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6] 구상형 산개성단 [스케치]
  • 조회 수: 14582, 2016-08-30 07:59:13(2016-08-24)


  • 나에게는 6번, 7번과의 강렬한 첫 만남의 기억이 있다

    벌써 햇수로 20년 전, 서울의 내 방에 누워 있어도 창문 유리를 통과하여 헤일밥이 보이던 시절이었다 

    그 혜성이 절정기를 보내던 1997년 4월, 나는 학교 수업도 제대로 듣지 않고 매일 헤일밥 보러 다닐 생각만 했었는데.. 

    (결국 선동렬 수준의 학점을 받고 조기 군입대를.. ㅠ_ㅠ)

    하루는 아버지를 운전기사 삼아서, UAAA 96학번 동기들과 ‘엄청나게 어두운 곳’이라 소문이 난 

    강원도 횡성의 '덕사재'란 곳으로 그 혜성을 찍으러 갔다 

    (그 당시에는 슬라이드 필름 가지고 찍기도 많이 했는데, 헤일밥 덕분에 사진에 재능이 없음을 빨리 깨닫고 조기에 사진을 포기하게 되었다)

    Screenshot_2016-06-14-14-06-51.png 


    혜성이 진 뒤, 새벽녘 덕사재 고갯길에 뜬 전갈은 

    아름다움을 넘어 무서울 정도였다. 땅 위의 사람들에게 바로 독침을 날릴 것만 같은....

    그리고 전갈의 독침, Shaula에서 바로 왼쪽으로는 구상성단 두 개가 육안으로도 아름답게 빛나고 있었다.

    Screenshot_2016-06-14-13-57-45.png 


    흠~~ 눈으로 M13만하게 보이는 구상성단이라.. 이게 뭘까? 

    아직 메시에도 절반 정도밖에 보지 않은지라 그런 애들도 있겠지 하고 다시 셔터 누르는 데에만 집중했는데 

    (사진 찍는다고 성도도 안 가져갔다)

    나중에 집에 와서 찾아보니 그게 M7과 M6이었다

    하지만 그 후로 ‘육안으로 보이는 두 개의 구상성단’의 모습은 다시 보기 쉽지 않았다

    첫 만남이 너무 강렬해서일까? 아니면 하늘이 더 안 좋아져서 그런 것일까?


    메시에 스케치 완주가 종착점에 다다를 즈음, 수피령에서 

    아주 오랫만에 M6을 만났다. 

    (물론, 구상형 산개성단은 아니었다. 파인더로 쉽게 찾긴 했지만..)


    대학생 시절 어딜 가나 밤보석을 끼고 다니며 ‘아무 페이지나 펼쳐서 외우기‘ 라는 무식한 놀이를 몇 년간 하면서


    나에겐 많은 고정 관념이 생기게 되었는데..

    그 중 하나는, 6번은 나비 모양이라는 것이다. (밤보석 해당 페이지 : http://www.nightflight.or.kr/xe/jewel/30728 )

    M6_des.JPG


    7번이나 6번이나 모두 육안으로 보이는 아이들인데,

    기원전부터 관측기록이 있는 7번에 비해 6번이 메시에 시절이나 되어서야 발견된 이유는 무엇일까? (메시에가 발견한 것은 아님)

    덕사재에서도 맨 눈으로 구상성단처럼 보였는데 말이야..


    [ M6, 검은 종이에 젤리펜 - 조강욱 (2016) ]
    M6_160610_ori.JPG

    여러분에겐 무엇이 보이시나요?


    참, 구상형 산개성단 7번과 6번을 보았던 덕사재 언덕에는 그 몇 년 후 천문인마을과 NADA 천문대가 건설되었다







                                                                             2016. 8. 23
                                                                             Nightwid 無雲


