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5] 브란덴부크르 협주곡 5번 [스케치]
  • 조회 수: 13034, 2016-08-30 09:34:39(2016-08-22)


  • 음악을 사랑하시는 한솔형님께 여쭈어 보았다. 들으면 별이 생각나는 음악이 있는지?

    질문과 동시에 얻은 답은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이었다

    바로 집에서 브란덴부르크 5번 연주 동영상을 찾아서 들어본다. 나는 어떤 별이 생각날지..

    5번 1악장 후반부, 피아니스트의 어지러운 독주가 이어진다

    아니 무슨 피아노를 이렇게 정신 사납게 치나... 하고 보니 글렌 굴드의 젊은 시절 모습이네.



    여러분은 무엇이 느껴지는지 먼저 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연주 링크 :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D96B53FCDA22D788741A2AC6939F480C6E4C&outKey=V1279d45a40171fa806a498c1a37a9092b567384bab43230e2d8b98c1a37a9092b567&width=544&height=306


    불안하고 위태롭게 이어지는 빠른 연주. 화음과 박자가 잘 맞는 건지 아닌지도 헷갈릴 정도인데.. 

    하지만 잘 들어보면 그 어지러워 보이는 멜로디 안에서도 정교한 질서를 느낄 수가 있다.

    1분여간 이어지는 굴드의 독주를 듣다 보니 자연스럽게 연상되는 대상이 하나 있었다.

    메시에 5번.

    중심부는 아주 빽빽하고, 주변부로 가면서 방사형으로 밀도가 조금씩 감소해 나가는..

    완벽한 균형의 구상성단 M5번 말이다.

    토요일 새벽 3시에 노트북으로 브란덴부르크 5번 1악장을 무한 반복으로 재생을 걸어놓고

    캔버스지와 아크릴 물감, 그리고 세필(아주 가는 붓)들을 꺼내서 점을 찍기 시작한다

    그리고 M5의 사진이나 관측 기록을 전혀 참조하지 않고

    머릿속에 남아 있는 5번의 이미지만으로 그림을 그린다

    이건 스케치도 아니고 무어라 불러야 할까?

    머릿속에 떠오른 영감으로 그린 별그림이니 천체화라고 이름 붙여 봐야겠다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1악장, 캔버스지에 아크릴, 조강욱 (2011) ]
    브란덴부르크1200.jpg


    그리고 몇 년 뒤, 천문인마을에서 망원경을 보며 M5를 스케치할 기회가 찾아왔다

    [ M5, 흰 종이에 샤프, 천문인마을에서 조강욱 (2014) ]
    M5.jpg


    너무나 당연한 얘기지만, 

    상상화로 그린 M5와 스케치로 정밀 묘사를 한 M5는 그 모양이 너무나 다르다.

    M5비교.JPG


    뭐 그럼 어때?

    천체스케치의 표현에는 한계가 없다.

    내가 표현하고 싶은 것만 정확히 그릴 수만 있으면 되는 것!






                                                        2016. 8. 22
                                                        Nightwid 無雲

댓글 3

  • Profile

    박상구

    2016.08.23 01:57

    마침 하루 종일 귀에 이어폰 꽂고 있어도 되는 날, 덕분에 좋은 음악 들으면서 일하고 있네요 ^^
    적어도 몇달 동안은 즐겁게 기다릴 연재물이 시작 됐군요 ^^ 기대하겠습니다!
  • 조강욱

