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Chevallier crater or neighbour area [스케치]
  • 민경신
    조회 수: 15722, 2013-04-08 23:33:17(2011-11-18)




  • 저번에  올렸던 달 지평선(Moon  horizon ) 풍경  스케치 중에 ,         Mare  Crisium  에서  Grimalldi Crater로  가면  보이는  .... 검은  새(bird) 가  날개를  펴고  갈라진  crater  rim 사이로  튀어  나오는  형상의   Crater를 ,     알맞은  월령을   만나서   ...   다시금   그곳에 (35km직경의  crater  )   겨냥하여   아이피스를   드려다 보고  스케치 해보았음니다.

    이 곳의  위치가  거의   Mare  Crisium  에서   North  Pole 간의  중간쯤  되는  지역임니다.  ( 월령  16일의 달의  둘레를  따라 가서...)

    집에  있는  월면도에는  다시  잘보니,  아마도   Chevallier  Crater  직근  같음니다.    
    15  ,  35,  90 km  크기의   크레이터가    일렬로  배치되고,     90, 35 km  짜리  두개의  크레이터에  걸쳐  평원이  형성되고,    이  평원이  35km  크레이터의  rim을  뚫고  좁혀진  병목 형상으로   좀더  밖에  까지   펼쳐져  있음니다.

    35km  Crater 가   확실히   rim이  갈라져  있는  묘한  구조가   340 - 500배로  잘  보임니다. .., !!  이번엔  불사조의  머리가  안보임니다.

    역시  달 보는게  제일  즐겁음니다.  볼게  많으니...    

    ## ; 위 사진과  아래  사진을  비교시,  crater  안에도  두갈래  검은  날개모양의  그림자가  ,   위는   박쥐날개모양의 날카롭게  각이 선  날개 그림자  인데,       ...아래는   부드러운  갈매기 날개의  곡선을  한  그림자가....대조적임니다.

    이것은  달의  칭동으로  이번에  더  crater가  눞혀 보이며.....
    그림자의  변화로  추측하면....     갈라진  rim 부위의  맨 윗부위는   완만하며,    바닥쪽으로  좀  내려가면  모가난  지형이  존재한다고    볼수 있음니다.     이 밖에도  여러가지  좀  이상한  점들이   내재되어있는   진기한  crater 와  그 인근 임니다.

댓글 4

  • 이한솔

    2011.11.18 20:04

    우와 대단하시네요....
    잘 그리신다.. 뭐 이런걸 떠나서
    고배율로 달을 보았을때 의 개인적인 느낌.. 예를 들면
    밀가루 처럼 곱게느껴지는 질감, 실제 빛을 내는 듯한 표면, 과장되게 느껴지는 명암...
    이런게 너무 잘 표현 된 것 같습니다...
  • 김원준

