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카테나와 크라프트 화구 [스케치]
  • 십자성(민경신)
    조회 수: 14688, 2013-04-08 23:58:24(2011-01-19)


  • 네이버 카페에서  조강욱님의  신청곡은  이번에  관측기회를  놓치고,   대신에     여기 사이트에  눈동냥  보았던  카타나,  크라프트를   월령이  알맞아서   오늘   스케치 했음니다.     시잉이   아주  나빠  좋은  결과를  얻을순  없었지요.   올  겨울은   계속  시잉이  안좋네요.   한번  소개해  올려봄니다.    이 지역은  구조가  단순하여  그리기  쉽고,    해롤드 힐씨의  스케치와  비교해 보면  재미있겠음니다.  점묘법......  정말  어려운  기법이지요.   /////야간비행  동호회 회원 님들  안녕하심니까 ?......  좋은  하루  되십시요.

댓글 5

  • 조강욱

    2011.01.19 21:51

    민경신님 안녕하세요.

    Catena Krafft.. 압도적인 디테일입니다 ^^
    단순 비교야 어렵겠지만.. Hill 할아버지 스케치보다도 구조적인 특징이 더 잘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Cardanus와 Krafft의 그림자는 먹물+아크릴물감인가요? 완벽한 어둠에 톤까지 맞으니 명암이 더욱 살아나네요..

    Crater chain의 심플하면서도 사실감있는 표현에... 기가 죽습니다.. 틈 사이로 막 빠져들 것 같아요 ㅎㅎ
  • 전은경

    2011.01.20 00:53

    스켓치 넘 멋집니다.
    제겐, 제가 봤던 달 스켓치들이랑 느낌이 참 다릅니다.
    멋진 작품 감상의 기회를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앞으로 자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 .
  • 김병수

    2011.01.21 02:44

    저도 저날 저기 보고 있었는데...
    설마 저렇게 잘 보이려구...하면서 밑을 봤더니 8인치 refractor로 340-700배 이군요.
    저는 6인치 SCT로 봅니다만 200배 넘어가면 seeing이 받쳐 주지를 못합니다.
    옥상 관측의 한계라고 자위해 봅니다.

    화면에는 안나왔지만 북동쪽의 Seleucus위 부터 이어지는 선(그림에서는 제일 아래쪽 언덕 같네요.)이 저렇게 두 줄로 보이는 군요. 다음 달에 한 번 더 열심히 찾아 보겠습니다.

