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예순여덟 번째에서 일흔두 번째 스케치(M12, M10, M9, M22, NGC6441) [스케치]
  • 조회 수: 24, 2024-05-21 16:51:04(2024-05-21)
  •    예순여덟 번째에서 일흔두 번째 스케치(M12, M10, M9, M22, NGC6441)

     

     

    53,

    두 달여 만에 홍천B에서 몇몇 별지기분들과 관측을 하였다. 별 벗들과 맛있는 저녁과 관측, 대화는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이날은 장기간의 여독으로 별을 보는 즐거움과 관계없이 너무 피곤하였다. 관측을 시작한 이례 처음 관측 중간에 차에서 쉬기도 했다.

        

       

    예순여덟 번째 스케치 (M12_NGC6218)

     

    - 뱀주인자리 내에 구상성단

    - +6.69, 16.0 arcmin, 4.8 킬로파섹, 16천광년, Globular Cluster Class IX (NSOG2)

     

    M12는 뱀주인자리(Ophiuchus-Oph)의 구상 성단으로 뱀주인 자리에는 M9, M10, 14, M19, M62, M107 6개의 구상성단이 더 있어 7개의 메시에 구상성단이 있다.

    예드 프리어(Yes Prior)에서 사빅(Sabik)까지 북서에서 동남까지 길게(18) 이어진 3등급내외의 4개의 별중 위에 예드 프리어와 제타 어피뉴케스(ζ Oph)를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 꼭지점 부근에 있으며 60mm 9.5, 5.8도 파인더에서 보인다.

     

    핵은 그리 뚜렷하지 않고 헤일로가 중심과 작은 별들이 모여 있거나 늘어선 부분에 조금 얼룩얼룩한 형태로 연하게 넓게 분포하며, 일렬로 늘어선 체인은 헤일로 박으로까지 연결된 부분도 보인다.

    다른 구상성단에 비해 171배에서까지 분해가 되는 것으로 봐서 시상은 보통 이상인 듯하다. 헤일로 내부에 12등급에서 16등급까지 일부 보인 것 같다.


    68_M12_240503_홍천B.jpg       

     

     

    59,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홍천으로 향했다. 처음 가는 곳이기에 많이 설레기도 하였다.

    날씨는 무척 좋았으며, 투명도에 비해 시상은 보통이었다. 12시 이전에 몇 가지 대상들도 보고 동행인들과 가볍게 와인도 즐기며 이야기도 하고 늦은 시간부터는, 지난번에 여독으로 관측을 다 하지 못한 만큼 본격적으로 관측과 스케치를 하였다.

     

     

    예순아홉 번째 스케치 (M10, NGC6254)

     

    - 뱀주인자리 내에 구상성단

    - +6.59, 20.0 arcmin, 4.4 킬로파섹, 14 천광년, Globular Cluster Class VII(NSOG2)

     

    M10M12에서 동남쪽으로 약 3도 떨어진 위치에 있어 파인더로 약 반 시야 위치에 있다. 조금 욕심을 내어 Ethos 4.7mm, 255배로 보았다. M12에 비해 많은 별 들이 분해 되지는 않았지만 Pentax xw 7mm와 시야각의 차가 거의 없는 것을 감안 하면 역시 크기는 훨씬 커 보인다, 핵은 뚜렷한 게 없어 보였고 전체적으로 울릉불릉한 헤일로가 크게 보이고 서남서쪽에 약간의 암흑대를 지나 별들이 내부에서부터 밖으로 나와 돌며 그 부분에 헤일로가 있고 전체적으로는 다리 짧은 두꺼비 같은 모양으로 보인다.


    69_M10_240509_홍천J.jpg

     

     

     

    일흔 번째 스케치 (M9, NGC6333)

     


    - 뱀주인자리 내에 구상성단

    - +7.71, 12.0 arcmin, 7.9 킬로파섹, 26 천광년, Globular Cluster Class VIII(NSOG2)

     

    M9는 뱀주인자리의 3등급 전후의 일렬로 늘어져 있는 별 4개 중 4번째 별인 사빅(Sabik)에서 동남쪽으로 3.5도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사빅과 M9를 파인더의 한 시야에서 볼 수 있다.

    핵이라고 하기에는 전체적으로 뿌연 가운데 중심 부분이 조금 진하고 농담의 차가 있으며 13등급 대의 헤일로 주변의 별들은 분해 되지만 헤일로 안에 16,7등급의 별들은 사실 분해된다고 하기보다 작은 별들이 뭉쳐 있다는 느낌이다. 그런 느낌으로 작은 별들을 표시하였다.

     70_M9_240509_홍천J.jpg

     

     

     

    일흔한 번째 스케치 (M22, NGC6656)

     


    - 궁수자리 내에 구상성단

    - +5.09, 32.0 arcmin, 3.2 킬로파섹, 10 천광년, Globular Cluster Class VII(NSOG2)

     

    M22는 궁수자리의(Sagittarius) 찻주전자 꼭지의 람다별(λ Sgr) 카우스 보레알리스(Kaus Borealis) 에서 북동쪽으로 약 2.5도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5.8도 시야의 파인더로 볼 때 카우스 보레알리스를 중앙에 놓으면 좌측 위에 뿌연 것이 보인다.

