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2500만년 전에 생긴 일 - M51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2373, 2013-04-08 23:35:15(2011-07-19)
  •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3697


    ASOD, 2011년 6월 28일자
    http://www.asod.info/?p=6037


    3주에 걸친 지겨운 장마가 끝나고,

    비가 그치자마자 바로 숨막히는 더위..

    그래도 회사 회의실 너머로 보이는 풍경이 수채화처럼 투명한 것이 괜히 기분이 좋아집니다..


    야근을 마치고 자정이 넘어서 집에 돌아오는데, 하늘에는 눈부신 edge를 자랑하는 배부른 달과

    100여개의 별들이 초롱초롱 떠 있더군요..

    저희 집인 은평뉴타운은 서울 내에서 가장 별이 잘 보이는 point 중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작년에 이사온 이후로 가장 많은 별을 보았습니다

    등급 측정까지는 못 해봤지만.. 거문고자리 삼각형과 평행사변형이 아무런 노력 없이 잘 보이고

    용자리의 어지러운 몸통이 하늘을 가로지르고 있습니다..


    아.. 달 스케치 해야 하는데....시상 죽여줄 것 같은데.... 내일 회사 출근하려면 참아야겠지 =_=;;;

    생각해보니 여기 스케치 게시판에 Deep-Sky 스케치를 올린지 한참 된 것 같아서

    생각나는 그림 하나 올려봅니다

    요즘은 조금 덜한데.. 6월만 해도 ASOD (Astronomy Sketch of the Day) 홈페이지에

    연일 M51 그림만 올라왔었죠..

    그 자체도 멋진 대상이긴 하지만,

    6월초에 발견된 초신성, SN2011DH가 관측되었기 때문입니다


    한솔님이 정확한 위치를 잡아 주시어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는데,

    쉽게 생각하면 그냥 은하면 내의 흔하디 흔한 어두운 별 하나이지만....

    2500만년 전의 별빛을 내 눈으로 보고 있다는 것,

    그것도 며칠 전에 운명을 맞이한 멀고 먼 은하 내에 위치한 별의 최후의 비명이라면?



    우주의 역사책을 들추어 보는 것은 언제나 황홀한 일이다.

    [M51 Sketch]
    M51_res_110606.jpg

    [Description]
    M51_des_110606.jpg





                                  Nightwid 無雲

댓글 6

  • 김병수

    2011.07.19 19:52

    아, 어제 날이 좋았군요.
    달이 너무 둥그래서 안 올라갔는데...
    오늘은 달이 뜨던 말던 그냥 옥상에서 한상 벌려야 겠네요.
  • 김남희

    2011.07.20 03:24

    시간의 개념과 생성과정을 조금씩 알아가니 별밤이 경이롭게 느껴집니다.
    오늘은 파란하늘을 보이던데 녹슬은 눈알 좀 굴려보고 싶네요.
    달이 10시쯤 올라오니 가로등 없는 공동묘지라도 나가 봐야 겠습니다...
  • 조강욱

    2011.07.20 17:32

    병수님 - 이틀 연속으로 날이 좋았는데.. 어젯밤에는 달관측 좀 해보셨는지요 ㅋ
    어제는 뭐가 보였는지.. 얼마나 보였는지.. 재미있는 관측기록 기대합니다 ^-^
  • 조강욱

    2011.07.20 17:34

    남희님 - 오늘도 역시 밤 12시가 넘어서 집에 들어가다보니 하늘이 너무 맑아서..
    남희님이 공동묘지 올라가셨나 궁금했었습니다.. ㅎㅎ
    주말에 날 좋으면 가셔야죠?
  • 김재곤

    2011.07.21 21:13

    그때 밤하늘이네요. 눈앞에 아직도 선합니다.
    그 뒤로 쌓인 먼지 언제 떨어내야 할텐데. 어제도 번개 공지에 눈팅만 하다, 퇴근길에 휘영청 밝은 달만
    봤습니다. 돌아오는 월령이 그제/어제만 같아도...
  • 조강욱

