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예순다섯 번째에서 예순일곱 번째 스케치(M92, M104, M16) [일반]
  • 조회 수: 30, 2024-05-02 01:58:12(2024-05-02)
  •  

     

     

    예순다섯 번째에서 예순일곱 번째 스케치(M92, M104, M16)

     

       지난 4월에 조경철 천문대와 인제에서의 스케치를 여러 가지 일정에 밀려 이제야 정리하려니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예순다섯 번째 스케치 (M92, NGC6341)

     

    46, 오랜만에 조경철 천문대에서의 스케치이다.

    4월에 첫 관측이지만 하늘은 영 좋지 않았다. 하지만 좋은 사람들과의 관측은 항상 즐거움과 힐링을 준다.

     

    - 헤라클레스 자리 내에 구상성단

    - +6.44, 14.0 arcmin, 8.3킬로파섹, 27천광년, Globular Cluster Class IV (NSOG2)

     

    M92는 헤라클레스의 3등급 PiEta를 밑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에 가까운 꼭지점 부근에 있는데 헤라클레스의 lota에서 남서로 파인더 끝에 있으며 파인더로도 어느 정도 구분이 된다.

    날씨 탓인지는 몰라도 핵은 그리 특별하지 않으며 12등급 정도의 별들이 일정한 체인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헤일로가 퍼져 있다.

    오랜만에 스케치하는 구상성단이라 많이 헤맨 것 같다. 또한 높고 옅은 구름으로 서두르다 보니 제대로 완성된 것 같지 않지만, 이번 월령에 마지막일지도 모르는 예보에 하나 건졌다는 위로를 갖는다.


    65_M92_240407_조경철천문대.jpg

     

     

       

     

      412, 계속 좋지 않은 예보의 연속이었으나 갑자기 예보가 바뀌어 거의 11개월 만에 인제 관측지를 방문하게 되었다. 승용차라 올라가지 못할 듯했지만 그나마 상시사륜의 덕으로 끝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

     

    평소에 자주 하는 동반자들과의 관측은 매우 유익하다. 항상 새로운 이슈가 끊이지 않는다.

     

     

      예순여섯 번째 스케치 (M104, NGC4594)

     

    - 처녀자리 내에 나선형 은하

    - +8.12, 8.4 x 4.9 arcmin, 8.6킬로파섹, 28천광년, Galaxy Type SA: asp(NSOG2)

     

    M104는 처녀자리의 은하이지만 까마귀자리의 델타별 알고라브(Algorab)에서 약 5.5(파인더의 끝에서 끝) 북북동쪽에서 찾는 것이 훨씬 수월하다.

     

    동서로 암흑대가 있으며 그 폭은 꽤 넓어 보인다. 암흑대 아래쪽 즉 북쪽에 밝은 핵이 있으며 코어와 헤일로가 있고, 남쪽의 코어는 보이지 않으며 헤일로만 보일 듯 말 듯 하다. 즉 도립상에서 암흑대의 아래쪽이 크게 잘 보인다.


    66_M104_240413_인제J.jpg


     


    예순일곱 번째 스케치 (Eagle Nebula, M16, NGC6611)

     

    - 뱀자리 내에 밝은 성운

    - +6.40, 35.0 x 28.0 arcmin, 1.8킬로파섹, 5.7천광년, Open Cluster Tr Type II3mn(NSOG2)

     

    궁수자리의 활 끝에 해당하는 뮤별 폴리스(Polis)에서 위로 올라가며 M24, M17를 거쳐 M16을 찾을 수 있다.

    전체적으로 둥그런 스타체인 안 중앙쯤에 별들이 모여 있으며 이 부근에 성운기들이 보인다.

     

    이때 구매 후 처음 사용하는 Televue Type2 O3 Filter를 사용해 보았다. 필터 유무의 차이가 확실하게 나타났다. 그동안 NPB 등 다른 필터와 다른 대상에서 느껴 보지 못한 결과였다. 시간 관계상 루미콘 O3와 비교해 보지는 못했지만 루미콘 대타로 구한 것이 아쉽지 않을 듯하다.

     

    성운은 동북에서 남북 방향이 짙었으며 좌우로 농담의 차이와 암흑대로 보이는 부분이 있고 동쪽과 남쪽에도 약간의 성운기가 있었다. Skysafari에서 비교해 보니 암흑대로 보이는 부분이 창조의 기둥이 있는 곳 같긴 한데 명확하지는 않다.

