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쉰여섯, 쉰일곱 번째 스케치(M81, M78) 그리고 조경철 천문대 은하수 [스케치]
  • 조회 수: 165, 2024-03-23 15:08:35(2024-02-22)
  • 쉰여섯, 쉰일곱 번째 스케치(M81, M78) 그리고 조경철 천문대 은하수

     

     

    2월달은 두 번의 관측으로 마감하였다.

    11일 조경철 천문대에서 12시까지 한가득한 구름이 걷히기를 기다리다 이후에 맑아져 스케치와 관측을 하고 새벽녘에 은하수 촬영하시는 많은분들 틈에서 은하수 촬영도 하며 하루,

    두 번째는 단양에서 초저녁부터 옅은 구름이 들어오기 시작하던 12시쯤까지 엄청난 하늘에서 스케치와 관측,

    결국 하룻밤 관측분을 이틀에 나누어 관측한 결과가 되었다.

     

     

    쉰여섯 번째 스케치 (M81, NGC3031 ; Bode’s Nebulae)

     

    211일 설 명절 다음날, 전날 나가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며, 홍천으로 출발하였으나 중간에 눈이 온다는 연락을 받고 결국 조경철 천문대로 향하였다. 썩 좋지는 않지만 12시 전후에서 새벽까지 좋다는 CO(Clear Outside)의 예보를 믿기로 한 것이었지만 도착해서 12시까지 온 하늘이 구름이었다. 그나마 구름이 빨리 움직이며 중간에 보이는 검은 하늘은 좋아 보여 기대를 하며 기다렸다. 차에서 쉬고 있는 중에 하늘이 열렸다고 창을 두드려주는 동행에게 감사하며 망원경을 세팅하였다.

    많은 관측대상을 보지는 않았지만 조금 더 평소보다 오래 보았고, 한 장의 스케치와 C59를 슈르르까님의 20인치로 눈동냥 한 것이 큰 수확이라 하겠다. C59 Ghost of Jupiter Nebula는 주변의 동그란 헤일로 안에 각이 둥근 마름모 모양의 조금 진한 헤일로가 있고 가운데가 약간 연한 헤일로가 보였으며 헤일로들이 영역에 따라 이중 삼중으로 겹쳐서 구분이 되어 보는 맛이 있었다.

     

     

    - 큰곰자리 내에 나선형은하

    - +6.77, 21.6 x 11.2 arcmin, 3.6 메가파섹, 1,200 만광년, Galaxy Type SA(s)ab I-II(NSOG2)

     

    지난번 M82를 호핑 할 때는 d UMa(2도정도 동쪽에 있음)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이번에는 3.8등급의 λ Draconis 기안파(Gianfar)가 눈에 들어와 여기서부터 호핑을 시작하였다. 서쪽으로 약 4도정도에 서로 마주 보는 삼각별들이 있고 거기서 조금 더 가면 다시 삼각형의 별들이 보인다. 여기에서 파인더 중심에 M8182가 희미하게 보인다.

    56-1_M81_240211_조경철천문대.png


    상당히 큰 은하임에도 그동안 보아 올 때 항상 조금 큰 뿌연 헤일로가 전부인 특징이 없는 은하라고 생각하고 스케치할 생각을 안 했는데, 스케치는 하고 싶고 마땅한 대상은 없고, 또 메시에 대상들을 10인치 돕으로 가능한 많이 해보자는 생각에 일단 스케치를 시작하였다.

    은하핵 동남쪽에 두 개의 별과 남쪽에 나란한 두 개의 별이 특징적이고 남쪽 두 개의 별 중 한 개는 이중성으로 분해되어 보였다. 나머지는 하나로 보였지만 이 별 또한 이중성이다.

    핵은 보였지만 그 주의의 헤일로는 너무 작게 보이며 좀 더 헤일로가 크게 보이기를 기대하며 한참을 봐도 그리 커지지는 않았다. 다만 오래 보다 보니 북서와 동남에 나선팔로 여겨지는 헤일로가 아주 연하게 보였다. 중심핵 근처의 헤일로를 좀 더 크게 보지 못한 것이 아쉽다.