    2011.07.23 03:24

    재곤님 - 아쉽게도 주말은 꽝일 것 같은데요.. ㅎㅎ
    필드에서 자주 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5
  • 스케치
  • 1781년 4월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장발장이 조카들에게 주려고 빵을 훔치기도 15년 전에 메시에는 프랑스 천문학회 학회지에 낼 메시에 리스트를 정리하고 있었다 이미 M1번부터 M100번까지 100개 대상에 대한 관측 기록을 완성하고, 동료 관측자인 피에르 메케인(Pier...
2018-11-08 21:56:39 조강욱 / 2018-1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06
  • 스케치
  • 그동안.. 몇년간 다음에 하겠다고 미뤄만 두던 101번을 그려야 할 순서가 되었다 정면 은하를, 그것도 대형 Face-on(정면 은하)을 잘 보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다음에.. 다음에 하며 계속 미뤄 두었었다. Messier 33번을 그리...
2018-10-12 12:44:04 / 2018-10-10
thumbnail
  • 김선영 조회 수: 2607
  • 스케치
  • 안녕하세요? 야간비행에는 처음으로 글을 씁니다. 두근두근^^ 2016년부터 별하늘지기와 별나들 별사람 등등...네이버카페에서 (카운트)랜슬롯이라는 닉으로 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초보의 막눈으로 보이는 스케치를 주로 올리는데, 별하늘지기에서 조강욱님이 야간비...
2018-09-30 09:29:39 랜슬롯 / 2018-09-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933
  • 스케치
  • 봄의 끝자락, 달이 지자마자 벌써 처녀는 퇴근 준비를 하고 있다 아니아니 잠깐만 기다려봐.. 봄철 하늘에서 가장 반가운 별무리인 T존을 잡아놓고 100번부터 시작한다. 나는 100번을 생각하면 항상 떠오르는 관측기록이 하나 있다 자 우선 우주 최고의 천체스케치 Arti...
2018-11-08 21:57:05 조강욱 / 2018-09-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110
  • 스케치
  • 100 98 99 백 구팔 구구 입에 착착 붙는 그 순서. 왠지 99 98 100으로 가면 처녀자리를 보는 맛이 나지 않을 것 같다 그렇게 100 98을 완성하고 99번의 구도를 잡고 있는데 고도가 너무 낮아져서 더 이상 의미있는 관측이 되지 않는 상황이 되었다 다음달에 또 이어서 ...
2018-09-16 07:15:27 / 2018-09-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339
  • 스케치
  • 길다. (처녀 은하단 치고는) 엄청나게 길다 동글동글하고 솜사탕 같은 애들이 질리도록 많은 동네라 더욱 인상적인 것이 아닐까. 은하 관측시, 은하 표면이 보이는 방향에 따라 두가지로 분류한다. 은하의 정면이 보이는 정면은하(face-on)와 은하의 측면이 보이는 측면...
2018-07-17 12:55:07 / 2018-07-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835
  • 스케치
  • 2년만에 돌아온 화성의 지구 접근. 이글거리는 화성이 무서울 정도랄까.. 아이피스에서 눈을 떼도 화성은 그자리에 있다. 엄청난 습기에도 불구하고.. 어? 이거 괜찮네 화성에다 화성을 담은 아이피스까지 한 화면에 담아 그려본다. [ Mars Opposition on the eyepiece, ...
2018-07-15 07:32:29 / 2018-07-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47
  • 스케치
  • 뭐니뭐니해도 메시에 97번의 트레이드 마크는 뽕뽕 뚫린 눈알 두 개. 망원경으로 별을 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도 메시에 97번, 올빼미 성운의 커다란 두 눈은 잘 알려져 있다 (출처 : 구글 검색) 안시로는 어떨까? 사실 나는 97을 제대로 본 지가 너무 오래 되어서, 그 ...
2018-07-05 12:27:38 / 2018-07-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05
  • 스케치
  • 사자자리의 Leo Triple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대상이다 밝고 특색있는 세 은하의 역동적인 조합. [ Leo Triple, 보현산&벗고개에서 조강욱 (2013~2014) ] 아마도 남반구에서만 보이는 Grus Triplet과 함께, 최고의 은하 트리플일 것이다 (...
2018-06-04 06:21:39 / 2018-06-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37
  • 스케치
  • 데이터북에 SBa 정도로 표시되어 있는, 수백만 광년 밖의 막대나선 은하를 잡고서 뿌연 헤일로를 뚫어지게, 혹은 주변시로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어느틈에 가지런한 막대(Bar)와 거기에 붙어있는 팔(Spiral Arm)이 돌고 있는 것을 볼 수, 또는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018-06-01 06:25:02 / 2018-06-0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