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궁수를 떠나보내며....Omega Nebula M17 sketch [스케치]
  • 빌리|김병수
    조회 수: 28787, 2013-04-08 22:55:40(2012-09-11)
  •  

    관측대상 Omega Nebula M17

     

    M17 오메가 성운(백조성운,오리 등등의 이름)

     

    장소 -  양평벗고개

    시간 - 9월 10일. 19시50분~22시 20분

    망원경 - XQ 10인치 / Explore 100 °  9mm + Ultra Block(UHC 2인치 Filter)

    스케치도구 -  2b,4b,0.5 sharp, 크로키북.

     

    (↓스케치 그림 누르셔서 "원본보기"로 보시면 큰사이즈 입니다.)

     1280 m17 omega joong.jpg

     

     

     어제는 야간비행에서는 김재곤님을 뵈었었는데....시간이 촉박한 터라 제대로 인사를 못드렸어요...

    못내죄송하고 아쉽고 그랬습니다^^; 죄송합니다 ㅜㅜ

     

    어제 벗고개 관측 하고 스케치한 후기를 남깁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위의 스케치 전,

    궁수자리의 오메가는 올4월에 스케치 했었습니다.

    필터없이.

     

    그때만 해도 필터가 없었고 그대로봤던 것을 스케치하였지만....

    참으로 이대상의 스케치는 쉽지가 않았고 구도를 잡는것이 다른 대상들보다

    어려움이 있었습니다...결과물이 아쉬웠죠....

     

    조강욱님을 만나뵙고,현장에서 필터로 대상을 보며...감흥과 새로움을 깨닫고,

    지금은 필터를 구입하여 궁수자리를 보면서 가장 많이 보았던 대상 오메가 성운입니다.

     

     

    이제.. 가버리려 합니다...

    여름내내 비오고 구름 가득 보이지도 않다가 이제 가버린답니다.....

     

     

    마음속으로 오메가 백조에게 "오리야..꼭 너는 내가 여름 가기전에 다시 한번 살려서 그려보고싶다...."

    라고 생각했었다가 어제...잠시 총명한 하늘이 다가와 나가서 그약속을 지키고 왔습니다.

     

     

     

    그동안의 제가하던 성운 스케치와는 다르게 다른 방법을 써봤습니다...

     

    새로운 방법으로 암적응하며 빨간불하나에 의지해 보기가 참 안보이더군요....

    이방법의 단점이 과정이 힘들다는겁니다....

     

    옅은그림이라 그리기가 힘든 부분이지만

    시도해봤는데...결과가 신기하게 나왔습니다... 반전을 하고 저도 놀라버린.....

     

    실제와 성운의 농담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보다 사실적으로 보이는건 좋은점이지만...

    스케치처럼 선명하게는 보이지못합니다만 농담은 본것과 어느정도 비슷합니다.

     

    스케치는 너무 잘보이는데 스케치상 옅게 그리고 보이는데로 한다는것이 참 힘든 부분입니다.

    가슴쪽에 별하나...그리고 4개로 갈라지는 성운, 배쪽으로 가장 밝은 성운  그외로 보이는 부분의 성운기를

    문지르면서 현장에 그린 그대로의 스케치 입니다.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농담은 비슷한거 같습니다.

     

    아래는 스케치하면서 본느낌을 남겨봅니다.

     1280 m17 omega nat sul.jpg

     

     

     

     

    오리온도 올초 겨울에 늦깍이로 스케치하며 보냈는데....이번엔 이녀석을 늦깍이로 스케치하고 ....보내내요.....

     

    ^^

     

     

    아래는 스케치원본 아이폰 찰칵~!

    스캔하면서 종이가 조금 크다보니 끝에가 찌그러진.......,,,

    won1.jpg

     

     

     

     

    반전.

