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26日] 오리온 → 양 → 구상성단 [스케치]
  • 조회 수: 7320, 2015-08-20 05:11:57(2015-08-19)
  •  

     

    출근길은 언제나 정해져 있다

     

    최소한의 이동 루트로 출근버스 도착 수십초 전에 목적지 도착.

     

    하루는 그 길에서 오리온자리를 보고 있으니 과거의 기억들이 떠오른다

     

    141007 가로등가로수오리온.jpg

     

     

    지난 겨울, 울산 처가에서 막걸리 한잔 하고 나니 오리온 자리가 보이길래

     

    별자리 하나 가르쳐드린다고 장모님께 여쭤보았다

     

    '장모님 저거 뭔지 아세요?'

     

    '저그 삼태 아이가!'

     

    '그걸 어떻게 아세요?'

     

    '마 삼태도 모르나! ㅎㅎㅎ'

     

     

    대학교 1학년때, 서울 한복판의 캠퍼스에서


    42번이 눈으로 보이면 관측 번개를 날리라던 선배의 목소리도 떠오른다

     

    그때는 그게 참 절실해서, 관측회 가고 싶어서 42번 보이나 안보이나 맨날 하늘만 보고 다녔는데..

     

    내 차 끌고 내 망원경 가지고 별을 보는 요즘도 그 42번은 전혀 지겹지가 않다

     

     

    [ 새벽.. 홍천,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 - 홍천/조강욱 (2014) ]

     

    140921.jpg

     

     

    42번 관측이 지겨워질 때면 내 장례식 날짜를 잡아야 할 거라는

     

    미국의 안시관측가 Steve Coe의 명언도 생각난다 

     

     

    어느날 관측회에선 (졸음을 이기지 못하고 저녁부터 자느라) 본 게 너무 없어서, 

     

    자기 전에 잠깐 얼핏 보았던 오리온 성운을 생각하며

     

    관측 스케치가 아닌 '머릿속에 남아있는 이미지' 스케치를 남겨 보았다

     

    흠.. 새로운 관측 방법이라고 혼자서 외롭게 우겨본다 ;;

     

     

    [ 오리온의 깊이,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 - 홍천/조강욱 (2015) ]

     

    150117_오리온의 깊이.jpg 

     

    오리온자리는 수메르에선 무엇이었을까? (황도 별자리가 아니라서 관심이 없었을지도)


    그리고 고려에서는 무엇이었을까? (아마도 삼태였겠지)

     

    그게 무엇이길래 사람의 마음을 그리도 뛰게 할까?

     

    평소보다 빨리 출근길에 나선 김에 한참을 서서 그 아이를, 그리고 42번을 구경한다

     

     

    [ 가로등 가로수 오리온,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 - 은평뉴타운/조강욱 (2014) ]

     

    141007 가로등가로수오리온.jpg


    거기서 5분을 더 걸어가야 출근버스 정류장을 만난다

     

    덕분에 정류장 앞에 서서, 길건너 교회 십자가에 걸리는 달의 위치와 위상 변화를 즐길 수 있었는데

     

    이 날의 달 배치는.. 양자리 외에는 떠올릴 방도가 없었다

     

    '저그 마 Aries 아이가!' 장모님 목소리가 귓가에 들릴듯 하다 (흠 설마?)

     

     

    [ Cross & Aries, 갤럭시노트4에 터치펜 - 조강욱 (2015) ]

     

    26_141119  Cross&Aries_월령26.png

     

      

    이제 막 박명이 시작될 무렵, 얇은 그믐달을 보고 있으니

     

    2년전 천문인마을에서 촌장님과 새벽까지 술을 마시고

     

    방안에서 누워 보던 그 그믐달이 생각난다

     

     

    [ 창 밖의 새벽달, 갤럭시노트2에 손가락 - 조강욱 (2013) ]

     

    창밖의 새벽달.png  

     

    (베게 베고 누워서 보이는대로 그렸는데 좌우가 왜 바뀌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달을 보다 잠이 들어서

     

    점심 즈음 숙취에 아픈 머리를 부여잡고 눈을 뜨니

     

    벌레가 한가득 죽어있는 천장등이 딱 구상성단으로 보인다

     

    술이 덜 깼나..

     

     

    [ 천장등 안의 우주, 갤럭시노트2에 손가락 - 조강욱 (2013) ]

     

    천장등 안의 우주.png

     

     

     

     

     

     

                           Nightwid 無雲

     

     

     

댓글 2

  • Profile

    장형석

    2015.08.19 21:56

    밤하늘의 3대 성자 .. 42... ^^ (나머지 두분은 45와 57로.. 제맘대로 ㅎ)
  • 조강욱

    2015.08.20 05:11

    ㅎㅎㅎ 3대 성자 동의합니다

     

    3대 악마도 뽑아 볼까요?

