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쉰다섯 번째 스케치(C10, NGC 663) [스케치]
  • 조회 수: 169, 2024-03-23 15:10:43(2024-01-28)
  • 지난번에 이어 이번에도 카시오페이아 근처의 천체를 스케치하게 되었다. 내가 다닌 관측지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방향 및 고도였던 것도 같다.

    이번 스케치는 세 번의 시도 끝에 완성되었지만 만족하지 못한 결과를 보여 준다. 관측지의 하늘과 집중의 문제라 생각해 본다.

    첫 번째 시도는 여러 일정으로 23년의 마지막 관측이었던 지난 1212일 처음 간 석모도인데, 듣던 데로 가로등과 광해가 있었지만 북서쪽 카시오페이아가 있는 하늘은 나름 볼만 했다. 벗고개보다는 조금 나은 듯하다. 한참 스케치하던 도중 펜슬이 일을 안 해서 중단하고.

    두 번째는 올 첫 관측인 15일 조경철천문대에서 이어 스케치하려고 준비하고 보니 석모도 보다 더 안 보여서 중단, 아마 이후에 조금 좋아지긴 했지만 보는 즐거움에 쉽사리 다시 시작하지 못했다.

    그리고 다시 17일 홍천, 해 떨어지기 전에 도착해서 오랜만에 초저녁부터 긴 시간 관측한 날이다. 하늘이 평소 홍천에 비해 좀 그렇지만 석모도 보다는 더 많은 별 들이 보여 마무리하였다.

     

    쉰다섯 번째 스케치 (C10, NGC663, Open Cluster)

     

    - 카시오페이아 내에 산개성단

    - +7.09, 14.0 arcmin, 2.4 킬로파섹, 7,900 광년, Tr Type III3(집중은 없으나 주변과 분리는 되고 밝고 어두운 별이 혼재함_NSOG1)

     

    카시오페이아의 네 번째 별 델타 루크바에서(Delta Cassiopeiae Ruchbah) 약 1도 떨어진 M103을 잇는 연장선을 1.6도 연장 한 위치에 C10 NGC663이 있다. 그리고 60mm 파인더에 양 끝에 루크바와 세긴을 최대한 붙이면 가운데에서 성단을 구분을 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시야각 0.85120배 아이피스로 보면 바로 찾을 수 있다.


    55-1_C10_NGC663_240107_홍천B.jpg



    3번에 걸쳐 스케치하다 보니 다른 대상에 비해 좀 더 오래 봤을 텐데 이상하리만치 결과는 그리 좋아 보이지 않는다. 우선 별의 색상을 전혀 표시하지 못했다. 또한 3개의 큰 이중성 중 SAO11968의 짝을 그리지 못했다. 11.4 등급 이었는데 왜 못 그렸는지 모르겠다. 분명 못 볼 수 없고 안 보일 리 없는데, 아마 작은 것은 나중에 그리려고 하다 중단되며 잊은 듯하다.

    그나마 표시한 별수가 NSOG에 나와 있는 별수 74(8/10“ 100, 15)보다 조금 많은 78개를 표시하였다. 이는 12/14” 100, 16분에서 80개와 비슷한 개수로 아마도 171배로 관측한 효과이지 않을까 생각된다.

     

    전체적인 모양은 중심에 이중성 두 개를 포함한 삼각형과 그 북쪽으로 밝은 별이 두 개씩 연결된 스타체인과 삼각형 아래 북에 남으로 조금씩 벌어지는 듯한 스타체인이 눈에 띈다.


    55_C10_NGC663_240107_홍천B-1[크기변환].jpg





    추가로 관측 후 찍은 기록용 사진도 추가해 본다.

    55-2_C10_NGC663_240107_홍천B.JPG

    10“Dob+EQP M1, Canon6D Mark II+Universal Paracorr, ISO 3,200, 6 Sec, Jpeg 1ea, 23/12/13 02:32

댓글 2

  • 조강욱

    2024.02.09 06:48

    확대해서 보니 밝은 별들은 빛번짐도 깨일같이 그려 주셨네요 넘 좋습니다 ㅎㅎ
  • 이동근

    2024.02.21 21:36

    감사합니다. 이곳에 댓글이 있으리라 예상 하지 못했습니다.

