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4월 1일 M13 Great Cluster in Hercules(m13-NGC 6205) 스케치 입니다. [스케치]
  • 조회 수: 14229, 2013-04-08 23:18:34(2012-04-02)
  • 관측대상 - M13 Great Cluster in Hercules(m13-NGC 6205)

    장소 -  원주 귀래정 생태 자연주택

    시간 - 4월 1일 01:20 ~ 05:10 (스케치에는 31일부터 관측시작했기에 3월31~4월1 표기함)

    망원경 - XQ 10인치 / ES 100 °  9mm

    스케치도구 -  목탄,연필(2b,5H), 0.5B 샤프

     

     m13 great 1300 invert wonbon.jpg

     

     

     

     M13은 개인적으로 두번째 스케치 입니다.

    두달여전에 했던 13스케치는 항성의 길...그모양을 보이는 모습보다는 힘에겨워 시간에 겨워스케치한까닭에,

    유심히 보기보다는 그저 연필을 다다다다 한것이 죄스러워서?....

     

    다른 구상성단을 스케치 하기전 북반구 구상성단의 대장인 13을 꼭 잘 확인해야,

    다른 구상성단을 스케치할 자격의 예의?가 떠올라 유심히 관찰해 보았습니다.

     

    뜻하지 않은 음악을.....관측하러가면서 자동차에서 들으면서 (Eminem Ft. Rihanna - Love The Way You Lie)

     

    스케치를 할 구상성단의

     

    항성의 거대한 이동...

    장대한 스케일...

    신비로운 별들의 여행....

     

    등이 떠오르며 마음속에 스케치할준비가 나도 모르게 포부가 부풀어 오릅니다...

    음악을들은것이 큰도움이 된건 이번스케치가 처음입니다....

    힙합풍의 음악을 듣고 스케치에 대한 생각이 이렇게 깊게 느껴진것도 첨인거 같습니다.

     

    그러면서 아프리카 동물의 대이동...철새의 이동 이런것들이 갑자기 머리속에서 구상성단처럼 느껴집니다....

    자연의 이치가 우주에서 부터 만들어진 법칙? 같다는 느낌을 받아봅니다....

     

    동물의이동 처럼....

    구상성단의 장대한 스케일의 항성들이 그렇게 모여야만 하는 우주의 이유가 있는걸까요.....?

    ^^

     

     

    스케치를 하면서 느낀것은 안시로 자주 보여서 그렇게만 보이는것같아도 스케치를 하다보면 조금씩은 평소느낀거와

    틀린 영역이 조금 있었습니다.

     

     

     m13 great 1300 invert ex bi.jpg

     

    스케치 하면서 여러가지 모양이 보입니다. 때로는 프로펠러 3개가 보이기도 하고, 장수 하늘소?, 커다란꽃 광각촬영이미지같은?

     또는 거미처럼도 보입니다만 게속 보면서 느낀바로는 전부터 생각한 꽃게 모양이 저는 가장 맘에 들더군요.

     

     스케치와, 스케치를 하면서 본 항성,항성간의 눈에 띄는 부분과 보이는 부분을 제나름데로 편집해 보았습니다.

     

    궁수자리의 성운....그리고 전갈의 m4를 보고 구상성탄 폭탄맞은거같은 모양도 보고 재미있는 관측이었습니다.

댓글 5

  • 김남희

    2012.04.02 06:06

    아.... 스케치 사진이 안보입니다...... 저만 그런가요..?
  • 이현동

    2012.04.02 17:43

    잘못된 것은 아니구요... 첨부한 스케치 사진을 본문에 보이도록 붙여넣기를 해야 본문에서 보입니다. 현재는 첨부만 하신 상태입니다.
  • 이현동

    2012.04.02 19:19

    그림(또는 사진)을 본문에 붙여넣는 방법을 자유게시판에 올렸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nightflight.or.kr/xe/free/55939

