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에세이 ~☆+

  • 2006.3.4 용문산 백운봉
  • 김경식
    조회 수: 14938, 2006-03-05 23:06:03(2006-03-05)
  • 양평에는 용문산을 태두로하여
    동쪽으로는 중원산(800m)과 중원계곡을 건너 도일봉(841m)이 위치해 있고,
    서쪽으로는 유명산(864m)과 중미산(834m)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은행나무로 유명한 용문사는 용문산과 중원산 사이에 위치해 있고
    야간비행 번개관측지는 용문산과 유명산이 좌우로 보호하고 있지요.
    용문산 정상 일대는 출입이 통제되어 있어 (군사시설)
    현재는 용문산 남서능의 백운봉이 호가호위(狐假虎威) 하고 있습니다.


    사람의 마음이 참 간사한 것이...
    회사갈 때는 그렇게 일어나기 싫은 아침임에도
    산에 간다는 생각에 새벽 3시반에도 벌떡 일어나고,
    여느때는 다른 사람 자고 있을 때 나만 출근하는 것 같은 피해의식이 들었지만,
    그보다 훨씬 이른 새벽 4시 깜깜한 밤길을 달려도 기쁘기만 합니다.


    백운봉...
    940m로 용문산(1157m)의 한 봉우리이지만 어엿하게 주봉 역할을 합니다.
    앞에서 호가호위라고 했지만,
    막상 백운봉에 올라보니 그럴만 하다라는, 부끄럽지 않게 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니
    여우가 여우가 아니라 어느덧 호랑이로 변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천하의 모든 산들이 구름을 양탄자 삼아 엎드렸습니다.
    비록 멀리 보이는 저 산이 이곳보다 높을지라도
    지금 이순간 어느 누구도 이 산의 권위를 부정하진 못할 겁니다.


    시야가 틔인 능선을 따라가는 것을 좋아했는데,
    이번엔
    사방이 막혀 답답하고, 쉼도 마땅치 않은 계곡길을 올라가다 올라가다
    지루하다 지루하다 싶을 즈음에 살짝 세상을 내비쳐주고
    시원한 바람으로 그동안의 수고를 덜어주니
    이 또한 산 오르는 기쁨이 아닌간 싶습니다.




    백운봉 정상에서 바라 본 모습...
    동쪽보다는 동남쪽이었던 것 같군요.
    가운데 희한한 산의 모습이 가장 먼저 눈에 띕니다.
    지도를 보니 삿갓봉(474m), 아니면 추읍산(583m)인 듯 합니다.
    모양새로는 삿갓봉이 더 가까울 것 같습니다.
    운해의 멋진 모습을 감상하는 것도 잠시...
    수평선을 가로지르는 노란 구름띠는 가슴을 답답하게 합니다.
    사진으로는 별로 두드러지지 않지만,
    니코틴에 찌듯 벽을 보는 것 같습니다.
    저 아래에서 우리가 살고 있구나 ^^;



    서울쪽으로 눈을 돌려봅니다.
    날은 맑아도 아래 공기는 여전히 텁텁하군요.
    멀리 북한산이 잠깐 바위속살을 내비치더니 다시 숨어버렸습니다.
    이곳도 아니 당연히 노란 구름띠가 여전합니다.



    양평시내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모기장을 통해 보는 것 같지만 남한강의 흐름이 유유합니다.



    관측할 때마다 유명산으로 오르는 오프로드 차량이 유명산으로 향하던데..
    그 유명산이 한눈에 조망됩니다.
    고랭지 채소밭, 활공장이 있어서 그런지 모습이 꼭 대관령 목장같은 분위깁니다.



    백운봉에서 바라본 용문산...
    용문산 아래 장군봉으로 이어지는 굽이굽이...오르락 내리락...능선이 가야할 길입니다.



    장군봉....
    1065m
    오히려 백운봉보다 높지만 누가 이곳에 올라 기쁨을 느낄 지 의문입니다.
    머리카락이 눈을 가려 앞을 볼 수 없으니...
    그래도 십수년만에 1000m 넘는 곳을 올라가 본 것으로 위로가 됩니다.
    아니 또 한가지...
    이날 산행에서 이제부터 내리막이라는 위안을 준 곳이기도 하군요.



    이날의 등산코스...

