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rschel Sprint List [관측목록/대상]
-
조회 수: 870, 2023-02-04 16:24:53(2022-11-23)
-
춘분시즌에 대구경 망원경으로 도전이 가능한, 메시에 마라톤같은 하룻밤 마라톤....
우리나라에서 될지는 잘 모르겠지만...
Observers, experience William Herschel’s “Night of Discovery,” featured in the April 2015 issue of Sky & Telescope, for yourself!
Like the Messier Marathon, the Herschel Sprint can be completed in one moonless night in the spring. Purists can recreate the sweep using an eyepiece that provides a magnification of about 150x, sweeping in a north–south pattern over a 2–3° field as stars drift into view from the east.
Modern eyepieces provide much wider fields of view than the ones Herschel employed. To further authenticate the experience, choose a higher magnification eyepiece that provides a 15–20′ field, or use an older style eyepiece (for example, an orthoscopic with a 45° or 50° field of view). Others may prefer to use a good star atlas or computer-assisted telescope to more quickly locate objects and provide more time to study each one.
You will likely need at least a 15-inch aperture telescope to ensure total success, but observers using smaller telescopes can observe many, if not most, of the objects on the list with little difficulty.
S&T contributor Mark Bratton has compiled an extensive table to guide your quest (download as a .pdf or an Excel file). Let us know via e-mail or by leaving a comment: What is the minimum aperture that reveals all 73 objects? How successful was your spring sprint?
출처
https://skyandtelescope.org/sky-and-telescope-magazine/herschel-sprint/
[번역기가 알려주는 내용입니다 ^^;]
메시에 마라톤처럼, 허셜 스프린트는 봄에 달이 없는 밤에 완주할 수 있다. 순수주의자들은 약 150배의 배율을 제공하는 접안렌즈를 사용하여 별들이 동쪽에서 시야로 이동할 때 2-3°의 영역에 걸쳐 남북 패턴으로 쓸 수 있다.
현대의 아이피스는 허셜이 사용한 것보다 훨씬 넓은 시야를 제공한다. 경험을 더욱 인증하려면 15-20' 필드를 제공하는 고배율 접안렌즈를 선택하거나 오래된 스타일의 접안렌즈(예: 45° 또는 50° 시야를 가진 직교)를 사용하십시오. 다른 사람들은 더 빨리 물체를 찾고 각각을 연구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좋은 별 지도책이나 컴퓨터 지원 망원경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당신은 완전한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최소한 15인치 구경 망원경이 필요할 것 같지만, 더 작은 망원경을 사용하는 관찰자들은 목록에 있는 많은, 비록 대부분은 아니더라도, 거의 어렵지 않게 그 목록에 있는 물체들을 관찰할 수 있다.
번호 | 분류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70 | 관측목록/대상 | 홍대기 | 70 | 2025-02-02 | |
⇒ | 관측목록/대상 | 김승희 | 870 | 2022-11-23 | |
68 | 관측목록/대상 | 최윤호 | 1011 | 2021-12-27 | |
67 | 관측목록/대상 | 최윤호 | 1012 | 2021-12-09 | |
66 | 관측목록/대상 |
힉슨 목록 관측기 링크
+2
| 최윤호 | 1279 | 2021-07-11 |
65 | 관측목록/대상 | 조강욱 | 6216 | 2016-05-26 | |
64 | 관측목록/대상 |
M33을 파헤쳐보자...
+10
![]() | 장형석 | 8340 | 2014-11-27 |
63 | 관측목록/대상 | 장형석 | 7665 | 2014-10-22 | |
62 | 관측목록/대상 | 조강욱 | 10276 | 2014-09-11 | |
61 | 관측목록/대상 | 장형석 | 6832 | 2014-09-04 |
sky safari 에 온라인 목록에 있어서, import 해 뒀습니다.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