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2500만년 전에 생긴 일 - M51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2373, 2013-04-08 23:35:15(2011-07-19)
  •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3697


    ASOD, 2011년 6월 28일자
    http://www.asod.info/?p=6037


    3주에 걸친 지겨운 장마가 끝나고,

    비가 그치자마자 바로 숨막히는 더위..

    그래도 회사 회의실 너머로 보이는 풍경이 수채화처럼 투명한 것이 괜히 기분이 좋아집니다..


    야근을 마치고 자정이 넘어서 집에 돌아오는데, 하늘에는 눈부신 edge를 자랑하는 배부른 달과

    100여개의 별들이 초롱초롱 떠 있더군요..

    저희 집인 은평뉴타운은 서울 내에서 가장 별이 잘 보이는 point 중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작년에 이사온 이후로 가장 많은 별을 보았습니다

    등급 측정까지는 못 해봤지만.. 거문고자리 삼각형과 평행사변형이 아무런 노력 없이 잘 보이고

    용자리의 어지러운 몸통이 하늘을 가로지르고 있습니다..


    아.. 달 스케치 해야 하는데....시상 죽여줄 것 같은데.... 내일 회사 출근하려면 참아야겠지 =_=;;;

    생각해보니 여기 스케치 게시판에 Deep-Sky 스케치를 올린지 한참 된 것 같아서

    생각나는 그림 하나 올려봅니다

    요즘은 조금 덜한데.. 6월만 해도 ASOD (Astronomy Sketch of the Day) 홈페이지에

    연일 M51 그림만 올라왔었죠..

    그 자체도 멋진 대상이긴 하지만,

    6월초에 발견된 초신성, SN2011DH가 관측되었기 때문입니다


    한솔님이 정확한 위치를 잡아 주시어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는데,

    쉽게 생각하면 그냥 은하면 내의 흔하디 흔한 어두운 별 하나이지만....

    2500만년 전의 별빛을 내 눈으로 보고 있다는 것,

    그것도 며칠 전에 운명을 맞이한 멀고 먼 은하 내에 위치한 별의 최후의 비명이라면?



    우주의 역사책을 들추어 보는 것은 언제나 황홀한 일이다.

    [M51 Sketch]
    M51_res_110606.jpg

    [Description]
    M51_des_110606.jpg





                                  Nightwid 無雲

댓글 6

  • 김병수

    2011.07.19 19:52

    아, 어제 날이 좋았군요.
    달이 너무 둥그래서 안 올라갔는데...
    오늘은 달이 뜨던 말던 그냥 옥상에서 한상 벌려야 겠네요.
  • 김남희

    2011.07.20 03:24

    시간의 개념과 생성과정을 조금씩 알아가니 별밤이 경이롭게 느껴집니다.
    오늘은 파란하늘을 보이던데 녹슬은 눈알 좀 굴려보고 싶네요.
    달이 10시쯤 올라오니 가로등 없는 공동묘지라도 나가 봐야 겠습니다...
  • 조강욱

    2011.07.20 17:32

    병수님 - 이틀 연속으로 날이 좋았는데.. 어젯밤에는 달관측 좀 해보셨는지요 ㅋ
    어제는 뭐가 보였는지.. 얼마나 보였는지.. 재미있는 관측기록 기대합니다 ^-^
  • 조강욱

    2011.07.20 17:34

    남희님 - 오늘도 역시 밤 12시가 넘어서 집에 들어가다보니 하늘이 너무 맑아서..
    남희님이 공동묘지 올라가셨나 궁금했었습니다.. ㅎㅎ
    주말에 날 좋으면 가셔야죠?
  • 김재곤

    2011.07.21 21:13

    그때 밤하늘이네요. 눈앞에 아직도 선합니다.
    그 뒤로 쌓인 먼지 언제 떨어내야 할텐데. 어제도 번개 공지에 눈팅만 하다, 퇴근길에 휘영청 밝은 달만
    봤습니다. 돌아오는 월령이 그제/어제만 같아도...
  • 조강욱

