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5번 1악장 Allegro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8691, 2013-12-04 03:41:54(2011-07-12)
  • 별보는 취미를 시작하기 전부터 음악감상에 조예가 깊었던 한솔님께서 추천해주신 음악이 있었다

    바하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5번"

    듣고 있으면 우주가 생각난다고...

    별보기 외의 다른 취미를 거의 해보지 않은 Nightwid.

    음악감상에 전혀 조예가 없는 나에게는 무엇이 들릴까?

    멜론에서 몇 가지 버전을 다운받아서 들어보았다

    그쪽으로 생각하면서 집중해서 들어서 그런 것일까? 내 저렴한 귀에도 느껴지는 것이 있다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D96B53FCDA22D788741A2AC6939F480C6E4C&outKey=V1259d450a4171fa806a498c1a37a9092b567d95d0ddab42f433e98c1a37a9092b567&width=500&height=408


    1악장 후반부로 가면 피아노 같기도, 기타소리 같기도 한 악기로 솔로 연주를 하는 부분이 있는데

    어찌보면 화음도 안맞는것 같고 그냥 막 두드리는것 같으면서도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며 흘러가는 부분이 있다

    무질서 속의 조화.

    어지럽게 여러가지 음이 빠르게 흘러가는데 전체를 조망해서 들어보면 오묘한 질서 속에서 움직이는 것..

    구상성단, 그 중에서도 M5번의 영상이 머리속을 스치고 지나간다

    무작위로 뿌린 깨알같은 하얀 점들이 모여 이루어진 완벽한 구상성단. M5

    그 완전한 구형도,

    중심부터 외곽까지 모든 별이 완벽하게 분해되는 것도,

    방사형으로 퍼져나가는 균일한 밀도의 변화도

    다른 구상성단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모습이다

    금요일 밤, 아니 토요일 새벽. 늦은 귀가 후 노트북으로 바하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을 틀어놓고 그림을 그린다

    어지러운 선율을 표현하고자 무질서한 선과 색채로 배경 하늘색을 만들고,

    폭 0.5mm도 되지 않는 가는 붓으로 점을 찍는다

    중심부는 조밀하지만 자세히 보면 완벽히 분해가 되는 모습을,

    주변부로 갈수록 균일하게 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표현하고자

    손등에 쥐가 나도록 수백개의 작은 점을 찍었다

    M5번의 사진을 보면 괜한 선입견에 빠질것 같아서,

    내 마음에 떠오른 이미지가 왜곡될것 같아서

    일부러 기억 속에 남아있는 모양만을 토대로 음이 흘러가는 대로 손을 맏겼다


    [브란덴부르크협주곡 제5번 1악장 Allegro,  캔버스에 아크릴릭]
    Brandenburg2.jpg


    이것을 천체 스케치라 말할 수 있을까?

    이건 M5에 대한 상상화인데.. ㅎㅎ

    얼마 전에, 별하늘지기 회장님이 파스텔로 그린 메시에마라톤 그림에 대해서

    '천문 일러스트'라고 정의하셨는데

    이 그림도 같은 범주에서 보아야 할까?


    뭐가 어찌 되었건, 난 이 그림이 참 마음에 든다

    주말 내내 틈만 나면 내가 그린 상상화를 두 손에 들고 감탄한다

    이 몹쓸 나르시시즘이란.. -_-;;;



    ※ 음악, 특히 클래식 음악에는 완벽한 문외한이 쓴 글이라, 표현이나 용어 등 맞지 않는 부분이 많을 것 같습니다
        지적해 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여러분은 별이 생각나는 음악을 들어본적이 있으신지요?


                                                     Nightwid 無雲

댓글 8

  • 이한솔

    2011.07.12 07:54

    이젠 음악에서 영감을 얻어 천체화(?)를 그리시네요...

    제가 느꼈던 바로 그부분입니다. 1악장 후반부... 그당시 대부분의 대위법 형식의 음악들이 주로 화성, 캐논(돌림노래)이나 푸가의 양상을 띄는데 그곡에서는 현대음악의 불협 화음처럼 불안하게 들립니다. 그가운데서도 무언가 묘하게 맞아 떨어지는 느낌.. 정말 오묘하다고 생각됬는데... 이런식으로 표현하시네요...