    별들의 빛 번짐은 매번 표시하는 것은 아니고 브러쉬를 만들때 빛 번짐(별에 가시) 모양으로 그려 브러쉬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결국 점 찍듯이 한번 찍으면 빛이 번지는 별이 됩니다. 별의 크기가 크면 더 잘 보이기는 합니다.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838
  • 스케치
  • 큰개자리에는 두 개의 메시에가 위치해 있다 메시에 41번과 93번.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육안관측 기록이 있을 정도로 밝은 41번에 비해 93번의 존재감은 미미하기 그지없다 93번의 생김새를 기억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나도 Tau星을 포함하는 멋진 성단 NGC 2362를 ...
2018-04-22 06:06:29 / 2018-04-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4
  • 스케치
  • 밤하늘의 구상성단을 밝기 순으로 나열하다보면, 많은 대상이 남천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list 중 노란색이 남천 대상) 북반구 트로이카라 불리는 13번, 5번, 3번도 6~8위 권을 겨우 유지할 뿐이다 그리고 400여 개의 모든 구상성단 중 11위를 보면, ...
2018-04-08 06:38:55 / 2018-04-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332
  • 스케치
  • T1 왼쪽에 위치한 4개의 메시에 은하, 88 – 91- 90 – 89 중 91번은 관측의 측면에서는 가장 볼만한 은하다 흐릿하게나마 나선팔이 보이기 때문이다 은하 관측에서 가장 관측자의 시선을 끄는 것은 Edge-on 은하의 Dark lane, 그리고 Face-on 은하의 나선팔일 것이다 M91...
2018-03-31 05:39:24 / 2018-03-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917
  • 스케치
  • T에서 왼쪽으로, M88과 91을 만나고 나선 다시 아랫쪽으로 방향을 꺾어서 90번과 89번, 87번까지 만나야 한다. 여기까지가 첫번째 T를 이용한 관측방법이다. 그런데 91을 지나서 어디서 어디로 방향을 꺾어야 할까? 여기에 아주 적절한 이정표가 있다. 하늘의 방패자리와...
2023-09-11 06:30:19 Chung / 2018-03-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046
  • 스케치
  • 처녀자리의 그 수많은 은하들은 별 특징 없이 그저 둥글거나 동그랗거나.. 대부분은 재미 없는 타원은하들이다 머리털자리의 멋진 아이들을 절반만이라도 닮았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M89 그 자체도 전혀 특별할 것이 없는 심심한 타원은하이다. 굳이 찾는다면 아주 밝은...
2018-03-05 04:51:27 / 2018-03-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243
  • 스케치
  • T 모양 키스톤들을 이용하면 처녀자리 은하단을 쉽게 여행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지만, 초심자에겐 T 자체를 찾는 것 또한 큰 도전이다. T를 파인더에 도입해야 거기서부터 무언가를 할 수 있는데 그 T는 6~7등급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날씨가 조금만 좋지...
2018-03-05 04:50:28 / 2018-02-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750
  • 스케치
  • 처녀자리 은하단의 가장 밝은 은하 M87. 87번에는 오래된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미국 아줌마가 24인치로 타원은하의 Jet을 알현하였다는 전설의 기록 말이다.. 우선 허블로 찍은 사진을 보자 (중국산 허블미러 말고.. 우주에서 일하던 그것) 무언가 엄청 그럴듯해 보이...
2018-02-11 06:17:26 / 2018-02-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089
  • 스케치
  • 썩소를 짓고 있는 얼굴 표정, 84 & 86 주위의 은하 9개 중에서 나는 M86 위의 눈썹인 NGC 4402를 가장 좋아한다. [ 7천만광년 저 편에서 썩소를 날리다 - 15인치 반사,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 조강욱 (2014) ] 뭐가 86번인지 4402인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
2018-09-23 02:04:43 / 2018-02-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423
  • 스케치
  • 메시에 완주를 꿈꾸는 사람들이 필연적으로 넘어야 하는 가장 높은 허들은 단연 머리털-처녀자리 은하단이다. 85번부터 61번까지 이어지는 16개의 은하들 (104번 제외) 이것도 저것도 다 똑같이 생긴 솜뭉치들 사이에서 길을 잃고 여기저기 휘휘 돌려봐도 모두 뭐가 뭔...
2018-02-06 18:01:44 바람검 / 2018-01-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294
  • 스케치
  • 1996년, 대학교 1학년 겨울에 8인치로 처음 이 지역을 보았을 때의 신선한 충격을 나는 아직 잊을 수가 없다 Messier 84와 86번을 중심으로 모여 있는 9개의 은하. 당시 내가 가지고 있던 유일한 아이피스인 다카하시 30mm 83배짜리 번들 아이피스로 한 시야에서 가장 ...
2018-02-03 06:41:55 관심은하 / 2018-01-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