댓글 2

  • 이준오

    2006.03.06 09:01

    정말 요즘엔 주간산행, 야간비행입니다...ㅎㅎ
  • 김경식

    2006.03.06 18:41

    주간산행, 야간비행이라....무슨 시, 또는 선문답 같습니다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이준오 조회 수: 13438
  • 올해도 어김없이 널고 있는 땅에 취미(?)로 시작한 텃밭가꾸기의 그 하일라이트인 '김장배추 (모종)심기'가... 해년마다 온식구 총 출똥~~했던 것에 비해.... 조촐하게.. 어마마마님과 저, 단둘이 올라가 이제서야 끝나고 내려왔음다. 원래 어제 밤 같이 좋았던 그 하늘...
2009-08-30 03:05:56 / 2009-08-30
thumbnail
  • 이준오 조회 수: 14298
  • 드뎌 요 녀석이 세자리 숫자에 도달했슴다. 연우의 100 일...ㅎㅎ 그래도 몇달 전, 엄마,아빠 고생좀 시킨게 자기도 미안한지... 그동안 한번도 안 아프고 쭈~ 잘먹고 응가도 잘하고 잘자고 잘널아주고... 정말 정말 고마울 뿐입니다...ㅎㅎ 아프로도 이렇게 쭈욱~ 무럭...
2009-08-12 21:37:45 / 2009-08-12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7679
  • . . . 날이 덥네요. 쭈쭈바를 하나 물고 웃통을 벗고 선풍기 바람을 쐬고 있어도 몸이 찐득찐득합니다. 오는 13일이 말복이라 늦은 더위가 기승을 부립니다만, 지난 7일은 입추, 오는 23일은 처서입니다. 한창 더움은 곧 가을이라는 반증이겠지요. 덥다보니 새벽....이...
2009-08-10 08:14:54 / 2009-08-10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6086
  • . . . 알람을 맞춰놨습니다. 알림이 울리네요. 아내의 것이 먼저 울립니다. 끄고 나니 거실에 있는 제 핸드폰의 알람이 울리는군요. 5h 50m이라는 의미. 밖으로 나와 알람을 끈 후, 작은방에 고양이를 끼고 다시 눕습니다. 꼭 껴안고 싶지만 귀찮아 가버릴까 두려워 조...
2009-08-03 06:20:54 / 2009-08-03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5829
  • . . . 인도 다녀온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 구구절절 쓰기가 쉽지 않아 그림과 함게 쉽게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렁설렁~~~ ^^ 이번 여행할 때 몇가지 계획을 했었는데요... 1. 매일의 일정과 생각, 느낌을 기록하기 2. 하루에 한장씩 그림 그리기 3. 매일 매일에 ...
2009-07-30 09:27:36 / 2009-07-30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4987
  • . . . 어느 시간...눈을 떴습니다. 빗소리가 들립니다. 몇시일까? 아내를 깨웁니다. "우리... 대공원에 비 맞으러 갑시다." 들려야 할 뻔한 대답 대신 "그래요..." 시계를 봅니다. 새벽 4시 한시간만 더 자다 일어나자. 알람은 듣지 못하고 스스로 깹니다. 배가 고프네...
2009-07-13 06:40:07 / 2009-07-13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2291
  • . . . 금요일 밤 집을 나서 충남 예산의 수덕사 근방에서 하룻밤 자고 토요일 수덕사 & 절 뒤의 덕숭산 정상을 찍고 무창포 해수욕장으로 가서 또 하루를 보낸 후 오늘 올라왔습니다. 수덕사는 하루에 두번을 들렀습니다. 처음엔 새벽 5시 좀 넘은 시간에 그리고 다음에...
2009-06-29 06:50:59 / 2009-06-29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4228
  • . . . 6/22 최선생님, 김남희님, 조강욱님 6/23 유혁님, 김희준님, 김경싟 6/24 최선생님, 김남희님, 유혁님, 조강욱님, 최윤호님 ..... 그럼 오늘은 다시 경싟이가 번개를 쳐야 하는 날인가요? ^^ 최선생님과 설매재휴양림에서 반딧불을 본 지.... 어언~~~...
2009-06-25 16:52:19 / 2009-06-25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32190
  • 2009.7.22(수)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안타깝게도 부분일식이고 인도, 네팔, 중국, 일본 남부 도서지방쪽으로 개기일식대가 지나갑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만도 대단위로 4개 팀이 떠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국의 상해,소주,항주 인근으로...
2009-06-22 22:08:38 / 2009-06-22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3487
  • . . . 나이 40이 넘어가니 곱게 나이들어가는 것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멋지게 늙어간다는 것... 누구는 그 방법을 서로 불일치할 것 같은....강함과 유연함의 공존이라고 설명하더군요. 강함이 고집을 말하는 것은 아닐터이고 유연함이 좋은게 좋은 것라고 타협...
2009-06-22 07:05:04 / 2009-06-2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