    그리고 기타 같기도하고 피아노 같기도한 악기는 '쳄발로'라고 하며 지금 피아노의 전신입니다..

    그러고보니 흩뿌려지는 듯한 쳄발로 음색과 구상성단의 잔 별빛과도 연상되는 면이 있네요..


  • 김남희

    2011.07.13 10:57

    강욱님의 별보는 영역이 폭 넓고 다양해 지는군요.^^
    링크해주신 음악 잘 들었습니다.

    영상에서는 이상하게 피아노 연주자의 이름이 소개되어 있지 않네요.
    제가 보기에는 바하 전문 연주자인 Glenn Gould의 젊었을때 모습으로 예상 됩니다.

    영상을 보며 플륫과 바이올린 연주자는 서서 점잖게 연주를 하고
    오히려 앉아있는 피아노 연주자가 더 신나게 연주를 하는것으로 보입니다.
    1악장 후반부는 카덴자라는 부분인데 연주자 기량에 맞춰 자유롭게 연주를 합니다.
    아마 그 부분에서 화음과 불협화음을 넘나드는 느낌이 들으신것 같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특A급 피아니스트는 자기 피아노를 비행기에 싣고 연주 여행을 다니기도 합니다.
    Glenn Gould는 특이하게도 피아노가 아닌 자기 피아노 의자만을 들고 다니는 연주자로 유명합니다.
    자세히 보시면 피아노 의자라기 보단 일반 의자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연주 할때의 특징이 다른 피아니스트에 비해 꾸부정하고 얼굴이 건반에 가까이 있습니다.
    또 하나, 연주를 하며 피아노 멜로디를 흥얼거리는 습관이 있습니다.
    Glenn Gould의 음반을 들으면 피아노와 함께 목소리가 함께 녹음이 되어 있음을 알게 되지요.
    1악장 후반부 카덴자를 연주 할때 입을 주시해 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별의 느낌을 가질만한 Glenn Gould의 다른 음반 하나를 소개하지요.

    골든 베르그 협주곡... 들어 보시면 별과 어울린다고 느낄것입니다.
    덧글이 길어졌네요. 죄송합니다.^^
  • 정병호

    2011.07.13 18:34

    전 바로크쪽은 별로인데, 대신 브루크너 7번 들으면 장대한 서사시가 생각나서 빗속을 뚤고 뛰쳐 나가고 싶어집니다.
    ㅋㅋ
  • 김병수

    2011.07.13 18:38

    m5...
    제가 제일 좋아하는 구상성단이에요.
    m3나 m13보다 덜 유명할 지 모르지만, 환상적인 입체감이 있는 대상입니다.
  • 조강욱

    2011.07.13 20:52

    한솔님 - 좋은 음악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근데 재미있기는 한데.. 자꾸 별보기가 샛길로 빠지는 것 같아서 은근 걱정이 됩니다.. ㅎㅎ
  • 조강욱

    2011.07.13 20:52

    남희님 - 지압 마사지 의자라도 되는 건가요.. ㅎㅎ
    저도 그 피아노 연주자가 자세도 특이하고 의자도 특이하고 자기 연주에 스스로 심취해서 따라 부르는 것이 너무 재미있어서
    이름이 무얼까 찾아봐도.. 안나오더군요..
    이렇게 제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다음 관측에서는.. 골든베르그 협주곡을 틀어놓고 관측을 하면 어떨까요?
    별보기가 더 풍성해질 것 같습니다.. ^-^

