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76의 나비날개 [스케치]
  • 윤정한
    조회 수: 19221, 2013-04-08 23:32:54(2011-11-06)




  • 그저께 가금팔에서 김지현님, 김병수님께서 설명하셨던 M76의 나비 날개가 생각나서 예전의 스케치를 찾아 보았습니다.

    제 스케치에서는 나비의 북서쪽 날개는 꽤 잘 보이는데 남동쪽 날개는 흔적만 보이네요...

    11년 전의 관측 기록인데...
    이제는 눈도 나빠지고 숙련도도 많이 떨어져서.. 다시 본다면 10인치로 저만큼 볼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T_T

댓글 10

  • 조강욱

    2011.11.07 08:47

    오늘 아침에 찜질방에 갔다가 땀을 빼면서 식객 만화책을 읽었는데,
    허름하고 오래되었지만 손님으로 붐비는 곰탕집 주인이
    으리으리한 현대식 시설의 기업형 곰탕집 사장님께 남긴 마지막 한마디가 문득 생각납니다

    왜 사람들은 당신의 최고급 레스토랑보다 낡은 우리 가게를 더 좋아할까?
    그것은 60년간의 세월의 맛 때문이라고..
  • 김지현

    2011.11.07 23:54

    지난 모임에서 뵙고 많이 반가웠습니다.

    11년 전의 기록을 이렇게 보여주셔서 고맙습니다.

    찬찬히 바라보고 있으니.. 별빛 공간 속으로 빨려들어갈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 김남희

    2011.11.08 06:47

    전 왜 참새 한 마리로 보이죠...ㅎㅎ
  • 최윤호

    2011.11.08 07:38

    어 그러고 보니 저도 참새로 보입니다.
    스케치에 보이는데로 모든것을 담고 싶은 마음이 엿보입니다.
  • 김병수

    2011.11.08 19:25

    만나서 반가왔습니다.
    이렇게 날개가 보이는 군요.

    남희님, 저는 참새가 안보이네요.
    어떻게 보는 거죠?
    역시 남희님이 패턴을 만들어내는데 일가견이 있나 봅니다.
  • 박한규

    2011.11.08 23:17

    M76이 NGC 650 + 651 이네요
    관측기에 보이는 SW쪽 밝은 별 쪽이 NGC 650 이고 반대쪽이 651 이네요.
    처음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남희

    2011.11.09 04:29



    김병수님 참새 안보이시나요?^^
  • 조강욱

    2011.11.09 06:07

    저도 이제 찾았어요.. ㅋ;;;
    근데 참새보다는 생쥐가 서있는 것 같은 느낌이..
  • 정병호

    2011.11.09 06:19

    서쪽의 반짝이는 밝은 별, 참 잘~ 생겼다~~
    저 별을 보니 윤정한님 망원경 광축이 죽이는군요.
    빨랑 110개 다 공개 하셔요~~!!!
    ㅋㅋ
  • 김병수