    2011.07.23 03:24

    재곤님 - 아쉽게도 주말은 꽝일 것 같은데요.. ㅎㅎ
    필드에서 자주 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293
  • 스케치
  • 외뿔소자리를 정확히 그릴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물론 나도 아니다 겨울 밤하늘의 화려한 별자리들 가운데, 그것도 겨울의 대삼각형 가운데에 쏙 들어가 있으니 더더욱 찾을 생각이 들지 않는지도 모른다 지구의 반대편, 오클랜드에 살게 되면서 날만 맑으면 마...
2017-02-11 04:38:20 조강욱 / 2017-0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734
  • 스케치
  • 메시에 1번부터 50번 사이에, 은하는 단 4개 뿐이다 31번 안드로메다 대은하와 그 위성은하 중 하나인 32번, 거대한 face-on 은하 33번이 그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49번. 처녀자리 은하단의 끝자락에 위치한 타원은하다 31, 32, 33번이야 워낙 이름값이 있는 애...
2017-01-16 05:36:32 / 2017-01-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8686
  • 스케치
  • M48은 바다뱀 머리맡에, 넓고 공허한 영역을 지키는 산개성단이다 겨울밤의 화려한 산개성단 축제가 다 끝나갈 무렵에, 봄철의 심오한 은하 변주곡이 막 시작할 무렵에 나오는 아이라 그 충실한 별들에 비해 별로 인기가 없어 보인다 (관측기록도 별로 찾을 수가 없다) ...
2017-01-09 15:03:58 / 2017-01-0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221
  • 스케치
  • M46 바로 옆에 있는 47번은 46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은은하게, 그러나 절묘한 collaboration을 보이는 46번과 달리 M47은 남쪽 지평선 가까이에서도 당당하고 화려한 위용을 과시한다 성운기를 품은 큰 별들과 자잘한 별들의 멋진 조화. 47번은 그 자체로 아...
2017-01-06 14:27:15 / 2017-0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345
  • 스케치
  • 밤하늘에는 혼자 사는 아이들도 있지만 여럿이 몰려 다니는 아이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 중 딱 '커플'로만 한정해 본다면 단언컨대, M46과 NGC2438은 세계 최고의, 아니 우주 제일의 조합일 것이다 (출처 : 내 스케치) NGC7789에 비견될만한 자잘하고 빽빽한 별...
2017-01-04 16:20:28 / 2017-01-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7582
  • 스케치
  • 플레이아데스는, 꼭 별보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하늘에 조금만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모두 그 존재를 알고 있다 광해 가득한 서울 하늘에서도 맑은 겨울밤이면 하늘 높이 은은하게 빛나는 성단이기 때문이다 누가 지은 이름인지 '좀생이별'이란 이름도 참 잘 어울리는 듯 ...
2017-01-09 15:10:41 조강욱 / 2016-12-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624
  • 스케치
  • M44 프레세페. (고대부터) 사자자리 꼬리에 해당하는, 서울에서도 맘만 먹으면 눈으로 볼 수 있는, 그러나 정작 망원경으로 보면 건더기 몇 개 건질 수 없는 심심한 그저 밝은 별만 듬성듬성 있는 대형 산개성단이라 생각한다면 그건 분명 오산이다 M44 안에는 은하들이...
2016-12-23 14:55:59 조강욱 / 2016-12-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819
  • 스케치
  • 모두들, 42번의 화려함에 말을 잃고 감탄하면서도 아이피스 한 시야에 보이는 43번은 그저 보는둥 마는둥 하고 지나쳐 버린다 메시에 중에 이렇게 억울한 애가 또 있을까? 42번과 붙어 있지만 않았어도 멋진 애칭도 가지고 북반구 하늘에서 힘 깨나 썼을텐데 말이야 43...
2017-01-04 20:05:57 rocky / 2016-12-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6
  • 스케치
  • 미국의 안시 관측가인 Steve Coe 할아버지가 말씀하셨다는 유명한 별동네 격언(?)이 있다 "만약 내가 오리온 대성운을 보는 것이 지겨워질 때가 온다면 그 때는 내 장례식 날짜를 잡아야 할 것이다" 언제 왜 그런 얘기를 한 것인지 아쉽게도 그 원문은 찾을 수 없었지만...
2016-12-14 04:26:55 / 2016-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730
  • 스케치
  • M41은 고대 그리스의 기록에도 남아있는 네 개의 '별이 아닌' 대상 중의 하나이다 (나머지 세 개는 44번, 7번, NGC869&884다) 흠.. 그리스가 우리나라보다 위도가 낮지도 않은데 7번은 그렇다 쳐도 41번은 왜 들어갔을까? 우리야 그게 별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보니 ...
2016-12-13 05:09:59 / 2016-12-1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