    저는 베일에 우선 한 표 주고 싶습니다 ㅎㅎㅎ

    그 다음은 Leo 1과 Pease 1 정도?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090
  • 스케치
  • 썩소를 짓고 있는 얼굴 표정, 84 & 86 주위의 은하 9개 중에서 나는 M86 위의 눈썹인 NGC 4402를 가장 좋아한다. [ 7천만광년 저 편에서 썩소를 날리다 - 15인치 반사,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 조강욱 (2014) ] 뭐가 86번인지 4402인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
2018-09-23 02:04:43 / 2018-02-03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6013
  • 스케치
  • 눈을 사물에 고정시킨 채 그림을 그리는 기법 - 블라인드 컨투어 드로잉은 관찰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훈련법이지만 왠지 두려움이 느껴진다는 것이 천체스케치와 비슷합니다. 이번에는 그 심리적 장벽을 넘어보고 싶어서 월령 10일의 달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드로잉 ...
2016-09-20 02:26:47 조강욱 / 2016-09-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911
  • 스케치
  • 이번 추석에도 울산 미호리의 처가 전원주택에서 며칠간을 보낸다 슈퍼문인지 먼지 어짜피 보름달이라 큰 관심은 없지만 그래도 추석 보름달은 남다르지.. 초딩 1학년 조예별양 학교 숙제도 '보름달 보며 소원 빌고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얘기해주기'라서 초저녁부터 시...
2014-09-20 03:07:40 조강욱 / 2014-09-10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5813
  • 스케치
  • 관측기가 어디갔지? 그당시 내가 썼던 관측기록을 야간비행에서 찾아서 읽어보고 짜깁기 해서 연재글을 만들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M108번 관측기록이 나오지 않는다 그거 이상하네 내 스케치북과 포트폴리오를 다 꺼내서 펼쳐본다 설마... 설마... 내 10년간의 ...
2019-01-20 06:43:17 조강욱 / 2019-0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752
  • 스케치
  • 처녀자리 은하단의 가장 밝은 은하 M87. 87번에는 오래된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미국 아줌마가 24인치로 타원은하의 Jet을 알현하였다는 전설의 기록 말이다.. 우선 허블로 찍은 사진을 보자 (중국산 허블미러 말고.. 우주에서 일하던 그것) 무언가 엄청 그럴듯해 보이...
2018-02-11 06:17:26 / 2018-02-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33
  • 스케치
  • 별쟁이들은 별이 잘 보이는 곳에 갈 수만 있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군부대는, 그런 의미에서 아주 탐나는 장소다. 다들 그 곳에서 예전에 안 좋은 기억이 있음에도 말이다. 그와 동시에 군부대는 항상 불안한 곳이다. 언제든 쫓겨날 수 있는 곳이니.. 인제의...
2017-12-19 19:17:54 / 2017-12-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26
  • 스케치
  • 오리온이 밟고 있는(?) 토끼자리에 위치한 M79는 겨울 하늘의 유일한 구상성단이라는 희소성 치고는 존재감이 희박한 아이다. 가을철 하늘에서 보던 2번이나 5번에 비하면 너무 심심한 구상이기 때문이다. "에이.." 어느 가을날 밤, 여느 때처럼 2번과 5번을 보며 한참 ...
2017-12-01 12:14:59 / 2017-12-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00
  • 스케치
  • 원래 매스컴표 '행성직렬 우주쇼'에는 큰 관심이 없었는데.. 오늘의 달과 행성들은 너무 예쁘다 그 조합에 감탄하다가 집 마당에 서서 한 장 그려본다 한국보다 몇시간 먼저 보는 맛도 은근히 괜찮네! Nightwid 無雲
2017-02-11 04:17:46 조강욱 / 2017-0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306
  • 스케치
  • 별 보는 사람 중에 빙글빙글 돌아가는 나선은하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멋진 막대가 있는 막대나선이라면 더더욱.. 그런데 여기엔 커다란 함정이 있다 그 막대나선을 보려면 은하가 face-on(정면이 보이는 은하) 이어야 하는데, Face-on 은하는 Ed...
2018-01-31 19:54:35 반형준 / 2018-01-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046
  • 스케치
  • 처녀자리의 그 수많은 은하들은 별 특징 없이 그저 둥글거나 동그랗거나.. 대부분은 재미 없는 타원은하들이다 머리털자리의 멋진 아이들을 절반만이라도 닮았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M89 그 자체도 전혀 특별할 것이 없는 심심한 타원은하이다. 굳이 찾는다면 아주 밝은...
2018-03-05 04:51:27 / 2018-03-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58