    잘 봤구요. 앞으로도 좋은 스케치 부탁드립니다.
  • 십자성

    2011.01.21 06:54

    ㅁㄴSmS
  • 민경신

    2011.01.21 07:12

    XXdd....아, 이제야 답글 쓰기가 되는군요. 컴맹이라.....격려글 감사함니다. ///// 위의 스케치 화면에 씨잉이 2-3으로 하위권인데, 어찌 700배를 적용하고, 또 이정도로 디테일이 나오냐? ............그것은 이렇음니다. 전반적으로 10분 관측하면 , 9분 30초는 100배도 적용할수없는 흔들리는 상이고, 약 30초동안만이 씨잉 7 의 상이 섬니다. 30초가 연속 시잉 7이 아니고, ....0.5초 동안 잘 보이다가 , 싱이 악화되고, 다시 30초나 1분뒤 0.7초동안 잘 보이고.... 를 반복하는 것이며, 이런 각각의 최고의순간 들을 그때 그때 잡아 기록하는 것임니다. ,,,, 따라서 화면에 표시된 씨잉의 숫자는 전반적인 하늘의 상태를 의미함니다. 그리고 저의 장비가 8인치라서 16인치등의 대구경에 비하면 시잉의 영향이 훨신 적겠지요.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46
  • 스케치
  • 음악을 사랑하시는 한솔형님께 여쭈어 보았다. 들으면 별이 생각나는 음악이 있는지? 질문과 동시에 얻은 답은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이었다 바로 집에서 브란덴부르크 5번 연주 동영상을 찾아서 들어본다. 나는 어떤 별이 생각날지.. 5번 1악장 후반부, 피...
2016-08-30 09:34:39 관심은하 / 2016-08-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590
  • 스케치
  • 나에게는 6번, 7번과의 강렬한 첫 만남의 기억이 있다 벌써 햇수로 20년 전, 서울의 내 방에 누워 있어도 창문 유리를 통과하여 헤일밥이 보이던 시절이었다 그 혜성이 절정기를 보내던 1997년 4월, 나는 학교 수업도 제대로 듣지 않고 매일 헤일밥 보러 다닐 생각만 했...
2016-08-30 07:59:13 조강욱 / 2016-08-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046
  • 스케치
  • M7은 기원전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온 유서 깊은, 밝은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육안으로 보이는 모습은 항상 아쉬움만 자아낼 뿐.. 원래 어떻게까지 보여야 할지 알기 때문이다. 아는게 병일까.. 7번은 적위 -34.5도로 메시에 110개 대상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대상이...
2016-08-25 19:44:30 / 2016-08-25
thumbnail
  • 정병호 조회 수: 9885
  • 스케치
  • 2003년에 그린 것들입니다. 조자폐님의 스케치를 보고 생각이 나서 올립니다. 셋 다 3시간 반 정도 걸렸습니다. M7 은 그리면서도 좀 문제 있다 생각했는데, 고치자니 너무 방대한 작업이 되겠길래 그냥... ㅎㅎ 스케치 하는 사람의 자세가 아니에요 ㅋㅋ
2016-08-30 07:55:00 조강욱 / 2016-08-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976
  • 스케치
  • 석호가 대체 무얼까? 20년이 넘도록 말하고 들어왔던 그 용어, 석호성운. 그게 대체 무언지 너무나 궁금해졌다 결국 네이버에서 한참을 뒤져서 겨우 대충 이해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경포대 앞의 경포호가 대표적인 석호인데, 원래는 해안선의 일부였으나 해안에 퇴적...
2016-08-27 09:16:26 / 2016-08-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40
  • 스케치
  • 원래 계획은 메시에 110개 스케치를 모두 완성한 다음 날부터 칼럼 연재를 시작하려 했는데, 별 이유 없이 차일피일 미루게 된 것은 M9번 때문이었다 흠 그래 1번은 1054년 얘기 쓰고 2번은 꽃게 쓰고 3번은 고속도로 4번은 하트... 하다 보니.. 9번은 뭘 쓰지? 쓸 말이...
2016-08-30 07:49:18 조강욱 / 2016-08-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194
  • 스케치
  • 10번은 뱀주인자리 5형제(비록 노잼 5형제지만) 중의 맏형이다. 북천 트로이카 13번, 5번, 3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아이지만 말이다 그렇다 해도 볼 것이 없는 것은 아니다 모든 구상성단은 저마다의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그 중 10번은 구상 중에서도 참 ...
2016-09-08 05:25:37 조강욱 / 2016-08-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127
  • 스케치
  • M11은 35번과 함께 메시에 산개성단 중에서 가장 화려한 아이다 호핑 위치마저 쉬워서 초보든 고수든 가릴것 없이 여름밤 관측지에 도착하면 망원경을 세팅하고 11번을 스윽 잡고 "우와!" 감탄사 한 번 날려주는 것부터 오늘의 관측을 시작하는 것이 대부분의 별쟁이들...
2016-09-08 05:21:20 조강욱 / 2016-08-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135
  • 스케치
  • 뱀주인자리 정중앙에는 10번과 12번이 위치하고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별만 드문 것이 아니라 인적도 드물지만 말이다 문제 : 뱀주인이 매력이 없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다음 중 맞는 것을 고르시오 ( ) 1. 비슷비슷하게 생긴 구상성단들만 모여 있어서 2. 호핑...
2016-09-08 05:12:46 조강욱 / 2016-09-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54
  • 스케치
  • 북반구 중위도에 사는 관측자에게 M13은 특별한 존재이다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보기 좋은 구상성단’이기 때문이다. 과연 진짜로 그럴까? 전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구상성단부터 순서를 매겨 보자. 13번의 위치는 Top 5에도 들지 못하고 겨우 7번째에 이름을 올리고 ...
2016-09-08 05:11:55 조강욱 / 2016-09-0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