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17.09.17 이중성 관측기 입니다.
  • 조회 수: 5877, 2017-09-20 20:08:39(2017-09-18)
  • FS78.png


    올초 영입한 FS-78 입니다.

    행성을 보기엔 광량의 한계가 너무 명확해 이중성 위주로 써야 될 것 같습니다.

    (경위대의 반대편 도브테일 홀더엔 곧 행성용으로 뮤론180이 올라갈 계정입니다)



    dd.png

    출처 : http://earthsky.org/brightest-stars/epsilon-lyrae-the-famous-double-double-star


    더블더블

    에토스 3.7mm 170배로 관측했습니다.

    관측 했던 모습과 비슷한 스케치입니다.

    가장 왼쪽 별은 나머지 3별보다 어둡고 3별은 비슷한 밝기,색깔 입니다.

    2.3초 떨어져 있으며 잘 분리 되어 보입니다.



    2.png


    백조자리 베타별 입니다.

    2.7초 떨어져 있으며 각각 2.9, 6.2 등급입니다.

    더블더블보다 떨어져 있지만 

     밝은 별의 에어리 디스크에 어두운 별이 묻혀 쉽게 보이진 않습니다.

    보이긴 합니다.



    1.png


    최윤호님 관측기에 서베일의 별이 이중성이란 말이 생각나 찾아보았습니다.

    6초 떨어져 있으며 4.2, 8.7 등급입니다.

    분리각은 충분하고 8.7등급 별이 보이느냐가 관건인데

    3인치로 과천 하늘의 한계 등급은 9등급 정도 됩니다.

    그냥은 보이지 않고 야간비행 관측 조끼 착용시 보일락말락... 좀 애매합니다.

    이런 경우 봤다고 치는 경우가 있고 못 봤다고 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번엔 본걸로 해도 될것 같습니다.



댓글 10

  • 김남희

    2017.09.18 17:56

    이중성관측에도 심오한 우주가 숨어있더군요.한때 시안서 12"로 1초각 이내 이중성 도전대상에 심취한적 있었습니다.근데 이거하다보면 아포굴절 뽐뿌가 심해지더군요.ㅎ
  • 박진우

    2017.09.18 21:55

    4~5인치 굴절 하나 있으면 좋겠지만 너무 비싸서

    뮤론으로 만족 해야 될 것 같습니다.

    3인치 굴절 VS 뮤론 180 어느 이중성이 더 이쁠지 기대됩니다.

  • 이윤행

    2017.09.18 19:13

    오타 발견했습니당 ^^; 알 파와리스는 델타입니다 ^^;; 저는 그날 벗고개 후다닥 갔다 왔네요

  • 박진우

    2017.09.18 21:57

    성도를 대충 봤더니 잘못 알고 있었던것 같습니다.

    저도 광덕산을 갈까 고뇌하다 안 갔는데 좀 후회가 됩니다.

  • Profile

    장형석

    2017.09.18 20:47

    결국은 뮤론을 주문하신건가요? ㅎㅎ
  • 박진우

    2017.09.18 21:59

    모 업체에 견적을 내보니 경통+세금+비행기 삯 보다 비싸더라구요

    다음달 중으로 일본으로 가서 들여올 예정입니다.

  • 최윤호

    2017.09.18 21:11

    뮤론! 뮤론! ㅎㅎ
    저도 최근 C8로 도심에서 이중성 관측해 봤는데 6인치 이상은 되어야만 NSOG의 이중성은 보이겠더군요.
    야간비행 전체 회원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ㅋㅋ
  • 박진우

    2017.09.18 22:01

    간편히 집앞에서 관측하는게 목푠데

    쌍포로 올리면 두번 왔다갔다 해야 되는데

    관측횃수가 더 줄어드는게 아닐지 걱정입니다.

  • 김재곤

    2017.09.18 22:41

    결국 뮤론을... 곧 장가갈란가 봅니다. 원 없이 지르는 걸 보니...
  • 박진우

    2017.09.18 23:15

    자꾸 생각나서 안 되겠더라구요

    마음의 병이 생기기 전에 예방하려합니다.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662 조강욱 7082 2006-01-21
661 강경원 7093 2012-10-16
660 이한솔 7100 2012-02-26
659 김경식 7100 2004-10-13
658 최윤호 7105 2020-04-07
657 이한솔 7109 2011-04-05
656 조강욱 7113 2015-07-14
655 조강욱 7116 2009-08-26
654 최윤호 7117 2019-05-03
653 김남희 7131 2011-03-06
652 최윤호 7149 2021-04-28
651 이준오 7151 2009-01-03
650 김경식 7152 2005-10-12
649 김남희 7153 2010-01-19
648 김경식 7159 2007-01-15
647 김경식 7166 2004-12-13
646 서경원 7167 2020-05-19
645 박진우 7170 2015-04-20
644 조강욱 7178 2010-09-08
643 최윤호 7193 2020-10-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