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14日] 소원, 열망 [일반]
  • 조회 수: 3182, 2015-08-07 22:51:27(2015-08-07)


  • 보름달을 반기는 별쟁이는 아마 아무도 없을 것이다.... 라고 생각했는데


    안시를 넘어 사진까지 생각해 보면


    달빛 조명에 트레일을 찍기 위해 일부러 달 밝은 날 짐을 싸는 사람도 있다


    물론 나랑은 아주 먼 이야기..



    나도 1년에 한두번쯤, 그 보름달을 유심히 바라볼 때가 있는데


    바로 추석 보름달이다


    애시당초 행운이란 것을 믿지 않는 피곤한 성격상


    유성보고 소원빌고.. 이런 것에도 별 관심이 없는데


    추석날 밤에 가족들과 모인 자리에선 왠지 그 소원을 빌고 싶다


    (근래에는 결혼하고서 10년 연속으로 처가인 울산의 달을 보고 있다)



    작년 추석날 밤, 초저녁부터 전원주택 마당에서 막걸리를 마시며 눈은 계속 동쪽 산등성이로..


    산 능선의 월출 순간을 포착하려 했으나


    달은 사람을 기다려 주지 않는다 



    잠시 술자리를 벗어나서 길 모퉁이에 서서 폰을 꺼내서 달빛과 하늘빛을 담고 있는데


    달보다도 감나무 이파리의 곡선에 더 눈길이 간다


    학교 다닐 때 배웠던 조지훈의 시구에 나오는 '외씨 버선'이 이런 모양일까?



    여튼.. 동산에 갓 떠오른 달을 보며


    누가 소원을 빌기 전에 제일 먼저 소원을 빌어본다 (선착순일 수도 있으니)



    [ 소원,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과 손가락 - 조강욱 (2014) ]


    14_140908 소원(14추석)_월령14.jpg




    한달 뒤 보름은 개기월식이었다


    2011년 한겨울의 월식 이후 3년만이다 



    2011년 12월 10일 밤 늦은 시각, 나는 아파트 앞 놀이터에 나와 있었다


    보름달의 눈부신 서슬에 숨죽이던 별들은


    달이 점점 지구 그림자에 가리면서 조금씩 빛을 내다가


    완전히 가려지기 시작할 즈음 붉은 달과 함께 어둠 속에서 그 모습을 드러냈다


    (우리 집은 서울이지만 북한산 밑 설끝마을(?)이라 별이 잘 보인다)



    아.. 이렇게 기가 막힌 조화가 있을까!


    존재감 없이 무광으로 빛나는 붉은 달과


    보름달의 기세에 숨죽여 지내던 작은 별빛들의 향연.


    이게 월식의 본질이로구나.  '조화로움'


    파스텔을 꺼내서 그 조화로움을 그림으로 남겨 본다


    111210 조화로움.JPG


    3년만에 월식의 조화를 다시 느껴볼 기회가 왔다


    과학동아 천문대에서 일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고서


    회사 업무 끝나자마자 용산으로 달려갔다



    낮동안의 구름은 다행히 걷혀서 붉은 달을 볼 수가 있었는데


    이게 왠걸.


    서울의 중심에서 야간조명에 둘러싸여 하늘을 보니..


    붉은 달 옆에 잔별들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구름도 조금 있었다) 


    아~~ 조화. 조화가 보고 싶다....



    정성을 다해서 그 달을 그림으로 남겼지만


    별이 없으니 허전하기는 하고..


    그렇다고 차마 없는 별을 찍을 수도 없고..



    [ 식심, 과학동아 천문대 - 갤럭시노트 2에 터치펜, 조강욱 (2014) ]


    14_141008 개기월식_월령14.jpg



    올해 4월 4일에는 근래 마지막 개기월식의 기회가 있었다


    여기 저기 오라는 곳을 다 마다하고


    그 조화로움을 다시 보고 싶어서 산속 휴양림을 잡았는데....