  • 김병수

    2012.04.03 02:44

    아.. 수정하였습니다^^ 이현동님 방범 감사합니다 .
  • 조강욱

    2012.04.19 17:39

    김병수님 근데 프로펠러는 어느쪽에 있나요?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140
  • 스케치
  • 은하수 조각인 24번은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더라도 이 찌뿌둥한 별볼일 없는 이중성이 왜 메시에 넘버일까? 알비레오 같은 애들과 비교하면 확실히 뿌옇긴 한데.. 그렇다고 성운기라고 하긴 어려울 것이다 메시에가 1760년대 초반에 처음 발표한 40개의 메시에 대상에 ...
2016-12-23 14:49:32 조강욱 / 2016-12-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440
  • 스케치
  • 별로 친하지 않은 마의 '9번' 라인에서도 39번은 정말 한숨이 나오는 대상이다 이 성긴 별들의 무리가 왜 메시에 넘버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Melotte 정도로도 충분할 것 같은데.. 외뿔소자리의 크리스마스트리, NGC2264 외에도 39번도 종종 크리스마스 트리로 불리기...
2016-12-05 15:06:03 / 2016-12-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773
  • 스케치
  • 38번은, 별이 꽤 많은 성단인데도 가운데가 텅 비어 있다 중앙에 밝은 별 하나 외에는 사각형 모양으로 비어 있는 것이다 반대로 주변부는 화려하고 다채롭다. 번화한 도시의 중심은 슬럼화되고 외곽 지역에 부촌이 형성되는 도시 공동화 현상이 왜 생각이 나는 것일까?...
2016-12-05 13:45:36 조강욱 / 2016-11-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802
  • 스케치
  • 37번은 그리 마음이 잘 동하지 않는 대상이었다 비슷한 밝기의 별들이 잔뜩 몰려있는 성단이라 스케치를 하기에 많이 까다로운 대상이기 때문이다 한참 하얀 점을 찍다 보면 내가 이 별을 찍었는지 저 별을 찍었는지 알 수가 없다 (37번, 46번 같은 애들이 이쪽 부류이...
2016-12-05 13:44:33 조강욱 / 2016-11-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6026
  • 스케치
  • 매년 설과 추석은 별쟁이들에겐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추석은 항상 보름이니 Clear sky를 기원하며 달을 보며 소원 빌고, [ 14년 추석, 울산에서 - 갤노트 터치펜과 Sketchbook app으로 조강욱 (2014) ] 설은 항상 그믐이고 연휴이니 또 하나의 관측 찬스! 결혼 전에는 ...
2016-11-27 11:42:34 / 2016-11-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6063
  • 스케치
  • 눈 덮인 강원도 산중의 깊은 새벽, 영하 18도의 기온에 몇 시간을 꼼짝 않고 M35의 점을 찍었더니 머리는 어질어질하고 손가락이 얼어서 샤프로 동그라미가 잘 그려지지 않는다 아직 눈에 보이는 것을 다 그리지 못해서 끝낼 수가 없는데 손가락 발가락과 달리 눈알은 ...
2016-12-05 13:43:09 조강욱 / 2016-11-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52
  • 스케치
  • 별그림을 그리는 나에게, 별사진 공모전은 일종의 꿈? 아니 객기에 가까운 도전이었다 천체사진만큼 천체스케치가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것도 아쉽고 그것을 향유하는 인구가 너무나 적다는 것도 또 아쉬운 일이었다 (한국만 그런 것은 아니다) 그래서, 2011년 천체사...
2016-11-18 05:10:56 / 2016-11-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73
  • 스케치
  • 2009년 가을 어느날의 천문인마을은 너무나도 맑았다 그리고 지난번 글에서 떠든 주변시도 필요 없이 굵은 나선팔들이 너무 쉽게 휙휙 돌았다 언제 다시 이런 33번을 또 볼 수 있을까 하나 문제는, 내 실력이 그 나선팔을 표현할 정도가 아직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나...
2016-12-05 13:43:51 조강욱 / 2016-1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30
  • 스케치
  • 별에 미쳐서 공부도 안 하고 산과 들을 떠돌다가 선동렬 방어율 수준의 학점을 받아들고 남들보다 빨리 군입대를 하게 되었다 논산 훈련소에서 박박 기고 있을 때도 한달 뒤면 최전방에서 엄청난 은하수를 볼 꿈에 부풀어 있었는데 자대에 도착해보니.. 그곳은 용산 전...
2016-11-11 15:19:16 / 2016-11-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669
  • 스케치
  • 42번 오리온 대성운과 함께 31번 안드로메다 은하는 지구상에서 가장 유명한 대상이다 (굳이 꼽으라면 Barnard 33번 말머리성운과 함께 3인방이라 할까?) 그러나 안시관측으로도 초보나 고수나 일반인이나 모두를 만족시키는 오리온 성운에 비해서 안드로메다 은하를 아...
2016-11-10 12:56:48 / 2016-11-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