    2011.11.19 08:54

    마치 고배율로 이글거리는 달표면을 보고 있는듯한
    착각이 들 정도입니다.
  • 민경신

    2011.11.22 09:20

    target=_blank>http://www.asod.info/


    요기에다 하나( 위의 스케치 ) 올려봤는데, 느려터지고 답답하네요.
  • 민경신

    2011.11.30 07:32

    며칠전에 Google English 검색에도 chevallier crater of moon 에 대해, ASOD와 야간비행 에 실린 기사가 모두 떴는데, (야간비행은 우리 언어로...) 오늘 보니 야간비행은 삭제되고, ASOD의 것만 남아있군요.
    특이한 기사라서 올라간 건지, 그냥 자동으로 올라가는 건지.....?
    위 스케치 와 같은 정보를 제공한 경우가 처음인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솔직이 저도 저 그림의 Crater 명칭이 정확히 뭔지 모르고 , chevallier crater 라고 일단 명기햇는데, 혹, Moretus 나 그 인접부 일수도 있음니다. .....
    도대체 여기가 어떤 장소일까요 ? 크기는 스케치 당일 반드시 플라토 (90 km)등과 비교 하므로 정확함니다. 즉, 35-40 km., .........
    잘못된 지식이 전세계에 올라가면 , 그건 원치 않는 바인데,....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591
  • 스케치
  •  안녕하세요? 천세환입니다.   얼마전 우연한 기회로 다카하시 TSA120을 중고로 구입했고, 이 무거운 경통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삼각대와 경위대를 추가로 구입... ;;;;  뭘 할지 고민하던 중, 최윤호 님의 사냥개자리 이중성 관측기 http://www.nightflight.or.k...
2021-03-12 22:28:59 최윤호 / 2021-03-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53
  • 스케치
  •  목성토성 최근접 당일.. 예보가 안 좋아서 사실 큰 기대를 안하고 있었는데 잠복근무 중에 운 좋게 구름 사이로 볼 수 있었다 (자세한 얘기는 관측기록으로.. ^^) 기본적으로 나는 내 그림에 인공 구조물을 넣는것을 좋아하지 않는데.. (안이쁘고 그리기도 어렵다) 천...
2021-01-01 17:06:57 / 2021-01-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50
  • 스케치
  • 별하늘지기에서 목성의 영이 보일 거라는 게시물을 보고 황급히 망원경을 폈다. ​ 목성 표면에 각기 다른 색의 점 세 개가 보인다. 시간이 흐를 수록 점들도 흐르고 그 색도 바뀐다. 세상에 이 기쁨을 아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난 정말 운도 좋다 Nightwid 無雲
2020-09-06 17:12:29 조강욱 / 2020-08-30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1281
  • 스케치
  • 엄청난 시상의 일요일 저녁.. ​ 이정도면 웬만한 사진보다 낫겠다 싶어서 신나게 그렸는데 ​ 같은날 찍혀진 사진들을 보니 아직 상대가 되지 않는다. ​ 목성 본체의 그림자 뒤에는 유로파도 숨어있었다. 그래도 보름 전의 목성보다는 조금 발전했기를 바란다 ​ 나의 목...
2021-02-16 01:12:01 / 2020-08-24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622
  • 스케치
  • 남반구에서는 요즘 목성과 토성이 천정에 남중하고 있다 ​ 얼마전까지만 해도 새벽 하늘에 함께 하던 화성은 저 멀리 떠나가고, ​ 목성과 토성만 이른 저녁부터 밤하늘을 빛낸다 ​ 토성 간극이 대체 무엇인지 궁금해서 한참을 파 보았던 몇달 전 이후로 처음 토성을 겨...
2020-08-24 03:36:36 / 2020-08-24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1776
  • 스케치
  • 금성과 플레아데스성단의 랑데뷰를 모처럼 찍어봤다. 망원경으로 보이는 랑테뷰는 아름답지 않았다. 큰 화각이 필요했고...그렇다고 쌍안경으로 보면서 그릴 수도 없는 노릇 방법은 사진을 찍고 그 찍은 것을 그대로 그리는 것 사진을 찍고보니 플레아데스의 별마다 성...
2020-04-13 02:32:12 신기루 / 2020-04-08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1693
  • 스케치
  • 3월20일 별 안보이는 구름 낀 관측지에서... -왠지 장비들을 멀리 보내야 될 것 같아서 기념으로.... - 교동대교를 멍떄리며 보며 유투브를 보고 오일파스텔을 샀는데...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느낍니다 ㅎㅎㅎ 많이 그리다 보면 좋아지겠죠 ^^
2020-04-08 20:16:08 신기루 / 2020-03-23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2005
  • 스케치
  • NGC 2359 *03.18 홍천 *미드 12", 12.5mm 독터, OIII, x121 *03.18 홍천 *미드 12", 12.5mm 독터, OIII, x121  신년관측회때 재곤씨 망원경으로 본 모습이 너무나 인상적이어서 그려봤지만 그모습은 어디 갔는지 ㅎㅎㅎㅎ 투구 모양이 아니라 스푸트니크 1호 느낌이.......
2020-03-25 23:13:28 조강욱 / 2020-03-23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3023
  • 스케치
  • 그리다보니 서로 Interacting한 짝꿍 GX만 모이게 되었습니다. -관측시간순 : 4 > 2 > 3 > 1 -미드12", 7mm솔로몬, x220 1. 4490은 아주 엹게 2. 3227은 별같은 핵이 중앙에 꼭 3. 안테나라기 보다는 하트 4. 2개의 각도가 직각인 듯한 느낌이...
2020-03-24 04:54:31 조강욱 / 2020-03-23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1444
  • 스케치
  • 이번 주말 예정되었던 뉴질랜드 최대의 스타파티는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이틀전에 전격 취소되고, 별고픔을 달래보고자 새벽에 정원에 나가보니 목성과 화성이 딱 붙어있다. 이걸 왜 모르고 있었지? 40배 한시야에 너끈히 들어온다. 이렇게 귀여울수가.. 급히 좌판을 ...
2020-04-13 02:34:17 신기루 / 2020-03-2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