    결국 그 날, 전국적인 비와 구름으로


    아무도 일식을 본 사람은 없었다


    (저 멀리 아메리카 대륙의 승전보만 전해 들었을 뿐)







                                                                                 Nightwid 無雲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no image
  • 이영희 조회 수: 37871
  • 일반
  • R. Gupta, Observer's handbook 2005,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4.ISBN 0-9689141-8-7 에서 소개된 Saguaro Astronomy Club( http://www.saguaroastro.org )에서 가져온 checklist입니다. 이것을 base로 하여 개인적으로 필요한 몇가지를 덧붙여서 사용하시면 좋...
2012-03-28 23:32:17 / 2005-03-07
no image
  • 이영희 조회 수: 12438
  • 일반
  • Saguaro Astromy Club homepage에 있는 AstroByte Logging Software 를 소개합니다( http://www.saguaroastro.org/content/downloads.htm ). 1. 모든 관측활동 혹은 과정을 문서화 할 수 있으며 2. 모든 log을 report할 수 있는 기능 3. 노트북이 있다면 관측지에서 노트...
2012-03-28 23:24:58 / 2005-03-09
no image
2013-04-08 23:02:54 / 2005-03-07
no image
  • 이현동 조회 수: 11257
  • 일반
  • 이 게시판에는 관측 스케치를 올리거나, 스케치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올리는 곳입니다. 스케치 그림 화일은 물론, 스케치와 관련된 테크닉이나 용품 등을 올려주시고, 자신이 사용하는 기본적인 스케치 표준양식 등도 소개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2012-03-28 23:33:09 / 2003-05-24
no image
2012-03-28 23:31:56 / 2005-03-07
no image
2013-04-08 23:03:08 / 2005-03-07
thumbnail
  • 김남희 조회 수: 9868
  • 일반
  • 강욱님의 그림 솜씨가 "일취월장" 하는군요. 감탄사가 절로 납니다. 생각난김에 예진이의 그림 한 장 올려봅니다. 예진이의 밤하늘...
2013-04-08 23:01:28 / 2011-0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749
  • 일반
  • 주말마다, 집에 작은 방에 앉아서 그림을 그립니다. 인터넷에서 사진들을 골라다가, 파스텔로. 연필로. 색연필로. 콩테로. 비싼 스캐너를 사용하려고 최샘네 사무실에 갔더니 최샘이 한숨을 푹~ 쉬십니다 '요즘은 경싟이나 강욱이나 왜 다 뜬구름을 잡는지 몰라. 나는 예...
2012-03-27 21:57:18 / 2011-0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684
  • 일반
  • 습작이 한 장씩 늘어갈 수록, 표현하고 싶은 대상의 수와 잘 그리고 싶은 욕심은 점점 늘어만 간다 새벽에 퇴근하고 집에 돌아오는 길에 하늘을 보면, 언제나 별보다는 가로등과 불켜진 창이 훨씬 더 화려하게 보인다 그 위에는 1, 2등성 몇 개가 인공 불빛의 위세에 밀...
2012-03-27 21:55:42 / 2011-04-0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411
  • 일반
  • 아크릴 물감으로 달 구덩이 하나를 그리는 데는 몇달이 걸렸는데, 별 풍경 그림을 그려보니 이건 비교도 되지 않게 빠르다.. 한 두시간만에 완성 ㅡ,ㅡ;; 근데.. 어렵고 힘들게 정성들여 붓질한 클라비우스보다 굵은 붓으로 슥슥 하늘색을 만든 이 그림이 훨씬 더 보기...
2013-04-08 23:01:09 / 2011-07-05
no image
  • 김지현 조회 수: 9315
  • 일반
