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Vega.. sketch 2012-06-19 (베가) [스케치]
  • 조회 수: 18227, 2013-04-08 22:56:02(2012-06-20)
  • 인제를 가려했는데...  말발굽쪽 위치가 하늘도 뻥뚤려있고 바람도센터라...

    망원경이 바람을 견딜수 없을거같아 벗고개나 양평 국제천문대로 가려하다.....

    국제천문대로 갔습니다.

     

    밤이되어 별은 보이지만 옅은 구름이 꼈지만 그래도 별은 꽤 보였습니다.

    대기중에 미세물질이 많았습니다. 큰별에 초점을 흐려 크게 잡으니

    바람과 함께 엄청난먼지?들이 날라가는데 보입니다.

    태풍으로 인한 바람으로 시잉이 좋지 않았습니다.

     

    올해 들어서 봄하늘 부터 베가를 많이 보았던거같습니다...

    베가를 중심으로 그옆 가까운곳 쌍성이라고 하나요?

    그런건 저는 안보이더군요. ^^a

     

    머 그런거보다는 그냥 그빛의 아름다움이 좋아서 스케치하였습니다.

    겨울에 시리우스였다면 봄 여름철엔 베가!

     

    봄의 흐린날씨에 하늘에 자주 봐왔던 것이

     

    베가,m39,23(그냥 이름없는 23별),아크투르스,토성

    였었습니다....

     

    가끔은 흐린날씨에 베가를 보면서 밝은 빛깔의 빛.....밤하늘에서 유일하게 꺼지지않은 촛불같은

    느낌이었던거 같습니다..그래서 그간절하고 살아있는 빛은 하늘이 좋지않을때도 잠깐잠깐 보며

    위로했던 대상입니다.

     

      

    관측을 하면서 보니 재밌는것이 베가 왼쪽으로 "카시오페아"모양의

    별의길이 있어 재밌더군요.

     

     

    역시 평일관측은 좀 피곤하네요...

    시잉은 좋지않았지만 그래두 다채롭게 오랫만에 밤하늘을 보니

    마음이 위로가 됩니다.

     

    어제 순간 처음에 망원경을 잡고 호핑을 하는데.....

    내가 도대체 망원경을 언제 만졌었는지에 대한 기억이 가물가물하니...

     

    참 이상터군요...그만큼 날이 안좋아서 관측횟수도 줄고 좋은 하늘도 못보고하니

     어제 하늘만 하더라도 많은 위로가 된거같습니다.

     

    오랫만에 밤하늘 스케치를 하면서......

    역시나 스케치전에 조금은 밤하늘에 대한 서운함과 아쉬움이 있지만...

     

    스케치를 하면서 집중도 잘되고 지금 스케치하는 대상과 나만 존재 하는 깊이가 느껴집니다.....

    즐거워지죠. 오랫만에 그 느낌을 느껴봤습니다.

     

    이상입니다.vega.jpg

     

     

    이상입니다!~~

댓글 4

  • 이한솔

    2012.06.21 02:42

    어젠 정말 나갈까 망설였었는데.. 토요일 실패에 의한 트라우마로 그만....
    김병수님의 스케치는 사실적 감각이 정말 대단합니다...
  • 김병수

    2012.06.22 01:58

    토요일에 관측 가셨었나봅니다^^ 지난주에는 저는 생각하지 못했었는데....그적에는 바람이 많고 대기가 불안정해서 토성도 잘안잡히더군여.

    투명도는 어느정도 괜찮았는데 시잉이 안좋았어요. 흐릿하기하지만 많은 대상을 보긴했습니다. 게속 보고있으면 녹색으로 보이네요 베가...녹색거성이었는지^^;

    말씀 감사합니다.

  • 조강욱

    2012.06.21 20:33

    아! 이건 안시관측 그 자체군요.. 감사합니다 ㅎ

    저는 저렇게까지 사실적으로 묘사가 잘 안 되던데.. ㅠ_ㅠ

  • 김병수

    2012.06.22 01:59

    별말씀을 다하세요 ㅋㅋ 말씀만 그정황송하고 감사해요 강욱님 *_* 근데 언제한번 날이 좋아 인제에서 또 한번뵐까요 ^^이번달도 이대로 갈것만 같은데