     

    won2.jpg

     

     

     

    이상입니다~

댓글 4

  • 김남희

    2012.09.17 05:58

    백조가 아니라 한 마리 용이 승천 하는 것 같습니다.
  • 김병수

    2012.09.22 00:53

    쪼금 저두 스케치만 보니 그렇게 보였기도 했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조강욱

    2012.09.18 18:08

    새로운 표현방법 공유 감사드립니다! ^^
  • 김병수

    2012.09.22 00:54

    별말씀을요.  특별한것도 아니구요^^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16
  • 스케치
  • 1781년 4월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장발장이 조카들에게 주려고 빵을 훔치기도 15년 전에 메시에는 프랑스 천문학회 학회지에 낼 메시에 리스트를 정리하고 있었다 이미 M1번부터 M100번까지 100개 대상에 대한 관측 기록을 완성하고, 동료 관측자인 피에르 메케인(Pier...
2018-11-08 21:56:39 조강욱 / 2018-1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04
  • 스케치
  • 그동안.. 몇년간 다음에 하겠다고 미뤄만 두던 101번을 그려야 할 순서가 되었다 정면 은하를, 그것도 대형 Face-on(정면 은하)을 잘 보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다음에.. 다음에 하며 계속 미뤄 두었었다. Messier 33번을 그리...
2018-10-12 12:44:04 / 2018-10-10
thumbnail
  • 김선영 조회 수: 2606
  • 스케치
  • 안녕하세요? 야간비행에는 처음으로 글을 씁니다. 두근두근^^ 2016년부터 별하늘지기와 별나들 별사람 등등...네이버카페에서 (카운트)랜슬롯이라는 닉으로 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초보의 막눈으로 보이는 스케치를 주로 올리는데, 별하늘지기에서 조강욱님이 야간비...
2018-09-30 09:29:39 랜슬롯 / 2018-09-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931
  • 스케치
  • 봄의 끝자락, 달이 지자마자 벌써 처녀는 퇴근 준비를 하고 있다 아니아니 잠깐만 기다려봐.. 봄철 하늘에서 가장 반가운 별무리인 T존을 잡아놓고 100번부터 시작한다. 나는 100번을 생각하면 항상 떠오르는 관측기록이 하나 있다 자 우선 우주 최고의 천체스케치 Arti...
2018-11-08 21:57:05 조강욱 / 2018-09-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110
  • 스케치
  • 100 98 99 백 구팔 구구 입에 착착 붙는 그 순서. 왠지 99 98 100으로 가면 처녀자리를 보는 맛이 나지 않을 것 같다 그렇게 100 98을 완성하고 99번의 구도를 잡고 있는데 고도가 너무 낮아져서 더 이상 의미있는 관측이 되지 않는 상황이 되었다 다음달에 또 이어서 ...
2018-09-16 07:15:27 / 2018-09-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339
  • 스케치
  • 길다. (처녀 은하단 치고는) 엄청나게 길다 동글동글하고 솜사탕 같은 애들이 질리도록 많은 동네라 더욱 인상적인 것이 아닐까. 은하 관측시, 은하 표면이 보이는 방향에 따라 두가지로 분류한다. 은하의 정면이 보이는 정면은하(face-on)와 은하의 측면이 보이는 측면...
2018-07-17 12:55:07 / 2018-07-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835
  • 스케치
  • 2년만에 돌아온 화성의 지구 접근. 이글거리는 화성이 무서울 정도랄까.. 아이피스에서 눈을 떼도 화성은 그자리에 있다. 엄청난 습기에도 불구하고.. 어? 이거 괜찮네 화성에다 화성을 담은 아이피스까지 한 화면에 담아 그려본다. [ Mars Opposition on the eyepiece, ...
2018-07-15 07:32:29 / 2018-07-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45
  • 스케치
  • 뭐니뭐니해도 메시에 97번의 트레이드 마크는 뽕뽕 뚫린 눈알 두 개. 망원경으로 별을 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도 메시에 97번, 올빼미 성운의 커다란 두 눈은 잘 알려져 있다 (출처 : 구글 검색) 안시로는 어떨까? 사실 나는 97을 제대로 본 지가 너무 오래 되어서, 그 ...
2018-07-05 12:27:38 / 2018-07-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03
  • 스케치
  • 사자자리의 Leo Triple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대상이다 밝고 특색있는 세 은하의 역동적인 조합. [ Leo Triple, 보현산&벗고개에서 조강욱 (2013~2014) ] 아마도 남반구에서만 보이는 Grus Triplet과 함께, 최고의 은하 트리플일 것이다 (...
2018-06-04 06:21:39 / 2018-06-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37
  • 스케치
  • 데이터북에 SBa 정도로 표시되어 있는, 수백만 광년 밖의 막대나선 은하를 잡고서 뿌연 헤일로를 뚫어지게, 혹은 주변시로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어느틈에 가지런한 막대(Bar)와 거기에 붙어있는 팔(Spiral Arm)이 돌고 있는 것을 볼 수, 또는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018-06-01 06:25:02 / 2018-06-0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