  • 별빛 그리기 하늘에서 별빛이 내려옵니다. 망원경 속을 사르르 지나는가 싶더니 어느새 눈동자에 닿습니다. 별빛은 샘물이 되어 몸으로 들어옵니다. 손가락을 맴돌던 별빛샘물이 연필을 타고 살며시 흘러나와 제 모습을 그립니다. 푸른 행성 지구별 어딘가에 밤이 찾아...
2012-03-28 22:17:33 / 2010-05-19
thumbnail
  • 문병화 조회 수: 9135
  • 일반
  • 전체적으로 성운의 모습을 보면 homunculus의 모습으로 보입니다. 그러려면 먼저 homunculus 를 정확하게 알아야 하는데 정의는 대략적으로 다음가 같은 걸로 생각됩니다. 인체의 각부분을 지배하는 대뇌피질의 영역이 정해져 있읍니다. 그러면 신체의 각부분별로 그영...
2013-04-08 23:02:07 / 2010-10-07
thumbnail
  • 박상구 조회 수: 8838
  • 일반
  • 지지지?난주 토요일은 횡성에서 KAAS 경기지부 3급 지도사 마지막 연수와 서울에서 철야 근무가 겹쳤던 날이었습니다. 첫 수업만 듣고 서울로 쏘아 달리던 저녁 하늘, 스모그인지 모를 하늘에 낮게 뜬 눈썹달과 어스름한 하늘 빛과 홀로 빛나는 금성의 묘한 느낌에 빨려...
2014-03-11 01:46:44 비단 / 2013-08-27
no image
  • 정기양 조회 수: 8739
  • 일반
  • 잘 들 계시지요? 어제 번개는 성공하셧는지 궁금합니다. 지금 제가 있는 스웨덴의 고텐버그는 구금, 비, 바람을 만끽할 수 있는 날씨이고 아침 저녁으로 약 5도 정도의 날씨로 사람들은 모자에 목도리에 코트를 입고 다닙니다. 참으로 오래간만에 우리나라의 날씨가 그리...
2013-04-08 23:01:49 / 2010-10-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559
  • 일반
  • #1. 온갖 종류의 빌딩 전시장인 강남역 인근에 잡초만 무성한 빈 땅이 하나 있다 (아침에 피트니스에 가려면 꼭 지나가야 한다) 여름에는 거의 정글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무성한 곳이었는데 겨울이 깊어가는 어느날 아침, 달을 보며 걷다보니 억세고 질긴, 각자 다른 ...
2015-08-11 08:21:58 / 2015-08-11
thumbnail
  • 김민회 조회 수: 5438
  • 일반
  • 갤럭시노트로 그려 본 '슈퍼문',장소: 8월의 백운저수지-나름 한시간여를 매만진 건데 '초등생 수준의 그림을 어따 올리느냐' 는 마눌의 비하를 들은 그림(사실이 그렀음),달 왼편의 비온 뒤 구름, 광교산능선의 광교신도시 광해, 비온뒤의 음산한 저수지, 댕그라니 '안...
2014-08-19 22:32:59 rocky / 2014-08-1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059
  • 일반
  • 연초에 만들었던 아크릴화 버전의 성단 그림을 하나 소개해 본다 내가 그려 본 가장 큰 사이즈의 그림. 큰 그림을 그리려니 시간과 노력이 훨씬 많이 든다 유화용 전지 종이를 균일한 검은색으로 만드는 작업부터 아이피스 시야를 정교하게 원형으로 만드는 것, 검은색...
2014-08-18 17:21:58 조강욱 / 2014-07-15
thumbnail
  • 김태환 조회 수: 5029
  • 일반
  • 망원경/렌즈 : 캐논 FD300 F2.8 카메라 : sony A7S 마운트 : EQ platform을 이용한 노터치 피기백촬영 필터 : 없음 노출정보 : iso 1600 30sec x1, 60sec x 8, iso 3200 60sec x 2 | dark 각각 촬영장소 : 장수 무령고개 주차장 촬영일시 : 2014. 9. 20 바로 이사진입니...
2014-10-16 22:07:03 원종묵 / 2014-09-25
thumbnail
2015-03-30 08:38:44 진진아빠 / 2015-03-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670
  • 일반
  • 80년대 중반, 초등학교 저학년때... 어느날 아버지가 MBC청룡 어린이용 야구잠바를 사 오셨다 나에게는 팀을 고를 선택권이 없었지만, 그걸 거부할 이유도 없었다 (그 당시 남자 아이들은 비슷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꽤 있을 것이다) 어릴때 아빠 손잡고 갔...
2014-11-28 16:53:00 조강욱 / 2014-10-2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