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2500만년 전에 생긴 일 - M51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2373, 2013-04-08 23:35:15(2011-07-19)
  •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3697


    ASOD, 2011년 6월 28일자
    http://www.asod.info/?p=6037


    3주에 걸친 지겨운 장마가 끝나고,

    비가 그치자마자 바로 숨막히는 더위..

    그래도 회사 회의실 너머로 보이는 풍경이 수채화처럼 투명한 것이 괜히 기분이 좋아집니다..


    야근을 마치고 자정이 넘어서 집에 돌아오는데, 하늘에는 눈부신 edge를 자랑하는 배부른 달과

    100여개의 별들이 초롱초롱 떠 있더군요..

    저희 집인 은평뉴타운은 서울 내에서 가장 별이 잘 보이는 point 중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작년에 이사온 이후로 가장 많은 별을 보았습니다

    등급 측정까지는 못 해봤지만.. 거문고자리 삼각형과 평행사변형이 아무런 노력 없이 잘 보이고

    용자리의 어지러운 몸통이 하늘을 가로지르고 있습니다..


    아.. 달 스케치 해야 하는데....시상 죽여줄 것 같은데.... 내일 회사 출근하려면 참아야겠지 =_=;;;

    생각해보니 여기 스케치 게시판에 Deep-Sky 스케치를 올린지 한참 된 것 같아서

    생각나는 그림 하나 올려봅니다

    요즘은 조금 덜한데.. 6월만 해도 ASOD (Astronomy Sketch of the Day) 홈페이지에

    연일 M51 그림만 올라왔었죠..

    그 자체도 멋진 대상이긴 하지만,

    6월초에 발견된 초신성, SN2011DH가 관측되었기 때문입니다


    한솔님이 정확한 위치를 잡아 주시어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는데,

    쉽게 생각하면 그냥 은하면 내의 흔하디 흔한 어두운 별 하나이지만....

    2500만년 전의 별빛을 내 눈으로 보고 있다는 것,

    그것도 며칠 전에 운명을 맞이한 멀고 먼 은하 내에 위치한 별의 최후의 비명이라면?



    우주의 역사책을 들추어 보는 것은 언제나 황홀한 일이다.

    [M51 Sketch]
    M51_res_110606.jpg

    [Description]
    M51_des_110606.jpg





                                  Nightwid 無雲

댓글 6

  • 김병수

    2011.07.19 19:52

    아, 어제 날이 좋았군요.
    달이 너무 둥그래서 안 올라갔는데...
    오늘은 달이 뜨던 말던 그냥 옥상에서 한상 벌려야 겠네요.
  • 김남희

    2011.07.20 03:24

    시간의 개념과 생성과정을 조금씩 알아가니 별밤이 경이롭게 느껴집니다.
    오늘은 파란하늘을 보이던데 녹슬은 눈알 좀 굴려보고 싶네요.
    달이 10시쯤 올라오니 가로등 없는 공동묘지라도 나가 봐야 겠습니다...
  • 조강욱

    2011.07.20 17:32

    병수님 - 이틀 연속으로 날이 좋았는데.. 어젯밤에는 달관측 좀 해보셨는지요 ㅋ
    어제는 뭐가 보였는지.. 얼마나 보였는지.. 재미있는 관측기록 기대합니다 ^-^
  • 조강욱

    2011.07.20 17:34

    남희님 - 오늘도 역시 밤 12시가 넘어서 집에 들어가다보니 하늘이 너무 맑아서..
    남희님이 공동묘지 올라가셨나 궁금했었습니다.. ㅎㅎ
    주말에 날 좋으면 가셔야죠?
  • 김재곤

    2011.07.21 21:13

    그때 밤하늘이네요. 눈앞에 아직도 선합니다.
    그 뒤로 쌓인 먼지 언제 떨어내야 할텐데. 어제도 번개 공지에 눈팅만 하다, 퇴근길에 휘영청 밝은 달만
    봤습니다. 돌아오는 월령이 그제/어제만 같아도...
  • 조강욱