    2016.08.30 08:02

    듣고서 뭐가 생각나셨나요? ㅎ

    메시에 스케치 연재 10번에 별툰 한번 어떤가요 ^^*

  • Profile

    박상구

    2016.08.30 09:34

    ㅎㅎ 아이고 이런 압박이...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034
  • 스케치
  • M7은 기원전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온 유서 깊은, 밝은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육안으로 보이는 모습은 항상 아쉬움만 자아낼 뿐.. 원래 어떻게까지 보여야 할지 알기 때문이다. 아는게 병일까.. 7번은 적위 -34.5도로 메시에 110개 대상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대상이...
2016-08-25 19:44:30 / 2016-08-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582
  • 스케치
  • 나에게는 6번, 7번과의 강렬한 첫 만남의 기억이 있다 벌써 햇수로 20년 전, 서울의 내 방에 누워 있어도 창문 유리를 통과하여 헤일밥이 보이던 시절이었다 그 혜성이 절정기를 보내던 1997년 4월, 나는 학교 수업도 제대로 듣지 않고 매일 헤일밥 보러 다닐 생각만 했...
2016-08-30 07:59:13 조강욱 / 2016-08-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34
  • 스케치
  • 음악을 사랑하시는 한솔형님께 여쭈어 보았다. 들으면 별이 생각나는 음악이 있는지? 질문과 동시에 얻은 답은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이었다 바로 집에서 브란덴부르크 5번 연주 동영상을 찾아서 들어본다. 나는 어떤 별이 생각날지.. 5번 1악장 후반부, 피...
2016-08-30 09:34:39 관심은하 / 2016-08-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0484
  • 스케치
  • 4번은 메시에 구상성단 중 가장 헤픈 아이일지도 모른다 그냥 막 다 보여주는 놈이기 때문이다 (밤하늘의 성자, 구상 계의 57번이라고 할까?) 우리가 너무 잘 보인다고 달을 홀대하는 것처럼, 우리는 M4를 잘 뜯어보려는 노력 또한 잘 하지 않는다 그저 성단 중심부의 ...
2016-08-23 06:51:48 조강욱 / 2016-08-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476
  • 스케치
  • 나에게는 M3에 대한 큰 고정관념이 있었다 바로 나의 스케치 스승님인 윤정한님의 2003년 스케치 때문이다. 무엇이 보이는가? 별다른 느낌이 들지 않으면 아래 가이드를 잘 보고 다시 보자 M3을 보며, 우리는 안시관측의 첫 번째 기적인 ‘아는 만큼 보인다’를 체험할 수...
2016-08-20 08:09:42 / 2016-08-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456
  • 스케치
  • 2번, M2는 호핑길을 외우기 참 힘든 아이다. 근처에 쉬운 호핑 시작점(물병 Beta)도 있는데 말이다. 이유는.. 물병자리 별자리 그림 자체가 그리 매력적이지 않아서 눈에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다. 수메르에서는 이걸 보고 어떻게 물병을 연상했을까.. 내가 물병자리...
2016-08-17 09:39:20 / 2016-08-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20
  • 스케치
  • 어디부터 이 긴 이야기를 시작해야 할까? 메시에 천체 110개를 관측하는 얘기를 말이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NGC처럼 적경별로? 아니면 내가 좋아하는 순서대로? 흠.. 메시에 얘기는 메시에가 번호를 붙인 순서 그대로 하는 것이 좋겠다. 메시에가 파리의 천문대에서 ...
2016-08-19 19:47:30 조강욱 / 2016-08-16
thumbnail
  • 김영대 조회 수: 8597
  • 스케치
  • 그냥 이대로는 귀국하면 뼛속 깊이 후회할 것 같아 뭐라고 남겨야한다는 강박관념으로 귀국 전날 겨우 암흑성운 하나 스케치 해봤습니다. 성도를 참고로 당시 시간으로 쌍안경으로 쉽게 (그리 많이 천청부근과 가깝지 않은...) 관측할 수 있는 암흑성운을 찾다가 전갈자...
2016-08-17 03:35:05 rocky / 2016-07-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865
  • 스케치
  • 여러 별친구들에게 화성이 보기 좋은 날이라는 얘기를 듣고서 화성 남중 시간에 맞추어 집 근처 생태공원에 자리를 폈다 게이트볼 하는 동네 아주머니들과 순찰하는 경찰 아찌들께 한참을 대민 봉사를 하고 이제 관측을 좀 하려 하니.. 이번엔 집에 계시던 마나님과 딸...
2016-06-07 21:37:42 조강욱 / 2016-06-01
thumbnail
  • 김영대 조회 수: 10214
  • 스케치
  • 5월 황금월령 기간을 이용해서 사모님을 모시고 신혼여행으로 서호주에 다녀왔습니다. 주변 지인들은 신혼여행으로 서호주 사막에 가는걸 이해하지 못했지만 (천문인들 빼고 일반인들...) 사모님이나 저 역시 즐겁게 남반구 하늘을 충분히 즐기고 왔습니다. 역시 남반구...
2016-07-11 04:45:56 김영대 / 2016-05-1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