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카테나와 크라프트 화구 [스케치]
  • 십자성(민경신)
    조회 수: 14691, 2013-04-08 23:58:24(2011-01-19)


  • 네이버 카페에서  조강욱님의  신청곡은  이번에  관측기회를  놓치고,   대신에     여기 사이트에  눈동냥  보았던  카타나,  크라프트를   월령이  알맞아서   오늘   스케치 했음니다.     시잉이   아주  나빠  좋은  결과를  얻을순  없었지요.   올  겨울은   계속  시잉이  안좋네요.   한번  소개해  올려봄니다.    이 지역은  구조가  단순하여  그리기  쉽고,    해롤드 힐씨의  스케치와  비교해 보면  재미있겠음니다.  점묘법......  정말  어려운  기법이지요.   /////야간비행  동호회 회원 님들  안녕하심니까 ?......  좋은  하루  되십시요.

댓글 5

  • 조강욱

    2011.01.19 21:51

    민경신님 안녕하세요.

    Catena Krafft.. 압도적인 디테일입니다 ^^
    단순 비교야 어렵겠지만.. Hill 할아버지 스케치보다도 구조적인 특징이 더 잘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Cardanus와 Krafft의 그림자는 먹물+아크릴물감인가요? 완벽한 어둠에 톤까지 맞으니 명암이 더욱 살아나네요..

    Crater chain의 심플하면서도 사실감있는 표현에... 기가 죽습니다.. 틈 사이로 막 빠져들 것 같아요 ㅎㅎ
  • 전은경

    2011.01.20 00:53

    스켓치 넘 멋집니다.
    제겐, 제가 봤던 달 스켓치들이랑 느낌이 참 다릅니다.
    멋진 작품 감상의 기회를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앞으로 자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 .
  • 김병수

    2011.01.21 02:44

    저도 저날 저기 보고 있었는데...
    설마 저렇게 잘 보이려구...하면서 밑을 봤더니 8인치 refractor로 340-700배 이군요.
    저는 6인치 SCT로 봅니다만 200배 넘어가면 seeing이 받쳐 주지를 못합니다.
    옥상 관측의 한계라고 자위해 봅니다.

    화면에는 안나왔지만 북동쪽의 Seleucus위 부터 이어지는 선(그림에서는 제일 아래쪽 언덕 같네요.)이 저렇게 두 줄로 보이는 군요. 다음 달에 한 번 더 열심히 찾아 보겠습니다.

