05:25:37 조강욱 / 2016-08-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31
  • 스케치
  • 원래 계획은 메시에 110개 스케치를 모두 완성한 다음 날부터 칼럼 연재를 시작하려 했는데, 별 이유 없이 차일피일 미루게 된 것은 M9번 때문이었다 흠 그래 1번은 1054년 얘기 쓰고 2번은 꽃게 쓰고 3번은 고속도로 4번은 하트... 하다 보니.. 9번은 뭘 쓰지? 쓸 말이...
2016-08-30 07:49:18 조강욱 / 2016-08-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955
  • 스케치
  • 석호가 대체 무얼까? 20년이 넘도록 말하고 들어왔던 그 용어, 석호성운. 그게 대체 무언지 너무나 궁금해졌다 결국 네이버에서 한참을 뒤져서 겨우 대충 이해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경포대 앞의 경포호가 대표적인 석호인데, 원래는 해안선의 일부였으나 해안에 퇴적...
2016-08-27 09:16:26 / 2016-08-27
thumbnail
  • 정병호 조회 수: 9881
  • 스케치
  • 2003년에 그린 것들입니다. 조자폐님의 스케치를 보고 생각이 나서 올립니다. 셋 다 3시간 반 정도 걸렸습니다. M7 은 그리면서도 좀 문제 있다 생각했는데, 고치자니 너무 방대한 작업이 되겠길래 그냥... ㅎㅎ 스케치 하는 사람의 자세가 아니에요 ㅋㅋ
2016-08-30 07:55:00 조강욱 / 2016-08-2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