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조강욱님의 M27을 보고... [스케치]
  • 윤정한
    조회 수: 13430, 2013-04-08 23:58:44(2011-01-19)




  • 안녕하세요.

    야간비행 여러분... 새해 복많이 받으시고, 올해도 행복한 관측 되세요.


    아래... 조강욱님의 M27 스케치를 보니, 예전에 그렸던 그림이 생각나서...

    그동안 책장 한구석에 고이 모셔져 있던 스케치 파일을 다시금 꺼내 보았습니다.


    세월이 빠른 건 요즘 새삼스럽게 느끼고 있지만... 거의 10년전의 스케치네요.


    강욱님, 그리고 이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 참고하시라고 오랜만에 하나 올려봅니다.

댓글 7

  • 조강욱

    2011.01.19 08:53

    형님 사진이 안보이는디요.. ㅎㅎ
  • 윤정한

    2011.01.19 09:03

    안하던 짓 오랜만에 하려다 보니 별게 다 삽질입니다...T_T
  • 정병호

    2011.01.19 19:40

    윤정한님, 살아있으시군요. ^^*
  • 김남희

    2011.01.19 20:15

    윤정한님, 안녕하세요.
    조강욱님을 통해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다시 필드로 나오시어 한 수 가르침을 받기를 소망 합니다.
    윤정한님의 스케치는 늘 보고 있습니다.^^
  • 윤정한

    2011.01.19 20:59

    정병호님.. 잘 지내시죠?
    인간의 기준으로는 아직 살아 있지만, 별쟁이 기준으로는 사형선고 받은지 오래인 것 같습니다.
    부활하려면... 아마 십수년은 걸릴 듯 하네요.


    김남희님.. 처음 뵙겠습니다.
    저도 조강욱님을 통해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언제 파곳(바순과 같은 것이죠?) 연주하시는 모습 보고 싶네요.
  • 조강욱

    2011.01.19 22:14

    중심성이 저 정도로 선명하게 잘 보이나요?
    저는 15인치로도 아무리 째려봐도 잘 안보이더라고요.. 그 날 시상의 문제였을수도.

    별쟁이 기준으로 빨리 부활하시기를 기도하고 있습니다.. ㅎㅎ

    부활 못하시더라도 연재 강좌라도 가르침을 주시면 어떨까요.. ^-^
  • 윤정한

    2011.01.19 23:29

    중심성은... averted가 아닌 direct vision으로 보였으니 그 정도면 쉬운 편이라고 할 수 있겠죠?

    안시관측이라고 하는 것이 대부분 눈의 간상체 세포를 쓰는 것이다 보니, 사실상
    선.명.하.게. 보이는 것은 태양과 달 밖에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89
  • 스케치
  • 20년 전, 대학생이 되면 꼭 김광석의 라이브 공연에 가보고 천문동아리에 들어서 망원경으로 하늘을 보고 싶다는 두가지 명확한 소망을 가진 고3 학생이 있었다 그러나 대학교 원서 내고 오는 길에 신문 가판대에서 김광석 사망 기사를 만났고 아직 동아리방도 구하지 ...
2016-10-13 09:07:44 김재곤 / 2016-09-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34
  • 스케치
  • 23번의 점들을 찍는 데는 무려 이틀의 시간이 필요했다 꽤 밝은 산개성단이긴 하지만 그만큼의 대작을 만들 계획은 전혀 없었고, 단지 시간이 부족했을 뿐이었다 [ M23과 버섯돌이 - 검은 종이에 젤리펜, 인제에서 조강욱 (2016) ] [ Description : 버섯파인가 화살파인...
2016-10-05 07:12:33 / 2016-10-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508
  • 스케치
  • 메시에 110개 중에 가장 그리기 싫었던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단연 M24. 성운도 성단도 은하도 아닌 별이 가장 많은 은하수 조각인 24번을 대체 무슨 수로 그린단 말인가. (출처 : http://www.astrophotographos.com/photos/Star%20Cluster%20images/M24qa.jpg) 미루고 ...
2016-10-09 04:50:13 러기 / 2016-10-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90
  • 스케치
  • 25번은 보는 순간 오~ 하는 탄성을 부르게 할만한 궁수자리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25번이 어떻게 생겼더라? 잘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은 워낙에 인물이 많은 궁수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25번의 중심부에는 두 줄기의 스타체인이 동서로 뻗으며 흡사 석호성운의 암흑대와 ...
2016-10-16 03:50:46 / 2016-10-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234
  • 스케치
  • 방패자리의 두 대상 중 M11은 이전에 쓴 글과 같이 10번까지 번호 붙여가며 침 튀기며 관측 point를 논한 반면에.. M26은 찾는 사람도 기억하는 사람도 별로 없는 은하수 안을 떠도는 쓸쓸한 성단이다 처음으로 EQ를 사용하여 하룻밤 2~3개에 그치던 스케치를 무려 7개...
2016-10-18 04:37:03 / 2016-10-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706
  • 스케치
  • 먹다버린 사과. 아령성운이란 공식 별칭보다 훨씬 먼저 사과라는 이름과 친해지게 되었다 하긴 웨이트 트레이닝보단 맛있는 사과가 낫지! 그리고, 구경을 키우거나 OⅢ 필터를 사용하면 이젠 더 이상 먹다버린 사과가 아니다. 먹기 전의 사과라고 하기엔 너무 타원형이고...
2016-10-23 14:43:34 / 2016-10-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8636
  • 스케치
  • 28번은 대학 동아리 시절 후배들에게 호핑법을 가르쳐줄 때 유용하게 쓰던 아이다 성도 상에도 주전자 뚜껑 별(λ)에서 직각을 이루며 한 번은 큰 놈(22번), 한 번은 작은 놈(28번)으로 번갈아 찾아가며 구상성단의 감을 잡게 만들었던 아이인데.... 22번을 그렇게도 아...
2016-10-26 04:36:28 / 2016-10-2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169
  • 스케치
  • 밤하늘에는 대체 이게 뭐하러 메시에 리스트에 들어왔는지 이해할 수 없는 애들이 꽤 있다 대부분의 9번들이 그렇듯, 29번도 마찬가지이다 궁수 주전자 뚜껑 부분과 함께, 북반구에서 가장 복잡한 영역인 백조의 심장(Gamma) 근처에 M29가 위치해 있다 십수개의 별들로 ...
2017-12-14 05:21:28 / 2016-10-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280
  • 스케치
  • 30번을 처음 본 것은 아마도 1999년에 병장 휴가 나와서 처음 봤을거고 (이 휴가에서 뱀주인과 염소를 마지막으로 첫번째 메시에 완주) 매년 메시에마라톤 때만 찾아봤는데.. 난 2001년 1회 마라톤부터 한 번도 30번을 찾은 적이 없다 어떻게 생긴 아이였는지 기억조차 ...
2016-11-03 04:49:57 / 2016-11-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691
  • 스케치
  • 42번 오리온 대성운과 함께 31번 안드로메다 은하는 지구상에서 가장 유명한 대상이다 (굳이 꼽으라면 Barnard 33번 말머리성운과 함께 3인방이라 할까?) 그러나 안시관측으로도 초보나 고수나 일반인이나 모두를 만족시키는 오리온 성운에 비해서 안드로메다 은하를 아...
2016-11-10 12:56:48 / 2016-11-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