    참, 전에 김광석 노래를 틀어놓고 관측을 한 적이 있었는데.. 그것도 분위기 있고 꽤 괜찮았었죠.. ㅋ
  • 조강욱

    2011.07.13 20:53

    JP정 - 비와도 접선은 해야지..
  • 조강욱

    2011.07.13 20:53

    병수님 - 5번의 환상적인 입체감.. 그 하나만큼은 5139와 104번과도 견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018
  • 스케치
  • 삼렬, 삼열, 삼엽, Trifid, M20, 20번.. 삼렬성운이란 것은 대체 무슨 뜻일까? 무언가 궁금한 것을 참지 못하는 내가 궁금했다가 까먹고를 반복하다가 궁금한지 십여년만에 그 어휘를 네이버 사전으로 찾아 보았다 삼엽(이파리 세 개)의 오타가 굳어진 것일 거라는 확신...
2016-09-30 02:51:20 조강욱 / 2016-09-23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6393
  • 스케치
  • 안녕하세요? 미술을 배우기 시작한지 6개월째~ 드디어 화실에서 크레이터를 그렸습니다. 첫 대상은 바닥이 비교적 편평해서 묘사하기 쉬울 것 같은 - Plato ㅋㅋㅋ (사진 보고 그린 겁니다. 크레이터를 이렇게 자세히 관측할 망원경은 없ㅋ음ㅋ) 2016년 9월 7일 기존에 ...
2016-09-27 03:39:11 관심은하 / 2016-09-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932
  • 스케치
  • 지인 중에는 내가 110개의 메시에 대상에 대한 글을 모두 써 놓고 하루 하나씩 올리는 줄 알고 있는 분도 있다는.. ㅎ;; 그러면 참 좋겠지만.. 밤마다 11시 반쯤 노트북 앞에 앉아서 오늘은 무슨 얘기를 쓰나 반쯤은 이미 잠에 취해서 의식의 흐름에 따라 글을 쓰다가 ...
2016-09-22 07:27:33 이름없는별 / 2016-09-2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20
  • 스케치
  • 하늘에는 자리 잘못 잡아서 손해 보는 애들이 있다. 메시에 중에도 말이다 13번 옆의 92번, 57번 옆의 56번 같은 애들.. 그리고 17번 옆의 18번도 마찬가지다 (아래 사진의 중앙 좌측은 17번, 오른쪽의 조금 밝은 별들이 모여 있는 애들이 18번이다 출처 : http://sweag...
2016-09-20 02:28:40 조강욱 / 2016-09-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408
  • 스케치
  • 천체 스케치를 주제로 이렇게 별 대책 없는 하루살이 칼럼을 메시에 110편 완주를 목표로 하루하루 써나가고 있지만 2009년까지만 해도 천체 스케치는 그저 ‘하면 좋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막상 하려니 엄두가 나지 않는’ 그런 일이었다 매일 빼먹지 않고 어학 공부를 ...
2016-11-27 11:33:06 / 2016-09-14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6013
  • 스케치
  • 눈을 사물에 고정시킨 채 그림을 그리는 기법 - 블라인드 컨투어 드로잉은 관찰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훈련법이지만 왠지 두려움이 느껴진다는 것이 천체스케치와 비슷합니다. 이번에는 그 심리적 장벽을 넘어보고 싶어서 월령 10일의 달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드로잉 ...
2016-09-20 02:26:47 조강욱 / 2016-09-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15
  • 스케치
  • 밤하늘에는 안시용 대상과 사진용 대상이 있다 물론 밤하늘의 성자 57번처럼 안시로도 사진으로도 모두 만족스러운 대상도 있지만 말이다. 나는 안시쟁이라 장시간 노출로만 화려하게 나오는 희미한 성운류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아무리 해도 사진 만큼의 감동을 느끼...
2016-09-14 07:48:37 / 2016-09-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631
  • 스케치
  • 15번은 가을 하늘에서 가장 찾기 쉬운 구상성단이다. 페가수스의 가장 눈에 띄는 별인 Enif 바로 근처기 때문이다 보이는 모습 또한 그냥 저냥 준수하고 말이다 (뱀주인 구상 애들처럼 히마리 없지는 않다) 물론 그 크기와 밝기는 더 남쪽의 M2를 능가할 수 없지만.. 지...
2016-09-20 02:23:38 조강욱 / 2016-09-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567
  • 스케치
  • 14번을 찾아가는 길은 쉽지 않다 1년에 한 번(메시에마라톤) 밖에 찾지 않아서 이기도 하고 호핑 루트에 밝은 별이나 특징적인 별무리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흠 그럼 보이는 모습은? 그렇게 대충 봐서 기억이 날 리가 없지 2014년 여름휴가는 횡성의 천문인마을에서 ...
2016-09-14 07:48:09 조강욱 / 2016-09-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54
  • 스케치
  • 북반구 중위도에 사는 관측자에게 M13은 특별한 존재이다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보기 좋은 구상성단’이기 때문이다. 과연 진짜로 그럴까? 전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구상성단부터 순서를 매겨 보자. 13번의 위치는 Top 5에도 들지 못하고 겨우 7번째에 이름을 올리고 ...
2016-09-08 05:11:55 조강욱 / 2016-09-0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