     

    4시를 넘어 그리기 시작하여 둥근 스타체인을 그리고 재빨리 필터를 끼우고 성운기를 그린 후 다시 주변부의 별 들을 그리다 보니 더 이상 작은 별들을 보이지 않기 시작해 서둘러 아쉬운 마무리를 하였다.


    67_M16_240413_인제J[크기변환].jpg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2015-04-02 20:51:02 / 2015-04-02
thumbnail
2015-01-21 07:42:16 관심은하 / 2015-0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432
  • 스케치
  • 천체관측을 하다 보면 여성적인, 또는 남성적인 아우라를 뿜어내는 대상들이 있다 부드러운 성운기나 깨알 같은 잔별들을 보면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이 느껴지고 (M8, 조강욱 스케치) (M46, 조강욱 스케치) 반대로 위협적일 정도로 강렬한 구상성단이나 (NGC 104, 조강욱...
2018-12-31 04:26:51 / 2018-12-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400
  • 스케치
  • 나는 M31을 좋아하지 않는다. 어릴때부터 수많은 화려한 사진으로 접한 북반구 최대의 은하.. (남반구엔 더 큰 놈이 있다) 그에 비례하여 무수한 실망만을 안겨준 대상. 안시로는 그렇게 볼 수 없으니 말이다. 하지만 싫어하는 대상을 “안드로메다 은하”라고 칭하지 않...
2019-10-26 05:43:29 제영서 / 2019-01-27
thumbnail
2015-04-07 04:06:38 정성훈 / 2015-03-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335
  • 스케치
  • T1 왼쪽에 위치한 4개의 메시에 은하, 88 – 91- 90 – 89 중 91번은 관측의 측면에서는 가장 볼만한 은하다 흐릿하게나마 나선팔이 보이기 때문이다 은하 관측에서 가장 관측자의 시선을 끄는 것은 Edge-on 은하의 Dark lane, 그리고 Face-on 은하의 나선팔일 것이다 M91...
2018-03-31 05:39:24 / 2018-03-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234
  • 스케치
  • 멕시코 모자, “솜브레로”로 유명한 대상이 있다 셀수없는 은하들의 향연인 처녀자리에서도 가장 인기있는 은하 M104번이다 밝은 은하면과 날카롭게 은하를 관통하는 진한 암흑대! 그러나 사진빨과 안시로 보이는 모습이 많이 다른 대상 중에 하나인 솜브레로.. (보통의 ...
2018-12-09 19:39:08 / 2018-12-09
no image
  • 김영주 조회 수: 3216
  • 스케치
  • 광덕산 조경철천문대 관측날씨가 절망적이었음에도 목성시상은 유별나게 좋았다. 선명한 줄무늬가 독보적이었던 이날 만약 대적점이나 영 또는 식 현상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좀더 기달려 대적점이라도 그려볼까 잠시 고민했지만 다음날 출근부담때문에 급하게 철수할수...
2019-11-04 20:32:49 조강욱 / 2019-06-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182
  • 일반
  • 보름달을 반기는 별쟁이는 아마 아무도 없을 것이다.... 라고 생각했는데 안시를 넘어 사진까지 생각해 보면 달빛 조명에 트레일을 찍기 위해 일부러 달 밝은 날 짐을 싸는 사람도 있다 물론 나랑은 아주 먼 이야기.. 나도 1년에 한두번쯤, 그 보름달을 유심히 바라볼 ...
2015-08-07 22:51:27 / 2015-08-07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3181
  • 일반
  • 안녕하세요? 천세환입니다. 괜히 허튼 짓을 해서 연재를 방해하는 건 아닐지 걱정이네요.....;;;;; 저는 아직 14인치 망원경이 없어서, 코로나도 태양망원경으로 태양을 관측하거나 화실에서 천체 사진을 보며 그리는 것을 위로삼아 지내곤 하는데요.. Hercules와 Atlas...
2017-02-04 09:06:36 최윤호 / 2017-01-1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111
  • 스케치
  • 100 98 99 백 구팔 구구 입에 착착 붙는 그 순서. 왠지 99 98 100으로 가면 처녀자리를 보는 맛이 나지 않을 것 같다 그렇게 100 98을 완성하고 99번의 구도를 잡고 있는데 고도가 너무 낮아져서 더 이상 의미있는 관측이 되지 않는 상황이 되었다 다음달에 또 이어서 ...
2018-09-16 07:15:27 / 2018-09-16
thumbnail
  • 김선영 조회 수: 3083
