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관측 정보 ~☆+
-
우주론 공부 [일반]
-
김병수조회 수: 6862, 2016-05-24 21:17:03(2016-05-22)
-
점점 아이피스를 들여다 보는 시간 보다 우주에 관한 책을 보는 시간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성향이 그런가 봐요...
최근에 우주론 공부를 다시 시작했습니다.
edX라는 온라인 강의를 따라가면서 하고 있습니다.
https://www.edx.org/course/astrophysics-cosmology-anux-anu-astro4x 를 참고하세요.
호주 국립대학의 2명의 교수가 강의하는데, 그 중 한 명은 2011년 노벨상을 탄 Brian Schmidt란 분입니다.
메인강사의 호주 액센트가 강해서 알아듣기 힘든 부분도 있지만, 영어 script가 있어서 의지만 있다면 따라가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삼라만상 우주의 모든것이 어떻게 시작했고, 어떤 과정을 거쳐서 여기까지 왔고, 앞으로는 어떻게 될 것인지...
이런 근본적인 질문에 대해 답해줄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 감사합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64 | 일반 | 이윤행 | 9159 | 2016-08-08 | |
⇒ | 일반 |
우주론 공부
+5
| 김병수 | 6862 | 2016-05-22 |
62 | 일반 |
화성지형도(사진추가)
+2
![]() | 김남희 | 5951 | 2016-05-20 |
61 | 일반 | 김병수 | 12920 | 2016-03-19 | |
60 | 일반 |
2016 개기일식 중계
+8
| 김병수 | 5134 | 2016-03-09 |
59 | 일반 |
'메시에' 이야기
+10
![]() | 김민회 | 7555 | 2016-03-01 |
58 | 일반 |
Abell PN
+4
![]() | 박진우 | 6998 | 2015-11-29 |
57 | 일반 | 김병수 | 13565 | 2015-10-11 | |
56 | 일반 | 조강욱 | 7081 | 2015-09-17 | |
55 | 일반 | 박한규 | 6049 | 2015-06-15 |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짧은 영어실력이 아쉽지만 그나마 자막이 있어 좀 낫군요 ㅎ
고대에도 우주나 자연 현상에대해 나름 해석 했던 것 처럼 지금 까지 밝혀진 것이 절대 진리 일지는 모르겠지만
과학이란게 현시점에서 알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것이라 본다면 우리가 이렇게 과학을 접하고 느낄 수 있는 것이 참 감사한 일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