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놀이터의 무아지경 - Gassendi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2347, 2011-12-07 18:20:26(2011-11-13)
  • 집에 있는 6만원짜리 적도의(EQ2)로 첫 관측 후 실망하여

    남희님께 그냥 드리겠다고 양도도 아닌 떠넘기기를 선언했었는데..

    http://www.nightflight.or.kr/xe/free/29978


    10월 어느 달이 밝은 밤.. 그냥 문득 달이 보고싶어졌다

    그리고 이전 관측에서 무게추를 안 가져간 것이 생각나서

    진짜 이것 때문에 그런 것일까 혹시나 하여 그애도 같이 가지고 나갔다



    차를 타고 어디 가는 것은 너무 오바인 것 같고..

    아파트숲 사이로 북극성과 달이 보이는 놀이터 벤치에 장비를 내려놓았다

    망경을 조립하고 극망 없는 적도의를 눈대중으로 대충 북극성을 향하게 하고..

    (극축을 맞추는 행위는 1996년 이후로 올 가을에 처음 시도해 보는 것이다)

    레드닷 포인터도 엄청난 고민과 노력(ㅡ.,ㅡㅋㅋ) 끝에 배터리 넣는 곳을 발견하여 파인더 축도 맞추어주고..

    그리고 큰 기대 없이 달을 잡고 tracking을 돌리니..

    이런 세상에....

    추적이 된다

    내 손으로 맞춘 별이 멀쩡히 트랙킹이 되는 것은 망원경을 만지기 시작한 이후로 처음 있는 일이다

    쩝.... 그간의 삽질은 별로 생각하기 싫고, ㅡ,ㅡ;;;

    최강의 협시야를 자랑하는 Pentax XO 5mm를 끼우고 나름 고배율로 달을 본다

    달을 언제 마지막으로 관측했는지 헤아리다간 천벌만 더 키울 것 같아서 생각을 하지 않기로 한다


    아쉽다.. 아쉽다.. 구경이 참말 아쉽다...

    Gassendi가 이렇게 코딱지 절반만하게 보이는데.. 여기에 만족하고 봐야 하는 것일까..


    그 와중에 중학생쯤 되어 보이는 남학생이 다가왔다 (자정 즈음)

    "와~~ 진짜 멋지다.. 아저씨 이거 천체망원경이에요?"

    "어 일루와서 봐봐. 달이야"

    "와~~ 진짜 멋지다.. 저 망원경 처음 봐요 크레이터가 막 보여요"

    "그래.. 니가 지금 보고 있는 곰보들 하나하나 다 이름이 있어"

    "와~~ 진짜 멋지다.. 엄마한테 망원경 사달랬는데 안사준대요"

    "이 시간까지 안자고 돌아다니니 안사주지 ㅡ_ㅡ;;;"

    "와~~ 진짜 멋지다.. 안녕히 계세요~"


    까까머리 중학생 애와 얘기를 나눈 후.. 갑자기 의욕이 샘솟아서,

    집에서 스케치북과 샤프를 꺼내와서 가센디를 그렸다

    휴대폰으로 굴드베르크를 틀어놓고,

    구름과자 하나 물고,

    벤치에 앉아서 무릎에 스케치북을 놓고

    왼손에는 눈부신 LED 랜턴을 들고

    우둔한 오른손으로 샤프를 잡고

    머리로는 미술선생님의 가르침을 떠올리며.. (크게 보고 명암의 줄기부터 잡으셔야 해요)

    나만의 행복에 빠져든다


    그림이 서툴던,

    환경이 열악하던,

    망원경이 작던,

    구름이 흘러가던 간에....


    자정이 넘은 시각,

    적막한 1만6천세대 은평뉴타운 한구석에서

    내 눈과 귀와 입과 머리와 손은 무아지경에 빠져 간다.



    [Gassendi & Mare Humorum]





                               Nightwid 無雲

댓글 4

  • 김남희

    2011.11.16 06:29

    그러니까 안 준다는 얘기지?!.....ㅎ
  • 조강욱

    2011.11.16 17:56

    네 마음이 바뀌었어요 ㅎ
  • 이한솔

    2011.11.16 19:59

    강욱님 ....
    광축 잘맞추고..., 극축 잘 맞추고...., 무게중심 잘 맞춰서...
    있는 장비로 최고의 결과물을 뽑아낼 수 있는 ....