    2011.11.10 00:54

    아~참새 있네요.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258
  • 스케치
  • 30번을 처음 본 것은 아마도 1999년에 병장 휴가 나와서 처음 봤을거고 (이 휴가에서 뱀주인과 염소를 마지막으로 첫번째 메시에 완주) 매년 메시에마라톤 때만 찾아봤는데.. 난 2001년 1회 마라톤부터 한 번도 30번을 찾은 적이 없다 어떻게 생긴 아이였는지 기억조차 ...
2016-11-03 04:49:57 / 2016-11-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152
  • 스케치
  • 밤하늘에는 대체 이게 뭐하러 메시에 리스트에 들어왔는지 이해할 수 없는 애들이 꽤 있다 대부분의 9번들이 그렇듯, 29번도 마찬가지이다 궁수 주전자 뚜껑 부분과 함께, 북반구에서 가장 복잡한 영역인 백조의 심장(Gamma) 근처에 M29가 위치해 있다 십수개의 별들로 ...
2017-12-14 05:21:28 / 2016-10-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8617
  • 스케치
  • 28번은 대학 동아리 시절 후배들에게 호핑법을 가르쳐줄 때 유용하게 쓰던 아이다 성도 상에도 주전자 뚜껑 별(λ)에서 직각을 이루며 한 번은 큰 놈(22번), 한 번은 작은 놈(28번)으로 번갈아 찾아가며 구상성단의 감을 잡게 만들었던 아이인데.... 22번을 그렇게도 아...
2016-10-26 04:36:28 / 2016-10-2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695
  • 스케치
  • 먹다버린 사과. 아령성운이란 공식 별칭보다 훨씬 먼저 사과라는 이름과 친해지게 되었다 하긴 웨이트 트레이닝보단 맛있는 사과가 낫지! 그리고, 구경을 키우거나 OⅢ 필터를 사용하면 이젠 더 이상 먹다버린 사과가 아니다. 먹기 전의 사과라고 하기엔 너무 타원형이고...
2016-10-23 14:43:34 / 2016-10-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215
  • 스케치
  • 방패자리의 두 대상 중 M11은 이전에 쓴 글과 같이 10번까지 번호 붙여가며 침 튀기며 관측 point를 논한 반면에.. M26은 찾는 사람도 기억하는 사람도 별로 없는 은하수 안을 떠도는 쓸쓸한 성단이다 처음으로 EQ를 사용하여 하룻밤 2~3개에 그치던 스케치를 무려 7개...
2016-10-18 04:37:03 / 2016-10-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68
  • 스케치
  • 25번은 보는 순간 오~ 하는 탄성을 부르게 할만한 궁수자리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25번이 어떻게 생겼더라? 잘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은 워낙에 인물이 많은 궁수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25번의 중심부에는 두 줄기의 스타체인이 동서로 뻗으며 흡사 석호성운의 암흑대와 ...
2016-10-16 03:50:46 / 2016-10-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488
  • 스케치
  • 메시에 110개 중에 가장 그리기 싫었던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단연 M24. 성운도 성단도 은하도 아닌 별이 가장 많은 은하수 조각인 24번을 대체 무슨 수로 그린단 말인가. (출처 : http://www.astrophotographos.com/photos/Star%20Cluster%20images/M24qa.jpg) 미루고 ...
2016-10-09 04:50:13 러기 / 2016-10-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21
  • 스케치
  • 23번의 점들을 찍는 데는 무려 이틀의 시간이 필요했다 꽤 밝은 산개성단이긴 하지만 그만큼의 대작을 만들 계획은 전혀 없었고, 단지 시간이 부족했을 뿐이었다 [ M23과 버섯돌이 - 검은 종이에 젤리펜, 인제에서 조강욱 (2016) ] [ Description : 버섯파인가 화살파인...
2016-10-05 07:12:33 / 2016-10-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4
  • 스케치
  • 20년 전, 대학생이 되면 꼭 김광석의 라이브 공연에 가보고 천문동아리에 들어서 망원경으로 하늘을 보고 싶다는 두가지 명확한 소망을 가진 고3 학생이 있었다 그러나 대학교 원서 내고 오는 길에 신문 가판대에서 김광석 사망 기사를 만났고 아직 동아리방도 구하지 ...
2016-10-13 09:07:44 김재곤 / 2016-09-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158
  • 스케치
  • 메시에 스케치 레이스의 끝을 향해 달려가던 올해 봄, 수피령에서 차가 들썩 들썩 하는 폭풍 속에서 21번을 맞았다 바람이 이렇게나 부는 것에 비하면 이상할 정도로 시상도 괜찮고 투명도도 좋은데 바람 때문에 망원경이 계속 돌아가서 관측의 효율이 전혀 나지 않는다...
2016-09-30 02:52:58 조강욱 / 2016-09-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