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2] 꽃게탕 맛보고 가실께요! [스케치]
  • 조회 수: 10456, 2016-08-17 09:39:20(2016-08-17)

  • 2번, M2는 호핑길을 외우기 참 힘든 아이다.


    근처에 쉬운 호핑 시작점(물병 Beta)도 있는데 말이다.


    이유는.. 물병자리 별자리 그림 자체가 그리 매력적이지 않아서


    눈에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다.


    AQR.png



    수메르에서는 이걸 보고 어떻게 물병을 연상했을까..


    내가 물병자리에서 찾은 별무리는 물병자리 밑바닥의, 


    남쪽물고기자리 포말하우트와 고래자리 데네브 카이토스 사이의 역동적인 물결 모양의 흐름 뿐이다


    물병 별무리.JPG


    그나마도 너무 남쪽이라 우리나라에서는 잘 보이지도 않는다 


    (위의 그림은 호주에서 본 모습이다)



    어쨋든 간에.. 이 멋없는 커다란 별자리에는 가을하늘 최고의 구상성단이 위치해 있다.


    물병 하늘 공활한데 높고 천체 없이.. 


    황량한 하늘에 떡하니 떠 있는 존재감은 작은 망원경으로도 도저히 지나쳐갈 수가 없다



    2014년 천문인마을에서, 부산의 무교수님과 카톡을 하며 M2를 볼 계획이라 했더니 


    꽃게탕 맛있게 드시라는 답이 왔다


    이게 대체 무슨 얘기?


    그 답은 아이피스에 눈을 대고서 곧 알게 되었다



    [ M2 꽃게탕, 흰 종이에 샤프 - 천문인마을에서 조강욱 (2014) ]

    M2.jpg



    M2 본체에서부터 외부로 나오는 뾰족뾰족한 Star Chain이 마치 밤송이처럼 보이는데,


    그 중 동쪽 방향의 체인이 유독 길어서 집게발을 만든다


    꽃게.JPG



    인간의 (특히 별쟁이의) 상상력은 끝이 없다.






                                            2016. 8. 17

                                            Nightwid 無雲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034
  • 스케치
  • M7은 기원전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온 유서 깊은, 밝은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육안으로 보이는 모습은 항상 아쉬움만 자아낼 뿐.. 원래 어떻게까지 보여야 할지 알기 때문이다. 아는게 병일까.. 7번은 적위 -34.5도로 메시에 110개 대상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대상이...
2016-08-25 19:44:30 / 2016-08-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582
  • 스케치
  • 나에게는 6번, 7번과의 강렬한 첫 만남의 기억이 있다 벌써 햇수로 20년 전, 서울의 내 방에 누워 있어도 창문 유리를 통과하여 헤일밥이 보이던 시절이었다 그 혜성이 절정기를 보내던 1997년 4월, 나는 학교 수업도 제대로 듣지 않고 매일 헤일밥 보러 다닐 생각만 했...
2016-08-30 07:59:13 조강욱 / 2016-08-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34
  • 스케치
  • 음악을 사랑하시는 한솔형님께 여쭈어 보았다. 들으면 별이 생각나는 음악이 있는지? 질문과 동시에 얻은 답은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이었다 바로 집에서 브란덴부르크 5번 연주 동영상을 찾아서 들어본다. 나는 어떤 별이 생각날지.. 5번 1악장 후반부, 피...
2016-08-30 09:34:39 관심은하 / 2016-08-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0484
  • 스케치
  • 4번은 메시에 구상성단 중 가장 헤픈 아이일지도 모른다 그냥 막 다 보여주는 놈이기 때문이다 (밤하늘의 성자, 구상 계의 57번이라고 할까?) 우리가 너무 잘 보인다고 달을 홀대하는 것처럼, 우리는 M4를 잘 뜯어보려는 노력 또한 잘 하지 않는다 그저 성단 중심부의 ...
2016-08-23 06:51:48 조강욱 / 2016-08-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476
  • 스케치
  • 나에게는 M3에 대한 큰 고정관념이 있었다 바로 나의 스케치 스승님인 윤정한님의 2003년 스케치 때문이다. 무엇이 보이는가? 별다른 느낌이 들지 않으면 아래 가이드를 잘 보고 다시 보자 M3을 보며, 우리는 안시관측의 첫 번째 기적인 ‘아는 만큼 보인다’를 체험할 수...
2016-08-20 08:09:42 / 2016-08-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456
  • 스케치
  • 2번, M2는 호핑길을 외우기 참 힘든 아이다. 근처에 쉬운 호핑 시작점(물병 Beta)도 있는데 말이다. 이유는.. 물병자리 별자리 그림 자체가 그리 매력적이지 않아서 눈에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다. 수메르에서는 이걸 보고 어떻게 물병을 연상했을까.. 내가 물병자리...
2016-08-17 09:39:20 / 2016-08-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20
  • 스케치
  • 어디부터 이 긴 이야기를 시작해야 할까? 메시에 천체 110개를 관측하는 얘기를 말이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NGC처럼 적경별로? 아니면 내가 좋아하는 순서대로? 흠.. 메시에 얘기는 메시에가 번호를 붙인 순서 그대로 하는 것이 좋겠다. 메시에가 파리의 천문대에서 ...
2016-08-19 19:47:30 조강욱 / 2016-08-16
thumbnail
  • 김영대 조회 수: 8597
  • 스케치
  • 그냥 이대로는 귀국하면 뼛속 깊이 후회할 것 같아 뭐라고 남겨야한다는 강박관념으로 귀국 전날 겨우 암흑성운 하나 스케치 해봤습니다. 성도를 참고로 당시 시간으로 쌍안경으로 쉽게 (그리 많이 천청부근과 가깝지 않은...) 관측할 수 있는 암흑성운을 찾다가 전갈자...
2016-08-17 03:35:05 rocky / 2016-07-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865
  • 스케치
  • 여러 별친구들에게 화성이 보기 좋은 날이라는 얘기를 듣고서 화성 남중 시간에 맞추어 집 근처 생태공원에 자리를 폈다 게이트볼 하는 동네 아주머니들과 순찰하는 경찰 아찌들께 한참을 대민 봉사를 하고 이제 관측을 좀 하려 하니.. 이번엔 집에 계시던 마나님과 딸...
2016-06-07 21:37:42 조강욱 / 2016-06-01
thumbnail
  • 김영대 조회 수: 10214
  • 스케치
  • 5월 황금월령 기간을 이용해서 사모님을 모시고 신혼여행으로 서호주에 다녀왔습니다. 주변 지인들은 신혼여행으로 서호주 사막에 가는걸 이해하지 못했지만 (천문인들 빼고 일반인들...) 사모님이나 저 역시 즐겁게 남반구 하늘을 충분히 즐기고 왔습니다. 역시 남반구...
2016-07-11 04:45:56 김영대 / 2016-05-1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