    잘 봤구요. 앞으로도 좋은 스케치 부탁드립니다.
  • 십자성

    2011.01.21 06:54

    ㅁㄴSmS
  • 민경신

    2011.01.21 07:12

    XXdd....아, 이제야 답글 쓰기가 되는군요. 컴맹이라.....격려글 감사함니다. ///// 위의 스케치 화면에 씨잉이 2-3으로 하위권인데, 어찌 700배를 적용하고, 또 이정도로 디테일이 나오냐? ............그것은 이렇음니다. 전반적으로 10분 관측하면 , 9분 30초는 100배도 적용할수없는 흔들리는 상이고, 약 30초동안만이 씨잉 7 의 상이 섬니다. 30초가 연속 시잉 7이 아니고, ....0.5초 동안 잘 보이다가 , 싱이 악화되고, 다시 30초나 1분뒤 0.7초동안 잘 보이고.... 를 반복하는 것이며, 이런 각각의 최고의순간 들을 그때 그때 잡아 기록하는 것임니다. ,,,, 따라서 화면에 표시된 씨잉의 숫자는 전반적인 하늘의 상태를 의미함니다. 그리고 저의 장비가 8인치라서 16인치등의 대구경에 비하면 시잉의 영향이 훨신 적겠지요.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91
  • 스케치
  • 20년 전, 대학생이 되면 꼭 김광석의 라이브 공연에 가보고 천문동아리에 들어서 망원경으로 하늘을 보고 싶다는 두가지 명확한 소망을 가진 고3 학생이 있었다 그러나 대학교 원서 내고 오는 길에 신문 가판대에서 김광석 사망 기사를 만났고 아직 동아리방도 구하지 ...
2016-10-13 09:07:44 김재곤 / 2016-09-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34
  • 스케치
  • 23번의 점들을 찍는 데는 무려 이틀의 시간이 필요했다 꽤 밝은 산개성단이긴 하지만 그만큼의 대작을 만들 계획은 전혀 없었고, 단지 시간이 부족했을 뿐이었다 [ M23과 버섯돌이 - 검은 종이에 젤리펜, 인제에서 조강욱 (2016) ] [ Description : 버섯파인가 화살파인...
2016-10-05 07:12:33 / 2016-10-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508
  • 스케치
  • 메시에 110개 중에 가장 그리기 싫었던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단연 M24. 성운도 성단도 은하도 아닌 별이 가장 많은 은하수 조각인 24번을 대체 무슨 수로 그린단 말인가. (출처 : http://www.astrophotographos.com/photos/Star%20Cluster%20images/M24qa.jpg) 미루고 ...
2016-10-09 04:50:13 러기 / 2016-10-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90
  • 스케치
  • 25번은 보는 순간 오~ 하는 탄성을 부르게 할만한 궁수자리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25번이 어떻게 생겼더라? 잘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은 워낙에 인물이 많은 궁수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25번의 중심부에는 두 줄기의 스타체인이 동서로 뻗으며 흡사 석호성운의 암흑대와 ...
2016-10-16 03:50:46 / 2016-10-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236
  • 스케치
  • 방패자리의 두 대상 중 M11은 이전에 쓴 글과 같이 10번까지 번호 붙여가며 침 튀기며 관측 point를 논한 반면에.. M26은 찾는 사람도 기억하는 사람도 별로 없는 은하수 안을 떠도는 쓸쓸한 성단이다 처음으로 EQ를 사용하여 하룻밤 2~3개에 그치던 스케치를 무려 7개...
2016-10-18 04:37:03 / 2016-10-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706
  • 스케치
  • 먹다버린 사과. 아령성운이란 공식 별칭보다 훨씬 먼저 사과라는 이름과 친해지게 되었다 하긴 웨이트 트레이닝보단 맛있는 사과가 낫지! 그리고, 구경을 키우거나 OⅢ 필터를 사용하면 이젠 더 이상 먹다버린 사과가 아니다. 먹기 전의 사과라고 하기엔 너무 타원형이고...
2016-10-23 14:43:34 / 2016-10-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8637
  • 스케치
  • 28번은 대학 동아리 시절 후배들에게 호핑법을 가르쳐줄 때 유용하게 쓰던 아이다 성도 상에도 주전자 뚜껑 별(λ)에서 직각을 이루며 한 번은 큰 놈(22번), 한 번은 작은 놈(28번)으로 번갈아 찾아가며 구상성단의 감을 잡게 만들었던 아이인데.... 22번을 그렇게도 아...
2016-10-26 04:36:28 / 2016-10-2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169
  • 스케치
  • 밤하늘에는 대체 이게 뭐하러 메시에 리스트에 들어왔는지 이해할 수 없는 애들이 꽤 있다 대부분의 9번들이 그렇듯, 29번도 마찬가지이다 궁수 주전자 뚜껑 부분과 함께, 북반구에서 가장 복잡한 영역인 백조의 심장(Gamma) 근처에 M29가 위치해 있다 십수개의 별들로 ...
2017-12-14 05:21:28 / 2016-10-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281
  • 스케치
  • 30번을 처음 본 것은 아마도 1999년에 병장 휴가 나와서 처음 봤을거고 (이 휴가에서 뱀주인과 염소를 마지막으로 첫번째 메시에 완주) 매년 메시에마라톤 때만 찾아봤는데.. 난 2001년 1회 마라톤부터 한 번도 30번을 찾은 적이 없다 어떻게 생긴 아이였는지 기억조차 ...
2016-11-03 04:49:57 / 2016-11-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693
  • 스케치
  • 42번 오리온 대성운과 함께 31번 안드로메다 은하는 지구상에서 가장 유명한 대상이다 (굳이 꼽으라면 Barnard 33번 말머리성운과 함께 3인방이라 할까?) 그러나 안시관측으로도 초보나 고수나 일반인이나 모두를 만족시키는 오리온 성운에 비해서 안드로메다 은하를 아...
2016-11-10 12:56:48 / 2016-11-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