  • 스케치
  • 안녕하세요? 올해 한해 1년간 멜버른에 업무차 장기 출장을 나오게 되었습니다. 출장간 김에 남천의 하늘을 보고 있습니다. 김남희님께 뺏아온(?) 12인치 트래블돕은 아직 한국에서 발송 대기 중이라서 아쉽지만 핸드캐리해 온 3인치 굴절로 보고 있습니다. ASV라는 빅...
2019-04-23 07:44:43 랜슬롯 / 2019-03-08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3069
  • 스케치
  • (첫번째 습작) 2월 서울에서 시그마 150-500mm 망원렌즈로 찍은 달을 스케치로 재탄생시켜봤다. 주말내내 비도 오고....집에만 있기 영 심심해서 습작을 남겨봤다. 2월쯤 서울 도심에서 달을 찍은것이 있어 한번 스케치로 도전해봤다. 달은 분화구 하나하나를 사실적으...
2020-03-27 09:08:17 신기루 / 2019-05-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62
  • 스케치
  • 사자자리의 메시에들은 모두 모여산다 65/66을 포함한 유명한 Leo Triple이 그렇고 사자자리 메시에 5분 중 나머지 3분, 95(사진 중앙 하단)/96(95에서 좌상단 방향)/105(사진 중앙 상단)도 한자리에 모여 있다 (사진 출처: 구글 검색) M95/96/105를 한 방에 해결하려 ...
2018-12-26 07:37:30 / 2018-12-26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3039
  • 스케치
  • 원문출처 : http://blog.daum.net/damur21/335 인간이 경험할 수는 있는 천문현상은 여러가지가 있다 흔히 볼수 있는 별똥별(유성우), 월식, 수퍼문, 수퍼화성, 오성결집, 혜성, 토성엄폐, 초신성폭발 그리고 일식이 있다. 이중 인간이 생애 경험할 수 있는 최고의 천문...
2019-10-23 02:11:31 신기루 / 2019-07-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38
  • 스케치
  • 데이터북에 SBa 정도로 표시되어 있는, 수백만 광년 밖의 막대나선 은하를 잡고서 뿌연 헤일로를 뚫어지게, 혹은 주변시로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어느틈에 가지런한 막대(Bar)와 거기에 붙어있는 팔(Spiral Arm)이 돌고 있는 것을 볼 수, 또는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018-06-01 06:25:02 / 2018-06-01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3023
  • 스케치
  • 그리다보니 서로 Interacting한 짝꿍 GX만 모이게 되었습니다. -관측시간순 : 4 > 2 > 3 > 1 -미드12", 7mm솔로몬, x220 1. 4490은 아주 엹게 2. 3227은 별같은 핵이 중앙에 꼭 3. 안테나라기 보다는 하트 4. 2개의 각도가 직각인 듯한 느낌이...
2020-03-24 04:54:31 조강욱 / 2020-03-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17
  • 스케치
  • 슈퍼문 그까짓거, 정작 별쟁이들은 슈퍼문에 별 관심이 없다. 매스컴이 만들어낸 허상일뿐.. 근데 오늘은 여러 사람들이 내게 물어보기도 하고, 그저 소원을 빌고 싶었다 그리고 일월출몰을 감상하는 것은 내 오랜 자폐적 취미생활.. 멋진 해변 근처에 산다는 것은 얼마...
2017-12-07 03:07:11 rocky / 2017-12-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05
  • 스케치
  • 사자자리의 Leo Triple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대상이다 밝고 특색있는 세 은하의 역동적인 조합. [ Leo Triple, 보현산&벗고개에서 조강욱 (2013~2014) ] 아마도 남반구에서만 보이는 Grus Triplet과 함께, 최고의 은하 트리플일 것이다 (...
2018-06-04 06:21:39 / 2018-06-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941
  • 스케치
  • 2012년 봄, 어느 목요일 밤의 강원도 인제. M13의 무수한 별들을 찍으며 저녁 시간을 모두 보내고 북두칠성으로 망원경을 향했다 금요일 출근하려면 새벽 3시 전에는 서울로 출발해야 하는데.. 그 전에 속성으로 은하 몇개 그려보자. [ M109, 인제에서 조강욱 (2012) ] ...
2019-01-20 07:07:50 / 2019-01-2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