    56_M81_240211_조경철천문대.jpg



    쉰일곱 번째 스케치(M78, NGC2068, 방출 및 반사성운;Emission and Reflection Nebula )

     

    212, 조경철 천문대에서 새벽에 올라온 은하수를 간단히 촬영하고 차에서 쉬며 아침을 맞이하고 보니 너무 아쉬움이 남아 바로 단양으로 향했다. 안시관측님, 은파님, 조선광인님이 동행해 주셨다.

    일찍 도착한 단양은 너무 맑았다. 해 진지 얼마 안 되는 8시가 조금 안 된 시간이었던 것 같은데 트라페지움의 E, F가 뚜렷하게 분해 될 정도로 투명도와 시잉이 좋았다.

    다만 12시가 되고 보니 뿌연 안개와 같은 높은 구름이 가득하며 마치 새벽에 별이 하나씩 사라지듯 작은별부터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아쉬운 순간이었다.


    - 오리온자리 내에 밝은성운 (방출 및 반사성운;Emission and Reflection Nebula)

    - +8.30, 8.0 x 6.0 arcmin, 490 파섹, 1,600 광년

     

     

    오리온자리 밸트중앙의 알닐남을 파인더의 끝에 놓고 약 3도 북동쪽으로 파인더의 중앙 부분에 NGC2071에 해당하는 9.8등급의 별 두 개와 M78에 해당하는 10.8등급의 별 두 쌍이 보이며 그중 가깝고 조금 어두운 그리고 성운기가 좀 더 많은 두 쌍의 별이 있는 곳이 M78 성운이다.

    57-1_M78_240212_단양배틀재.jpg



    찾기는 쉬운데 작은 성운은 잘 안 보인다는 선입견에 잘 보지 않았던 것 같다. 그렇지만 이 성운은 보면 볼수록 성운이 커져 거의 제 크기까지 보이는 듯했다. “오래 보면 보인다는 말은 실감하기 좋은 대상인(상황) 것 같다. 물론 여러 상황이 좋아서 그런지도 모르지만 전날 M81은 아무리 오래 봐도 핵 주변의 헤일로가 더 이상 커 보이지 않은 점으로 보면 상당히 대조적이었다.

    전체적으로는 만화에 나오는 애기 유령의 눈과 몸 같다.

    10.8등급의 두 별을 중심으로 성운기가 진하게 있고, 그 별들 기준으로 오른쪽 즉 동쪽으로 옅은 성운이 분포되고, 두 별 남쪽에 13등급의 별을 중심으로 진한 성운이 다시 분포되어, 별들을 중심으로 성운의 농담의변화를 보이며 전체적으로 성운이 구름과 같이 뭉게뭉게 보이고, 스케치에도 어느 정도 반영되어 본 대로 스케치 된 듯하다.

    57_M78_240212_단양배틀재[크기변환].jpg



    12일 아침 조경철 천문대에서 촬영한 올해 첫 은하수 사진으로 한 장 무보정이다.

    벌써 전갈자리뿐 아니라 여름철 대 삼각형의 별들이 모두 보인다.