    2011.07.23 03:24

    재곤님 - 아쉽게도 주말은 꽝일 것 같은데요.. ㅎㅎ
    필드에서 자주 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939
  • 스케치
  • 매년 추석 보름달은 10년째 울산 처가에서 맞고 있다 13년에도 14년에도, 올해도 울산의 추석 보름달은 맑고 밝기만 하다 13년 14년 15년 남은 2015년도 계획했던 모든 일들 이루어지시길 기원합니다! Nightwid 無雲
2015-09-30 09:05:37 rocky / 2015-09-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400
  • 스케치
  • 그 달, 초하루 달을 보는 것은 폰으로 달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이후 나의 간절한 소망이었다 매월 음력 1일마다 달력에 동그라미를 쳐놓고 날씨가 좋기를, 회사가 빨리 끝나기를, 태양과 달의 각거리가 조금 더 멀기를 기원했다 그러나 그 달은 그리 쉽게 모습을 드러내...
2016-02-26 17:36:17 조강욱 / 2016-01-28
thumbnail
  • 박진우 조회 수: 66451
  • 스케치
  • 시간 : 2016.03.31 00:10 장소 : 과천시 별양동 장비 : 8"반사 F6, 에토스 8mm 금일 매수팔에서 스터디 한 이중성 Gamma Leonis 입니다. 흔히 Algieba 로 알고 있는 놈 입니다. 약 554년 주기로 0.2"~4.8" 사이로 공전합니다. 현재는 4.7" 떨어져있으며 더 멀어지고 있...
2016-04-09 01:47:46 박진우 / 2016-03-31
thumbnail
  • 김영대 조회 수: 10222
  • 스케치
  • 5월 황금월령 기간을 이용해서 사모님을 모시고 신혼여행으로 서호주에 다녀왔습니다. 주변 지인들은 신혼여행으로 서호주 사막에 가는걸 이해하지 못했지만 (천문인들 빼고 일반인들...) 사모님이나 저 역시 즐겁게 남반구 하늘을 충분히 즐기고 왔습니다. 역시 남반구...
2016-07-11 04:45:56 김영대 / 2016-05-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869
  • 스케치
  • 여러 별친구들에게 화성이 보기 좋은 날이라는 얘기를 듣고서 화성 남중 시간에 맞추어 집 근처 생태공원에 자리를 폈다 게이트볼 하는 동네 아주머니들과 순찰하는 경찰 아찌들께 한참을 대민 봉사를 하고 이제 관측을 좀 하려 하니.. 이번엔 집에 계시던 마나님과 딸...
2016-06-07 21:37:42 조강욱 / 2016-06-01
thumbnail
  • 김영대 조회 수: 8601
  • 스케치
  • 그냥 이대로는 귀국하면 뼛속 깊이 후회할 것 같아 뭐라고 남겨야한다는 강박관념으로 귀국 전날 겨우 암흑성운 하나 스케치 해봤습니다. 성도를 참고로 당시 시간으로 쌍안경으로 쉽게 (그리 많이 천청부근과 가깝지 않은...) 관측할 수 있는 암흑성운을 찾다가 전갈자...
2016-08-17 03:35:05 rocky / 2016-07-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39
  • 스케치
  • 어디부터 이 긴 이야기를 시작해야 할까? 메시에 천체 110개를 관측하는 얘기를 말이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NGC처럼 적경별로? 아니면 내가 좋아하는 순서대로? 흠.. 메시에 얘기는 메시에가 번호를 붙인 순서 그대로 하는 것이 좋겠다. 메시에가 파리의 천문대에서 ...
2016-08-19 19:47:30 조강욱 / 2016-08-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467
  • 스케치
  • 2번, M2는 호핑길을 외우기 참 힘든 아이다. 근처에 쉬운 호핑 시작점(물병 Beta)도 있는데 말이다. 이유는.. 물병자리 별자리 그림 자체가 그리 매력적이지 않아서 눈에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다. 수메르에서는 이걸 보고 어떻게 물병을 연상했을까.. 내가 물병자리...
2016-08-17 09:39:20 / 2016-08-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490
  • 스케치
  • 나에게는 M3에 대한 큰 고정관념이 있었다 바로 나의 스케치 스승님인 윤정한님의 2003년 스케치 때문이다. 무엇이 보이는가? 별다른 느낌이 들지 않으면 아래 가이드를 잘 보고 다시 보자 M3을 보며, 우리는 안시관측의 첫 번째 기적인 ‘아는 만큼 보인다’를 체험할 수...
2016-08-20 08:09:42 / 2016-08-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0497
  • 스케치
  • 4번은 메시에 구상성단 중 가장 헤픈 아이일지도 모른다 그냥 막 다 보여주는 놈이기 때문이다 (밤하늘의 성자, 구상 계의 57번이라고 할까?) 우리가 너무 잘 보인다고 달을 홀대하는 것처럼, 우리는 M4를 잘 뜯어보려는 노력 또한 잘 하지 않는다 그저 성단 중심부의 ...
2016-08-23 06:51:48 조강욱 / 2016-08-2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