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관측 정보 ~☆+

  • 귀곡천계(貴鵠賤鷄) [일반]
  • 이윤행
    조회 수: 68, 2025-03-07 10:50:41(2025-03-04)
  • 안녕들하시지요?


    모두 잘 아시는 귀곡천계(貴鵠賤鷄)라는 고사성어가 있습니다.

    고니를 귀하게 여기고 닭을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먼 데 있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가까운데 있는 것을 천하게 여기게 됨을 이르는 말입니다.


    꽤 오랫동안 처녀자리 초은하단 너머에 있는 은하만을 보려하고 가장 가까이 있는 달을 천대했던 저를 되돌아 생각하게 합니다.

    딥스카이 보는데 방해가 되는 광해 덩어리 취급했던 달이 언젠가부터 애처롭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에게 달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지 못한 것은 아마도 시중에서 변변한 달 관찰 안내서나 입문서를 구할 수 없어서 이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지난 여름 즈음 여전히 달에 대한 입문서나 안내서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스스로 활용하고자 달 입문안내서를 만들어 봤는데, 달 볼 때 나름대로 그럭저럭 만족스러워 여러분들과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총 1~280번까지 순서는 'Sky and telescope'에서 발행한 A3 용지 한 장짜리 'Moon map'의 목차를 사용했습니다.

    내용은 영문위키 등을 번역한 후 편집했습니다.

    설명대로 보이는 지형도 있고, 보이지 않는 지형도 있지만 보이지 않는 설명이라고 해서 불필요한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안드로메다 은하를 볼 때 보이지도 않는 1,000,000,000,000개 정도의 별로 이루어진 국부 은하군에서 가장 큰 은하라고 살짝 알고 보면 더욱 재미 있으니까요.


    S&T 한 장짜리 Moon map은 약 10~15년 전쯤에 미국 망원경 가게에서 이것저것 온라인 주문할 때 배송비 맞추려고 2~3달러 정도에 구입했던 것 같은데 지금도 Amazon 같은 곳에서 판매하려나 모르겠습니다.

    ※ 혹시 자작 달 입문안내서를 참고해서 활용하시려면 Sky & Telescope's Moon map을 구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1 앞장만 참조】 → 저작권!

    ※ 달의 지형을 조금이나마 이해하면서 관찰하려면 우선 달의 지질시대를 살짝 알고 있어야 더욱 재미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Lunar_geologic_timescale】

    ※ 직경은 테두리의 지름을 의미합니다. 용어의 정의는 【첨부파일 2】를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 내용은 틈나는 대로 수정하고 있는데, 제가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오타 및 오류는 피치 못하게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ㅋㅋㅋ 【첨부파일 3】



댓글 3

  • Profile

    박상구

    2025.03.05 00:34

    그냥 우리끼리 몇명만 돌려 보기에 아까운 자료입니다.
    그간 들였을 시간과 노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출판 한번 생각해보심이 어떨지 ^^
  • 이동근

    2025.03.06 22:15

    이렇게 방대한 자료를 정리해 주셨군요, 감사할 따름입니다.
    달에 조금씩 관심이 이는 시기에 이렇게 좋은 자료를 보니 당장이라도 나가 보고 싶네요, Atlas of the Moon을 펴 놓고 보니 아주 재미있습니다. 끝까지 정독 한번 해 보고 싶습니다.

  • Profile

    김원준

    2025.03.07 10:50

    책으로 내셔야겠는데요ㅎㅎ
위지윅 사용
번호 분류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94 일반 이한솔 20 2025-03-17
일반 이윤행 68 2025-03-04
92 일반 김승희 579 2024-03-11
91 일반 조강욱 797 2024-02-25
90 일반 류혁 1070 2022-12-28
89 일반 류혁 1578 2022-01-25
88 일반 이한솔 2546 2020-10-28
87 일반 조강욱 2157 2020-03-16
86 일반 최윤호 2218 2020-02-09
85 일반 서경원 3995 2019-09-1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