    IMG_6729.JPG

    Canon EOS 6D Mark II,

    Irix 15mm f/2.4,

    B./WAY Milky Way Night Filter 95mm,

    B./WAY Magnetic Star Soft CP-2 Filter 95mm,

    ISO 1,600,

    20 Sec,

    F/2.8,

    6240x4160 Jpeg 1ea, 무보정

    24/2/12 06:04:31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509
  • 스케치
  • 나에게는 M3에 대한 큰 고정관념이 있었다 바로 나의 스케치 스승님인 윤정한님의 2003년 스케치 때문이다. 무엇이 보이는가? 별다른 느낌이 들지 않으면 아래 가이드를 잘 보고 다시 보자 M3을 보며, 우리는 안시관측의 첫 번째 기적인 ‘아는 만큼 보인다’를 체험할 수...
2016-08-20 08:09:42 / 2016-08-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480
  • 스케치
  • 2번, M2는 호핑길을 외우기 참 힘든 아이다. 근처에 쉬운 호핑 시작점(물병 Beta)도 있는데 말이다. 이유는.. 물병자리 별자리 그림 자체가 그리 매력적이지 않아서 눈에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다. 수메르에서는 이걸 보고 어떻게 물병을 연상했을까.. 내가 물병자리...
2016-08-17 09:39:20 / 2016-08-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75
  • 스케치
  • 어디부터 이 긴 이야기를 시작해야 할까? 메시에 천체 110개를 관측하는 얘기를 말이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NGC처럼 적경별로? 아니면 내가 좋아하는 순서대로? 흠.. 메시에 얘기는 메시에가 번호를 붙인 순서 그대로 하는 것이 좋겠다. 메시에가 파리의 천문대에서 ...
2016-08-19 19:47:30 조강욱 / 2016-08-16
thumbnail
  • 김영대 조회 수: 8605
  • 스케치
  • 그냥 이대로는 귀국하면 뼛속 깊이 후회할 것 같아 뭐라고 남겨야한다는 강박관념으로 귀국 전날 겨우 암흑성운 하나 스케치 해봤습니다. 성도를 참고로 당시 시간으로 쌍안경으로 쉽게 (그리 많이 천청부근과 가깝지 않은...) 관측할 수 있는 암흑성운을 찾다가 전갈자...
2016-08-17 03:35:05 rocky / 2016-07-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885
  • 스케치
  • 여러 별친구들에게 화성이 보기 좋은 날이라는 얘기를 듣고서 화성 남중 시간에 맞추어 집 근처 생태공원에 자리를 폈다 게이트볼 하는 동네 아주머니들과 순찰하는 경찰 아찌들께 한참을 대민 봉사를 하고 이제 관측을 좀 하려 하니.. 이번엔 집에 계시던 마나님과 딸...
2016-06-07 21:37:42 조강욱 / 2016-06-01
thumbnail
  • 김영대 조회 수: 10242
  • 스케치
  • 5월 황금월령 기간을 이용해서 사모님을 모시고 신혼여행으로 서호주에 다녀왔습니다. 주변 지인들은 신혼여행으로 서호주 사막에 가는걸 이해하지 못했지만 (천문인들 빼고 일반인들...) 사모님이나 저 역시 즐겁게 남반구 하늘을 충분히 즐기고 왔습니다. 역시 남반구...
2016-07-11 04:45:56 김영대 / 2016-05-14
thumbnail
  • 박진우 조회 수: 66459
  • 스케치
  • 시간 : 2016.03.31 00:10 장소 : 과천시 별양동 장비 : 8"반사 F6, 에토스 8mm 금일 매수팔에서 스터디 한 이중성 Gamma Leonis 입니다. 흔히 Algieba 로 알고 있는 놈 입니다. 약 554년 주기로 0.2"~4.8" 사이로 공전합니다. 현재는 4.7" 떨어져있으며 더 멀어지고 있...
2016-04-09 01:47:46 박진우 / 2016-03-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406
  • 스케치
  • 그 달, 초하루 달을 보는 것은 폰으로 달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이후 나의 간절한 소망이었다 매월 음력 1일마다 달력에 동그라미를 쳐놓고 날씨가 좋기를, 회사가 빨리 끝나기를, 태양과 달의 각거리가 조금 더 멀기를 기원했다 그러나 그 달은 그리 쉽게 모습을 드러내...
2016-02-26 17:36:17 조강욱 / 2016-01-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945
  • 스케치
  • 매년 추석 보름달은 10년째 울산 처가에서 맞고 있다 13년에도 14년에도, 올해도 울산의 추석 보름달은 맑고 밝기만 하다 13년 14년 15년 남은 2015년도 계획했던 모든 일들 이루어지시길 기원합니다! Nightwid 無雲
2015-09-30 09:05:37 rocky / 2015-09-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424
  • 스케치
  • 일몰 직후에 볼 수 있는 월령 1일의 작은 달. 대체 어떻게 생겼을까??? 벌써 거의 1년째 그 달을 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4년 11월 23일 서호주 피너클스 사막, 나는 사막의 모래먼지 한가운데 서서 월령 1일 달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나 낮동안 구름 한점 없이 뜨...
2015-08-27 18:17:42 조강욱 / 2015-08-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