  • 스케치
  • 밤하늘에서 M80이 느끼는 비애는, M28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전 우주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형 구상성단 옆의 평범하..지는 않은 구상성단. 22번을 보고 28번까지 가는 사람이 별로 없듯이.. 4번을 보고 80번까지 찾아보는 사람 역시 많지 않다. 나 또...
2017-12-14 05:54:17 / 2017-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06
  • 스케치
  • 그동안.. 몇년간 다음에 하겠다고 미뤄만 두던 101번을 그려야 할 순서가 되었다 정면 은하를, 그것도 대형 Face-on(정면 은하)을 잘 보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다음에.. 다음에 하며 계속 미뤄 두었었다. Messier 33번을 그리...
2018-10-12 12:44:04 / 2018-10-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96
  • 스케치
  • 저녁 무렵이 되면, 사무실 내 모니터 가장자리가 갑자기 붉게 물드는 순간이 있다 서산으로 지는 태양빛이 15층 빌딩 유리창을 넘어 모니터에 반사되는 것이다. 그 신호를 보고 서쪽 창가에 있는 우리층 창고에 들어서면 강남의 빌딩숲과 우면산을 배경으로 탁 트인 시...
2015-07-31 05:30:46 조강욱 / 2015-07-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53
  • 스케치
  • 2014년 1월. M82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난 한동안 X마려운 강아지처럼 안절부절하며 지냈다 아니 그게 뭐라고, 1200만년 전에 우주 저 편에서 별 하나 폭발한 것 뿐인데. 1054년에 게성운이 폭발했을 때도 가만히 있었으면서.. 그게 뭐라고 그렇게.. 마나님께서도 ...
2018-01-02 17:34:44 / 2018-01-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479
  • 스케치
  • 달, 달이란 나에게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에겐 어떤 의미일까? 관측의 훼방꾼. 대부분의 별쟁이에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언젠가부터, 아마도 별보러 나가는 횟수가 1년에 다섯번을 넘지 못하면서부터 서울에서 이른아침 출근 시간에, 늦은 퇴근길에 버스 안에...
2015-07-28 17:19:58 조강욱 / 2015-07-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47
  • 스케치
  • 뭐니뭐니해도 메시에 97번의 트레이드 마크는 뽕뽕 뚫린 눈알 두 개. 망원경으로 별을 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도 메시에 97번, 올빼미 성운의 커다란 두 눈은 잘 알려져 있다 (출처 : 구글 검색) 안시로는 어떨까? 사실 나는 97을 제대로 본 지가 너무 오래 되어서, 그 ...
2018-07-05 12:27:38 / 2018-07-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20
  • 스케치
  • 카시오페이아 주위는 진정한 별밭, 아니 성단 밭이다 비슷한 크기와 밝기의 산개성단들이 무수히 뿌려져 있다 (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위치도 어렵지 않은 M103과 NGC 457(ET)을 한참동안 헤메고 다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망원경 구경이 커질수록 멋진 대상(NGC 7789)...
2018-11-24 02:11:57 랜슬롯 / 2018-11-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4
  • 스케치
  • 밤하늘의 구상성단을 밝기 순으로 나열하다보면, 많은 대상이 남천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list 중 노란색이 남천 대상) 북반구 트로이카라 불리는 13번, 5번, 3번도 6~8위 권을 겨우 유지할 뿐이다 그리고 400여 개의 모든 구상성단 중 11위를 보면, ...
2018-04-08 06:38:55 / 2018-04-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4
  • 스케치
  • 1781년 4월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장발장이 조카들에게 주려고 빵을 훔치기도 15년 전에 메시에는 프랑스 천문학회 학회지에 낼 메시에 리스트를 정리하고 있었다 이미 M1번부터 M100번까지 100개 대상에 대한 관측 기록을 완성하고, 동료 관측자인 피에르 메케인(Pier...
2018-11-08 21:56:39 조강욱 / 2018-1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431
  • 스케치
  • 천체관측을 하다 보면 여성적인, 또는 남성적인 아우라를 뿜어내는 대상들이 있다 부드러운 성운기나 깨알 같은 잔별들을 보면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이 느껴지고 (M8, 조강욱 스케치) (M46, 조강욱 스케치) 반대로 위협적일 정도로 강렬한 구상성단이나 (NGC 104, 조강욱...
2018-12-31 04:26:51 / 2018-12-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