댓글 2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034
  • 스케치
  • M7은 기원전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온 유서 깊은, 밝은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육안으로 보이는 모습은 항상 아쉬움만 자아낼 뿐.. 원래 어떻게까지 보여야 할지 알기 때문이다. 아는게 병일까.. 7번은 적위 -34.5도로 메시에 110개 대상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대상이...
2016-08-25 19:44:30 / 2016-08-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582
  • 스케치
  • 나에게는 6번, 7번과의 강렬한 첫 만남의 기억이 있다 벌써 햇수로 20년 전, 서울의 내 방에 누워 있어도 창문 유리를 통과하여 헤일밥이 보이던 시절이었다 그 혜성이 절정기를 보내던 1997년 4월, 나는 학교 수업도 제대로 듣지 않고 매일 헤일밥 보러 다닐 생각만 했...
2016-08-30 07:59:13 조강욱 / 2016-08-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34
  • 스케치
  • 음악을 사랑하시는 한솔형님께 여쭈어 보았다. 들으면 별이 생각나는 음악이 있는지? 질문과 동시에 얻은 답은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이었다 바로 집에서 브란덴부르크 5번 연주 동영상을 찾아서 들어본다. 나는 어떤 별이 생각날지.. 5번 1악장 후반부, 피...
2016-08-30 09:34:39 관심은하 / 2016-08-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0484
  • 스케치
  • 4번은 메시에 구상성단 중 가장 헤픈 아이일지도 모른다 그냥 막 다 보여주는 놈이기 때문이다 (밤하늘의 성자, 구상 계의 57번이라고 할까?) 우리가 너무 잘 보인다고 달을 홀대하는 것처럼, 우리는 M4를 잘 뜯어보려는 노력 또한 잘 하지 않는다 그저 성단 중심부의 ...
2016-08-23 06:51:48 조강욱 / 2016-08-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476
  • 스케치
  • 나에게는 M3에 대한 큰 고정관념이 있었다 바로 나의 스케치 스승님인 윤정한님의 2003년 스케치 때문이다. 무엇이 보이는가? 별다른 느낌이 들지 않으면 아래 가이드를 잘 보고 다시 보자 M3을 보며, 우리는 안시관측의 첫 번째 기적인 ‘아는 만큼 보인다’를 체험할 수...
2016-08-20 08:09:42 / 2016-08-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456
  • 스케치
  • 2번, M2는 호핑길을 외우기 참 힘든 아이다. 근처에 쉬운 호핑 시작점(물병 Beta)도 있는데 말이다. 이유는.. 물병자리 별자리 그림 자체가 그리 매력적이지 않아서 눈에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다. 수메르에서는 이걸 보고 어떻게 물병을 연상했을까.. 내가 물병자리...
2016-08-17 09:39:20 / 2016-08-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20
  • 스케치
  • 어디부터 이 긴 이야기를 시작해야 할까? 메시에 천체 110개를 관측하는 얘기를 말이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NGC처럼 적경별로? 아니면 내가 좋아하는 순서대로? 흠.. 메시에 얘기는 메시에가 번호를 붙인 순서 그대로 하는 것이 좋겠다. 메시에가 파리의 천문대에서 ...
2016-08-19 19:47:30 조강욱 / 2016-08-16
thumbnail
  • 김영대 조회 수: 8597
  • 스케치
  • 그냥 이대로는 귀국하면 뼛속 깊이 후회할 것 같아 뭐라고 남겨야한다는 강박관념으로 귀국 전날 겨우 암흑성운 하나 스케치 해봤습니다. 성도를 참고로 당시 시간으로 쌍안경으로 쉽게 (그리 많이 천청부근과 가깝지 않은...) 관측할 수 있는 암흑성운을 찾다가 전갈자...
2016-08-17 03:35:05 rocky / 2016-07-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865
  • 스케치
  • 여러 별친구들에게 화성이 보기 좋은 날이라는 얘기를 듣고서 화성 남중 시간에 맞추어 집 근처 생태공원에 자리를 폈다 게이트볼 하는 동네 아주머니들과 순찰하는 경찰 아찌들께 한참을 대민 봉사를 하고 이제 관측을 좀 하려 하니.. 이번엔 집에 계시던 마나님과 딸...
2016-06-07 21:37:42 조강욱 / 2016-06-01
thumbnail
  • 김영대 조회 수: 10214
  • 스케치
  • 5월 황금월령 기간을 이용해서 사모님을 모시고 신혼여행으로 서호주에 다녀왔습니다. 주변 지인들은 신혼여행으로 서호주 사막에 가는걸 이해하지 못했지만 (천문인들 빼고 일반인들...) 사모님이나 저 역시 즐겁게 남반구 하늘을 충분히 즐기고 왔습니다. 역시 남반구...
2016-07-11 04:45:56 김영대 / 2016-05-1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