    '장비 책임제'도 필요 할 듯 싶습니다. ^^;
  • 조강욱

    2011.11.16 21:37

    ㅎㅎㅎ 정곡을 찌르셨군요..
    일전에 한솔님께 광축 맞추기를 배운 뒤로 느낀점이 많습니다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M57 .... +10 file
  • 김지현 조회 수: 12359
  • 스케치
  • 지난 3월 천문인 마을에서 그린 M57입니다. 얼어붙은 손을 호호 불던 기억이 새롭게 떠오릅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아름답고, 가장 커다란 미술관은... 하늘이 아닐까 생각해보았습니다. 하늘 미술관의 멋진 작품들을 망원경과 눈동자와 손끝으로 더 자주.....
2013-04-09 00:02:38 / 2010-09-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47
  • 스케치
  • 집에 있는 6만원짜리 적도의(EQ2)로 첫 관측 후 실망하여 남희님께 그냥 드리겠다고 양도도 아닌 떠넘기기를 선언했었는데.. http://www.nightflight.or.kr/xe/free/29978 10월 어느 달이 밝은 밤.. 그냥 문득 달이 보고싶어졌다 그리고 이전 관측에서 무게추를 안 가져...
2011-12-07 18:20:26 / 2011-1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193
  • 스케치
  • 10번은 뱀주인자리 5형제(비록 노잼 5형제지만) 중의 맏형이다. 북천 트로이카 13번, 5번, 3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아이지만 말이다 그렇다 해도 볼 것이 없는 것은 아니다 모든 구상성단은 저마다의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그 중 10번은 구상 중에서도 참 ...
2016-09-08 05:25:37 조강욱 / 2016-08-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98
  • 스케치
  • 69 - 70 - 54. 딱 거기까지다 별을 좀 본다는 사람들도 궁수자리 바닥에 위치한 세 개의 작은 구상성단의 순서, 69번 → 70번 → 54번.. 그 이상의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리 밝지도 특이하지도 않은 애들이기 때문이다. 우주 상에서 그리 큰 관계가 없을 두 성...
2017-06-25 06:18:54 / 2017-06-25
thumbnail
2013-04-08 23:11:10 최형주 / 2012-06-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40
  • 스케치
  • 원래 계획은 메시에 110개 스케치를 모두 완성한 다음 날부터 칼럼 연재를 시작하려 했는데, 별 이유 없이 차일피일 미루게 된 것은 M9번 때문이었다 흠 그래 1번은 1054년 얘기 쓰고 2번은 꽃게 쓰고 3번은 고속도로 4번은 하트... 하다 보니.. 9번은 뭘 쓰지? 쓸 말이...
2016-08-30 07:49:18 조강욱 / 2016-08-29
thumbnail
  • M29 +1 file
  • 강명우 조회 수: 11990
  • 스케치
  • M29 입니다. 나비를 연상케하는 이쁜 산개성단입니다. ^^ 추석은 다들 잘보내셨는지요?? 위, 아래 두 성운끼 안으로 위쪽에 세개 아랫쪽에 세개의 별이 굉장히 이쁘게 잘 보입니다. ^^ 한번 찾아보세요~
2013-04-09 00:01:20 / 2010-09-25
thumbnail
  • 박상구 조회 수: 11962
  • 스케치
  • 올 여름 장마는 유난히 지루하게 느껴집니다. 장마에 바쁜 일정까지 겹쳐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밤하늘에 아무 것도 안보이면 기력이 빠지는 느낌인데 어쩌다 맑은 날이 와도 야근이니... 그래도 인터넷에서 쓸만한 사진을 찾아서 그려보는 연습은 할 수 있어 다...
2013-08-01 21:11:07 조강욱 / 2013-07-30
thumbnail
  • 서강일 조회 수: 11922
  • 스케치
  • 2012년 11월 이후에 못하던 관측을 다시 시작하면서! 소규모 10대 친구들과 함께 강원도 귀래면에 있는 귀래정에서 관측을 진행했습니다. 날이 좋았는데 일요일에 비가 오려고 해서 그런건지.... 계속 연무가 끼고, 날이 풀리면서 산에서 도랑으로 물이흘러 안개가 약간...
2013-04-08 21:23:55 서강일 / 2013-03-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917
  • 스케치
  • 54번은 그저 평범한, 구상성단으로서는 적당한 크기의 적당한 밝기의 아이지만 나름 꽤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성단 내부의 별 배치와 헤일로가 반대 방향으로 보이는 것이다 구상성단의 분해되지 않는 외곽 부분의 성운기를 뭐라고 불러야 맞는 것인지는 나도 잘 모...
2017-02-11 04:21:39 / 2017-02-11
thumbnail
  • 문상혁 조회 수: 11911
  • 스케치