    다음주에는 평일에도 좋으면 나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443
  • 스케치
  • M75의 공식적인 소속은 궁수 군단의 수많은 구상성단 중의 하나지만 모두가 원하는 핫플레이스인 주전자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서 궁수의 외딴 변방을 홀로 지키고 있다 (Reference: http://www.messier-objects.com/messier-75/) 주전자 뚜껑에서 멀어질수록, 그에 비례...
2017-09-11 20:39:52 / 2017-09-11
thumbnail
  • 신상옥 조회 수: 8485
  • 스케치
  • 안녕하세요. 15인치 돕으로 인사드린 남양주 신상옥입니다. 돕을 들인후 스케치를 하기로 마음먹고 지난 주말 관측때 첫 스케치(http://singamdoks.blogspot.kr/2017/08/m57-ngc6910.html)를 그렸습니다. 부족함이 많다고 생각되고, 잘 정리되어 있는 조강욱님의 스케치 ...
2017-09-05 17:29:59 최윤호 / 2017-08-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61
  • 스케치
  • 많은 책에 명시되어 있다. 메시에 110개 중 가장 어려운 대상은 74번이라고 253은 낮으니까 그렇다 쳐도, 메시에가 7331이랑 2903은 못 찾았으면서 74번은 어떻게 찾았을까? (사실 최초 발견자는 피에르 메시엥이긴 하지만.. 어쨌든 그 사람도 7331과 2903을 못 찾았긴 ...
2017-08-01 16:50:35 / 2017-08-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293
  • 스케치
  • 73번은 40번과 함께 가장 어이없는 메시에 대상이다 40번은 이중성이니 나름 Deep-sky라고 해줄 만도 한데.. 73번은 대체 뭔가. 그냥 별 4개 모여있는 Asterism(별무리)인데 말이다 이정도 모양은 아이피스 안에서 하늘만 몇 번 휘휘 저어도 수십 개는 찾을 수 있다 178...
2017-07-19 12:26:05 관심은하 / 2017-07-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89
  • 스케치
  • 나는 아이피스 안에 여러 대상이 같이 보이는 것, 적어도 근처에 무언가 다양한 것들이 많이 모여 있는 것들을 좋아한다 그래서 밤하늘의 여러가지 커플들을 감상하는 것을 즐기는데, 염소자리 위쪽의 72 & 73은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볼품없는 커플일 것이다 73번...
2017-07-17 05:59:47 / 2017-07-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0
  • 스케치
  • 71번은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대상이다 이게 정말 구상성단이 맞을까? 생긴거는 꼭 산개성단 M11 비슷하게 생겼는데.. 우리들 뿐 아니라 천문학자들도 1970년대까지는 M71을 산개성단으로 분류해 놓았었다 최근에야 구성 별들의 성분 분석을 통해 구상성단임이 밝혀진...
2017-07-10 03:21:16 / 2017-07-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121
  • 스케치
  • 69 - 70 - 54. 딱 거기까지다 별을 좀 본다는 사람들도 궁수자리 바닥에 위치한 세 개의 작은 구상성단의 순서, 69번 → 70번 → 54번.. 그 이상의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리 밝지도 특이하지도 않은 애들이기 때문이다. 우주 상에서 그리 큰 관계가 없을 두 성...
2017-06-25 06:18:54 / 2017-06-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041
  • 스케치
  • 궁수자리의 (공식적인) 진짜 모양을 하늘의 별들을 이어서 그릴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하지만 그 윗부분의 찻주전자, Teapot, 또는 돈데크만을 사랑하지 않는 별쟁이 또한 드물 것이다 그 귀여운 생김새는 물론이고, 황홀한 은하수 중심과 맨눈으로도 보이는 수많은...
2017-06-04 05:55:33 / 2017-06-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94
  • 스케치
  • 오랫동안 메시에 스케치 연재를 올리지 못했다 다양하게 일을 벌리고서 허덕이며 근근히 수습하는 것을 즐기는 성격상 어쩔 수 없는 공백이었지만 이것도 벌린 일이니 수습해야지! 공허한 봄철 하늘에서도 남쪽 하늘은 더욱 심심하다 거기엔 하늘에서 가장 큰 (또는 긴)...
2017-07-10 04:40:36 조강욱 / 2017-05-2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714
  • 스케치
  • 2013년 2월. 지구 최근접 소행성이 지나간 날이었다 거 기왕 지나가는거 주말에 지나가면 좋으련만.. 금요일 저녁이다 한 주의 피로를 한가득 안고 퇴근하자 마자 밥도 안 먹고 짐 챙겨서 천문인마을로 출발. 불금의 정체를 뚫고 자정이나 되어서야 시린 늦겨울 별들과 ...
2017-04-18 03:37:26 / 2017-04-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