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2012년 2월19일 새벽 벗고개 마카라인 체인 스케치. [스케치]
  • 조회 수: 19342, 2013-04-08 23:19:53(2012-02-20)
  •  

    2560 마카리안체인 김병수.jpg

     

     

    안녕하세요

    양평 김병수 입니다.

    가입하고 스케치 처음 올려봅니다.

     

    제가아직 처녀자리는 어지러워서 잘못보는데요.

    이곳 은하단은 준비하지않으면 뭐가 뭔지 알기가 참어려운 은하단 같아서

    이쪽을 잘 살펴보려고...마카리안 체인 부근을 지난 주부터 스텔라리움을 보고

    마카리안 안시 실각도로 그려서 준비를 하여 잘찾아볼수 있었습니다.

     

    17 토요일 벗고개의 밤하늘은 환상적이었습니다.

    그려서 준비한 실각도 마카리안 의 15등급 은하까지 보였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이날 최고로 기억에 남았던건, m46안의 행성상성운이었습니다.

    너무나 꽉찬 동그라미로 완벽하게 보여서 저도 모르게 비명?을 질렀습니다.

    그정도의 m46 내 행성상성운의 상은 첨본날이었습니다.

     

    이제 마카리안 스케치 쪽을 보자면,

    스케치중에...NGC 4762,4754,4694 부근이랑 혼돈되서 처음에 모양이 비슷하여 이부근이랑 햇갈려서 고생조금 했습니다.

    찾아보시면 참 비슷할겁니다^^;;

     

    크로키북을 A4정도로 잘라서 가져 다니면서 스케치하는편입니다.

    17토요일이자나 18일 새벽에 여기다가 마카라인체인을 그리려 하니 너무나 작습니다. 크기가 A4이니 제대로 스케치하기가

    힘들었습니다. 그러면서 40여분을 스케치하닥 스케치도중 포기했습니다. 이작은 크로키북에 표현하기가 제대로 살릴수 없다는걸

    깨달아서 입니다.

     

    그러면서도 잠시후 다시 스케치에 도전해보려했으나, 갑자기 몸이 안좋아져서 (속이 거북하더군요. 배쪽이....너무 추워서 그랬던거같습니다. )

    2시간정도를 차에서 앓다가 *_* 나와서 번개 같이 오신분들 안시관측 눈팅좀 하고 이좋은날씨에 이것을 스케치못하고 또 종이도 작아서

    머리를 절래절래 흔들면서 아쉬운 날이었습니다. 너무 좋은 날이라서 더했구요.

     

    관측후에 다음날 일어나서 이 아쉬움을 달래지지가 않아서

    야외이젤과 4절지와 화판을 들고  18일 저녁 벗고개로 또출발했습니다.(이거면 어느정도 디테일하게 간격과 별상도 잘 스케치할수 있을듯했습니다.)

    이것을 꺼내놓고 스케치 한다는것이 부끄러웠지만 저는 꼭해야 했습니다^^;;

     

    몸이 정말 지쳐있었습니다. 이날은 가보니 촬영하시는분들이 많고 안시쪽은 많이 없어서 오히려 집중이 잘된거 같습니다.

    저도 많은걸 보지는 않고 마카리안과 처녀 은하단 부근에 집중했습니다.

     

    날은 17일보다 심히 좋지 않았습니다. 옅은 구름이 끼고, m46안의 행성상성운도 너무 여리게? 보였구요.....

    그래서 또....오늘은 보이지 않아서 안되는건가......하면서 있다가 새벽에 조금더 추워지면서 날이 좋아졌습니다.

    스케치는 19일 새벽 0시쯔음 시작했는데요. 나중에 잘안보이는 은하들이 조금더 보여서 스케치 할수 있었습니다.

     

    전날에 보았던 15등급은하는 그래도 보이지 않았구요. 12등급 내외로 보였습니다.

    어제 그렸으면 다그릴수 있는것을.....빨간등을 머리에 차고 스케치를 하고 종이도 크고 전체 모습도 잘보이지 않아 대강 윤곽만 보고

    집에와서 오늘 일어나 보니 생각보다 괜찮은거 같습니다^^

     

    은하몇개가 조금 빠져있어서 아쉽기는 한데 보이는 대로 스케치한 결과물입니다.

    마카리안 부근 스케치를 하면서 주위 메시와  NGC등을 보면서 이중심으로 부터 처녀자리 은하단의 위치를 알수있게 되었습니다.

    항상 어지럽고 힘들기만 하던것들이 이제 눈에 잘보이고 잘들어와서 나름 뿌듯한 관측이었던것 같습니다.

     

    근데 스케치한것이 바로보이지않고 첨부로 보이네요.

    2560픽셀 크기라. 원본 크기로 봐야지 형태가 좀 보입니다^^

     

댓글 5

  • 조강욱

    2012.02.20 17:49

    장대한 스케일의 스케치군요 ^^ 새로운 스타일의 스케치 화풍을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항상 머릿속으로만 생각하던 그런 작업이었는데..
    은은하고 사실적인 표현이 마치 광시야 아이피스로 천천히 하늘을 훑고 있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기회 되시면 매수팔에서, 또는 관측지에서 스케치 작품들도 같이 보면서 얘기 나누었으면 좋겠습니다
  • 김병수

    2012.02.21 08:55

    안녕하세요^^

    말씀감사합니다. 용지만 컸지 실력은 없어서 이정도밖엔 아직 못합니다.