  • 거의 관측 할 때 마다 본 대상이지만 스케치하는것은 처음이네요 저배율로 전체적으로 그린 후 밀집지역은 고배율 아이피스로 갈아끼워서 스케치했습니다 항상 학교 운동장에서 관측할 수밖에 없다보니 광해를 벗어날 수가 없네요.. 학교 불 꺼진 후에는 그나마 나아졌...
2013-04-09 00:00:27 / 2010-10-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6
  • 스케치
  • 미국의 안시 관측가인 Steve Coe 할아버지가 말씀하셨다는 유명한 별동네 격언(?)이 있다 "만약 내가 오리온 대성운을 보는 것이 지겨워질 때가 온다면 그 때는 내 장례식 날짜를 잡아야 할 것이다" 언제 왜 그런 얘기를 한 것인지 아쉽게도 그 원문은 찾을 수 없었지만...
2016-12-14 04:26:55 / 2016-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4
  • 스케치
  • 20년 전, 대학생이 되면 꼭 김광석의 라이브 공연에 가보고 천문동아리에 들어서 망원경으로 하늘을 보고 싶다는 두가지 명확한 소망을 가진 고3 학생이 있었다 그러나 대학교 원서 내고 오는 길에 신문 가판대에서 김광석 사망 기사를 만났고 아직 동아리방도 구하지 ...
2016-10-13 09:07:44 김재곤 / 2016-09-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41
  • 스케치
  • 1841년, 남쪽 하늘에 갑자기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 생겼다 그렇다고 초신성도 아니고..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질량이 큰 별인 카리나자리 에타별에서 분출된 물질들로 인하여 그렇게 밝아진 것이다. 이름하여 "The giant eruptions" 지겹도록 봐 온 사진이지만, 그 비...
2012-03-28 02:00:10 / 2010-09-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35
  • 스케치
  • 71번은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대상이다 이게 정말 구상성단이 맞을까? 생긴거는 꼭 산개성단 M11 비슷하게 생겼는데.. 우리들 뿐 아니라 천문학자들도 1970년대까지는 M71을 산개성단으로 분류해 놓았었다 최근에야 구성 별들의 성분 분석을 통해 구상성단임이 밝혀진...
2017-07-10 03:21:16 / 2017-07-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774
  • 스케치
  • 소모적(이라고 말하면 내 일과 삶이 너무 허무해 지지만)이고 물리적, 정신적으로 여유를 가지기 어려운 생활을 이어오다보니.. 스케치 게시판에 글을 올린지도 벌써 반년이 지났다 (별보러 갔다 온지도 4개월이 되었다) 일전에 안철수 교수의 인터뷰를 퇴근길에 DMB로 ...
2012-04-08 07:40:24 빌리 / 2012-01-0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734
  • 스케치
  • 관측 기록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2903 겨울 밤하늘에는 환상의 짝궁이 몇 커플 있습니다 M46 & NGC2438 도 있고, NGC2207 & IC2163 도 있고.. 더 생각해보면 M44와 NGC2624 일당들, IC434와 B33, NGC2362와 큰개Tau, M42/43과 NGC1976, ...
2012-03-28 22:44:28 / 2010-01-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97
  • 스케치
  • 2013년 2월. 지구 최근접 소행성이 지나간 날이었다 거 기왕 지나가는거 주말에 지나가면 좋으련만.. 금요일 저녁이다 한 주의 피로를 한가득 안고 퇴근하자 마자 밥도 안 먹고 짐 챙겨서 천문인마을로 출발. 불금의 정체를 뚫고 자정이나 되어서야 시린 늦겨울 별들과 ...
2017-04-18 03:37:26 / 2017-04-18
thumbnail
  • 십자성 조회 수: 11676
  • 스케치
  • 이 그림은 어젯밤 작성한 것인데, 가타나와 같이 올려봄니다. 올가을 부터 가동을 시작한 장비가 관측 효율이 매우 높아, 주로 달관측에 활용하고있음니다. 당분간은 달에 전념할거 같음니다. 가끔 딮슥하이도 보고 싶기는 한데......여기 올린 지역은 특이하게 분화구B...
2013-04-08 23:58:09 / 2011-0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15
  • 스케치
  • 밤하늘에는 안시용 대상과 사진용 대상이 있다 물론 밤하늘의 성자 57번처럼 안시로도 사진으로도 모두 만족스러운 대상도 있지만 말이다. 나는 안시쟁이라 장시간 노출로만 화려하게 나오는 희미한 성운류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아무리 해도 사진 만큼의 감동을 느끼...
2016-09-14 07:48:37 / 2016-09-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