     

    M22의 남중은 4시가 넘어야 하지만 3시쯤의 고도는 +27도로 상당히 높고 남쪽에 광해가 적은 곳이라 그동안 보았던 M22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 주었다, M3M13이 감히 초라하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의 밝음과 깨알같이 분해되는 작은 별들의 무리와 체인들이 매우 반짝이며 심지어 헤일로조차도 밝은 하얀색을 넘어 은색의 찬란함을 보여 주었다. 작은 별들은 더 이상 표시하기가 귀찮을 정도였다.

    전체 영역은 0.5도를 넘는 크기인데 헤일로는 약 0.1도 정도만 보이지만 너무 크게 느껴졌다.

    나의 스케치와 표현이 넘 모자란 듯하다. 이런 구상성단을 이제야 제대로 보게 되다니, 이번 여름이 가기 전에 좋은 곳에서 좀 더 멋진 모습을 많이 보고 싶다 M22!

     71_M22_240509_홍천J[크기변환].jpg




    일흔두 번째 스케치 (NGC6441)

     

    - 전갈자리 내에 구상성단

    - +7.15, 9.6 arcmin, 12.0 킬로파섹, 38 천광년, Globular Cluster Class III(NSOG2)

     

    NGC6441은 전갈자리 꼬리 독침에 해당하는 2등성 샤울라(Shaula)3등성 레사쓰의 (Lesath) 동쪽 약 3.5도 위치에 3등성의 노란색 이중성이(HR 6630) 있는데 그 왼족 420초 거리에 있다. 파인더로는 보이지 않고 이중성을 파인더에 두고 아이피스로 보면 오른쪽에 뿌연 솜뭉치가 보인다.

     

    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구상성단중 하나이고 겉보기 크기가 9분으로 M912분에 비해 3/4크기임에도 전혀 분해가 되지 않고 작게 보인다. 너무 멀어서 그런가 보다, 라고 하기에는 좀 뭔가 어색하다.

    진하고 전체 크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진한 핵과 그 주위의 좁은 코어가 전부이다. 결국 헤일로는 없다고 봐야 할 것 같다.

    관측 중간중간에 뽀에릭님이 보여 주신 몇 개의 대상 중 하나인데 새벽 철수 직전에 갑자기 생각이 나서 재빠르게 스케치했는데 6분 만에 완료하였다. 박명의 압박에 급하게 그리다 보니 노란 별을 너무 성의 없게 그린 것 같다. 오랜만에 큰 별인데 스파이더상과 색상을 좀 그려 볼 걸 아쉬움이 남는다.


    72_ngc6441_240509_홍천J.jpg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8
  • 스케치
  • 늦은 밤, 내 방에 앉아 창 밖을 바라보니 구름 사이로 보름달이 보인다. 그리고 오렌지빛으로 빛나는 달무리를 보니 간만에 달그림이 그리고 싶어졌다 ​ 방에 불을 모두 끄고, 창문 앞에 앉아 낮은 책상 위에 태블릿을 올려놓고 달을 화면 안에 담아보았다 ​ 달과 하늘과...
2023-12-02 19:09:52 / 2023-1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8
  • 일반
  • 1분여의 개기일식이 끝났는데, 너무 심각하게 강렬한 광경에 충격을 받아서 그랬는지 기억이 하나도 나지 않았다 ㅎㅎ 그래서.. 몇 달을 곰곰이 생각하며 뇌세포들을 하나씩 취조해서 겨우 기억을 완성해 보았다 이게 정말 맞는 기억인지,  다른 사람의 사진들까지 기억...
2023-07-29 11:50:02 / 2023-07-29
thumbnail
  • 이동근 조회 수: 35
  • 스케치
  • 예순세 번째 예순네 번째 스케치(M65, M66) 3월 14일, 평일이지만 아마도 3월의 마지막 관측이 되지 않을까 하여 몇 분과 마침 시간이 맞아 홍천으로 향했다. 하늘은 구름 한 점 없는데 조금 아쉽다. 하지만 10인치 돕으로, 마음 비우고 그리는 메시에 스케치는 그리 문...
2024-03-25 22:29:21 / 2024-03-25
thumbnail
2024-03-23 15:04:12 / 2024-03-14
thumbnail
  • 이동근 조회 수: 30
  • 일반
  •       예순다섯 번째에서 예순일곱 번째 스케치(M92, M104, M16)      지난 4월에 조경철 천문대와 인제에서의 스케치를 여러 가지 일정에 밀려 이제야 정리하려니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예순다섯 번째 스케치 (M92, NGC6341)   4월 6일, 오랜만에 조경철 천문...
2024-05-02 01:58:12 / 2024-05-02
thumbnail
2024-05-21 16:51:04 / 2024-05-2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