    제가할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하고 최대한 한정도구요^^;;

     

    스케치를 올리고 강욱님께서 말씀을 달아주실때는 단지 스케치를 떠나서

    보시고 말씀해주시는 강욱님의 생각의 깊이가 참 와닿고 좋습니다^^

     

    매수팔은 수요일 모임이지요?

    저도 주말이 아니고는 조금 힘든감은 있는데 시간이 나면 찾아뵙고 눈팅도 좀하겠습니다~

     

     

     

  • 김남희

    2012.02.21 07:16

    대단하네요. 실제 아이피를 쳐다보고 있는 느낌이 듭니다..........
  • 김병수

    2012.02.21 09:00

    과분한 말씀 이지만, 감사합니다^^;

     

    잘하지는 못하지만 조금씩하면서 배워가고 있습니다.

     

  • 이현동

    2012.02.24 01:10

    바로 보일 수 있게 손좀 봤습니다. 정말 훌륭한 스케치입니다. 빠져드는 느낌이랄까 그렇습니다.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47
  • 스케치
  • 별쟁이들에게 77번의 이름이 불리우는 것은 보통 두 번 뿐이다. 메시에 마라톤 하는 날 초저녁과 Seyfert 은하의 예로 들 때 말이다. 세이퍼트 세이펄트 세이펄ㅌ 발음이야 어찌되었던 나도 대학교 시절부터 동아리 후배들에게 “이건 Seyfert 은하야”라고 주입식 교육을...
2017-10-09 16:36:16 / 2017-10-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417
  • 스케치
  • 산개 밭인 겨울 하늘에서 레어 아이템인 성운이면서도 42번의 위세에 숨도 제대로 쉬기 어려운 78번.. 맑고 투명한 밤에도 78의 흐리멍텅함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반사성운은 어쩔 수 없는 것일까? 좀 더 잘 볼 수는 없을까 하여 반사성운에 어이없이 UHC를 달...
2017-11-20 18:43:09 정병호 / 2017-1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26
  • 스케치
  • 오리온이 밟고 있는(?) 토끼자리에 위치한 M79는 겨울 하늘의 유일한 구상성단이라는 희소성 치고는 존재감이 희박한 아이다. 가을철 하늘에서 보던 2번이나 5번에 비하면 너무 심심한 구상이기 때문이다. "에이.." 어느 가을날 밤, 여느 때처럼 2번과 5번을 보며 한참 ...
2017-12-01 12:14:59 / 2017-12-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17
  • 스케치
  • 슈퍼문 그까짓거, 정작 별쟁이들은 슈퍼문에 별 관심이 없다. 매스컴이 만들어낸 허상일뿐.. 근데 오늘은 여러 사람들이 내게 물어보기도 하고, 그저 소원을 빌고 싶었다 그리고 일월출몰을 감상하는 것은 내 오랜 자폐적 취미생활.. 멋진 해변 근처에 산다는 것은 얼마...
2017-12-07 03:07:11 rocky / 2017-12-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58
  • 스케치
  • 밤하늘에서 M80이 느끼는 비애는, M28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전 우주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형 구상성단 옆의 평범하..지는 않은 구상성단. 22번을 보고 28번까지 가는 사람이 별로 없듯이.. 4번을 보고 80번까지 찾아보는 사람 역시 많지 않다. 나 또...
2017-12-14 05:54:17 / 2017-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33
  • 스케치
  • 별쟁이들은 별이 잘 보이는 곳에 갈 수만 있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군부대는, 그런 의미에서 아주 탐나는 장소다. 다들 그 곳에서 예전에 안 좋은 기억이 있음에도 말이다. 그와 동시에 군부대는 항상 불안한 곳이다. 언제든 쫓겨날 수 있는 곳이니.. 인제의...
2017-12-19 19:17:54 / 2017-12-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53
  • 스케치
  • 2014년 1월. M82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난 한동안 X마려운 강아지처럼 안절부절하며 지냈다 아니 그게 뭐라고, 1200만년 전에 우주 저 편에서 별 하나 폭발한 것 뿐인데. 1054년에 게성운이 폭발했을 때도 가만히 있었으면서.. 그게 뭐라고 그렇게.. 마나님께서도 ...
2018-01-02 17:34:44 / 2018-01-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306
  • 스케치
  • 별 보는 사람 중에 빙글빙글 돌아가는 나선은하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멋진 막대가 있는 막대나선이라면 더더욱.. 그런데 여기엔 커다란 함정이 있다 그 막대나선을 보려면 은하가 face-on(정면이 보이는 은하) 이어야 하는데, Face-on 은하는 Ed...
2018-01-31 19:54:35 반형준 / 2018-01-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294
  • 스케치
  • 1996년, 대학교 1학년 겨울에 8인치로 처음 이 지역을 보았을 때의 신선한 충격을 나는 아직 잊을 수가 없다 Messier 84와 86번을 중심으로 모여 있는 9개의 은하. 당시 내가 가지고 있던 유일한 아이피스인 다카하시 30mm 83배짜리 번들 아이피스로 한 시야에서 가장 ...
2018-02-03 06:41:55 관심은하 / 2018-0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425
  • 스케치
  • 메시에 완주를 꿈꾸는 사람들이 필연적으로 넘어야 하는 가장 높은 허들은 단연 머리털-처녀자리 은하단이다. 85번부터 61번까지 이어지는 16개의 은하들 (104번 제외) 이것도 저것도 다 똑같이 생긴 솜뭉치들 사이에서 길을 잃고 여기저기 휘휘 돌려봐도 모두 뭐가 뭔...
2018-02-06 18:01:44 바람검 / 2018-01-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