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관측 공지 & 자유글 ~☆+

  • 호이글래터. 이놈 대체 뭔가요?
  • 박한규
    조회 수: 5005, 2011-03-25 12:32:59(2011-03-25)
  • 호이 글래터, 이놈은 대체 뭘까? 비싸긴 한데 쓰는 사람은 업어?
    관심은 가던 차에 유호열님께서 사용후기를 올려 주면서 본격적으로 알아봤습니다. 정기양님께서 사용하고 계시다고 들었습니다. 나중에 사용후기 올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호이 글래터에는 홀로그래픽 버전과 일반 버전;BLUG 이 있습니다. 홀로그래픽 버전도 싱글 빔인데 홀로그래픽 부속품을 끼우면 10X10 줄의 그리드가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두 버전 모두 self barlow 부속품을 끼우면 바로우 레콜로도 사용이 됩니다.             홀로그래픽 버전에는 적색과 녹색이 있으며 적색에는 650nm, 635nm가 있습니다.녹색>635>650 순서로 밝으며 빔이 가늘고 가격도 비쌉니다. 녹색은 낮에도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녹색은 광축에 있어서 적색만큼 충격에 강하지 못하다고 합니다. 떨어뜨리지 말라고 경곻네요. 적색의 경우는 3방향에서 십수번씩 떨어뜨리는 실험을 한답니다, 모든 레콜에 대해. 블러그는 일반 바로우 레콜입니다.          

    홀로그래픽 버전은 사경과 포커서의 축을 일치시킬 때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듯 합니다. 포커서-사경축을 주경 센터에 놓을 때는 싱글 빔을 이용합니다. 주경을 조절할 때는 바로우 빔을 이용합니다.       
           
    반사망원경에서 홀로그래픽이 얼마나 이점을 가질 지는 사용해 보지 않고는 알기 어렵네요. fully offset 2ndary mirror에 대해 partially offset 인 경우에도 안시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하기 때문입니다. 장노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중요할 듯 합니다만.(이 부분은 사용자 후기가 올라올 때까지 보류해야 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광축이틀어지지 않는다 같습니다. 15 arc second 이내에서 정확하다고 합니다. 왠간한 충격에는 잘 버틴답니다(녹색 빼고).
                
    이놈 공부하면서 광축에 대한 공부도 많이 했네요. offset에 대해서도 정립했고요. 왜, 얼마나 필요한지도 알았네요. 이 부분을 맞추는데 있어서는 훌륭한 레콜이 있다면 눈으로 맞추는 것보다 확실히 정확할 듯 합니다.             
     바이러스로 인해 엔터가 잘 안 먹히네요. 주변에 사용해 보신 분 있으시면 후기 부탁드립니다. 뽐뿌만 받고 결정을 못하고 있습니다.

댓글 4

  • 정기양

    2011.03.25 16:57

    제가 f4.2다 보니 광축에 겁을 먹고 호텍과 캣스아이로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호텍은 self centering기능이 있다고 하는데 레이저 자체의 광축이 잘 안 맞습니다.
    그리고 주경을 맞출 때에도 반사판에 보이는 레이저 빔이 너무 퍼져보이고 정확하게 맞추기가 어렵습니다. 그냥 대충~~~
    캣스아이로는 밝을 때 정밀하게 맞추기 위해서 노력했는데 autocollimator인 infinity xlk는 그 회사에 문의하니 나사로 고정하지 말고 그냥 맞추라고 하는데 focuser에서 발생하는 아주 미세한 유격에도 보이는 상이 너무 달라지고 어두운데서는
    사용이 불가능해서 고민하던 중 경주의 박교수님께서 가지고 계신 글래터 홀로그래픽 레콜을 보고 저도 하나 샀습니다.
    저는 sct가 아니라서 낮에도 쓸 수 있는 밝은 635nm, 또 홀로그래픽이 아닌 tublug을 샀는데 이제는 광축을 맞추는 것이
    너무 쉽습니다. 사경 30초 이내, 주경 30초 이내... 나머지는 관측. 중간에 심심하면 다시 맞추는 것도 싱거울 정도로 쉽습니다.
    가격은 두개 합쳐서 $250정도? 인보이스를 $100이하로 써 달라고 하니 OK.
    세관에서 전화 안 받고 그냥 배달 받았습니다.
  • 박한규

    2011.03.25 18:36

    정 선생님. 한가지 문의 드리고 싶습니다.
    홀로그래픽 버전에서 싱글빔과 바로우를 이용한 것이 튜브러그와 바로우를 이용한 것과 다른가요?
    써있는 내용을 그대로 이해하면 같을 것 같습니다만...

    아참, 제 아들 사진을 올릴 줄 몰라서 올리지 못했는데
    별아띠에 가시면 '천문대 이야기'에 사진이 있습니다.
  • 정기양

    2011.03.26 05:55

    sct가 아니라면 굳이 홀로그래픽까지는 필요가 없을 듯 합니다.
    레이저 + 튜블러그면 반사 광축에는 필요 충분입니다.
    박교수님의 홀로그래픽을 써 봤는데 그럴 경우 멀리 홀로그래픽을 비출
    스크린이 필요합니다. 반사의 경우에는 overkill...
  • 박한규

    2011.03.26 19:04

    반사에는 스크린이 없어도 해결할 방법이 있습니다. 약간 불편한 면이 있지만(큰 불편은 아니고요).
    SCT가 문제네요...
    정 선생님. 친절한 말씀 감사합니다.

위지윅 사용
번호 분류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notice 자유글 박상구 149 2024-03-15
notice 자유글 이현동 204238 2012-04-02
688 분류 없음 이한솔 9576 2011-03-26
분류 없음 박한규 5005 2011-03-25
686 분류 없음 김원준 5140 2011-03-25
685 분류 없음 김남희 15578 2011-03-20
684 분류 없음 김병수 7555 2011-03-17
683 분류 없음 김경싟 5104 2011-03-16
682 분류 없음 조강욱 4694 2011-03-15
681 분류 없음 조강욱 5623 2011-03-10
680 분류 없음 김지현 5226 2011-03-09
679 분류 없음 조강욱 5749 2011-03-0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