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태양관측 흑점스케치 [스케치]
  • 김명진
    조회 수: 15256, 2013-04-08 23:40:07(2011-05-20)





  • (별하늘지기에 올린글 스크랩)

    4/16 AM 11:00, 병점고등학교 옥상 스타시커 천체관측동아리 CA시간, 김 명 진.

    XT 10" Dobsonian f4.7, 40배(MS UWA 30mm), With Thousand Optics 1/10,000(for visual observation) Solar Filter

    관측당시 노트에 2~3분간 대략 스케치후 나중에 A4용지에 그 스케치를 보고 다시 깔끔하게 볼펜으로 흑백 스케치. 그 스케치를 K-X로 촬영후 원래느낌과 비슷하게 색을 입히고 질감 조정 등 자체보정.


    냉각도 부족했고 아이피스가 없어 40배밖에 스케치할 기회가 되지 않아서 흑점 개개의 세부 연결 모양과 상세 구조까지 보기는 쉽지 않아 아쉬웠고 대흑점군은 흑점군 내부의 큰 흑점과 반암부가 구분이 되어 보이는데 다른 친구들은 배율이 낮으니 보기가 쉽지 않았나 봅니다. 좌상단에 큰 흑점 5개 정도와 여러 개의 반암부가 얽혀 복잡한 연결구조를 보이는 듯한 대흑점군이 있고, 우하단에는 여러 소흑점들이 각각 떨어져 있어 고배율로 숫자를 세어 보면 상당히 많아 보입니다. 우하단의 큰 흑점은 최종 스케치 과정에서 약간 크기가 크게 보이게 왜곡되었습니다. 그리고 좌상단의 대흑점군과 우하단의 소흑점들 여러 사이에 징검다리처럼 대략 흑점 1~3개로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는" 작은 흑점군들이 놓여 있는데 아마 전체적으로 좀더 오랜 시간 관찰을 했다면 40배율에서도 보이는 작은 흑점의 수는 더 많았지 않았을까 생각이 됩니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최대한 원래의 안시관측 느낌을 그대로 표현하려고 신경을 썼고 후보정했습니다.

댓글 2

  • 조강욱

    2011.05.20 09:55

    ASOD에서만 종종 보던 흑점 스케치를 여기서 보니 신기합니다 ^^;;

    실감나는 흑점 활동입니다.. 흑점들도 시간에 따라서 모양이 급격히 변하나요? 아니면 며칠씩 유지가 되는지?

    소재는 검은색 콩테나 Artist pen을 사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재미있는 스케치 많이 공유해 주세요~
  • 김명진

    2011.05.21 22:13

    며칠 지켜보니 대부분 어느정도 유지가 되는 것 같습니다.
    같은 흑점군 내에서 완전히 흑점들의 모양이나 배열이 모두 변하거나 하는 것은 없네요.

    토성에 강한 폭풍? 이 일어났다 하는데.. 한번 보고싶네요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6
  • 스케치
  • 미국의 안시 관측가인 Steve Coe 할아버지가 말씀하셨다는 유명한 별동네 격언(?)이 있다 "만약 내가 오리온 대성운을 보는 것이 지겨워질 때가 온다면 그 때는 내 장례식 날짜를 잡아야 할 것이다" 언제 왜 그런 얘기를 한 것인지 아쉽게도 그 원문은 찾을 수 없었지만...
2016-12-14 04:26:55 / 2016-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819
  • 스케치
  • 모두들, 42번의 화려함에 말을 잃고 감탄하면서도 아이피스 한 시야에 보이는 43번은 그저 보는둥 마는둥 하고 지나쳐 버린다 메시에 중에 이렇게 억울한 애가 또 있을까? 42번과 붙어 있지만 않았어도 멋진 애칭도 가지고 북반구 하늘에서 힘 깨나 썼을텐데 말이야 43...
2017-01-04 20:05:57 rocky / 2016-12-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624
  • 스케치
  • M44 프레세페. (고대부터) 사자자리 꼬리에 해당하는, 서울에서도 맘만 먹으면 눈으로 볼 수 있는, 그러나 정작 망원경으로 보면 건더기 몇 개 건질 수 없는 심심한 그저 밝은 별만 듬성듬성 있는 대형 산개성단이라 생각한다면 그건 분명 오산이다 M44 안에는 은하들이...
2016-12-23 14:55:59 조강욱 / 2016-12-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7582
  • 스케치
  • 플레이아데스는, 꼭 별보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하늘에 조금만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모두 그 존재를 알고 있다 광해 가득한 서울 하늘에서도 맑은 겨울밤이면 하늘 높이 은은하게 빛나는 성단이기 때문이다 누가 지은 이름인지 '좀생이별'이란 이름도 참 잘 어울리는 듯 ...
2017-01-09 15:10:41 조강욱 / 2016-12-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345
  • 스케치
  • 밤하늘에는 혼자 사는 아이들도 있지만 여럿이 몰려 다니는 아이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 중 딱 '커플'로만 한정해 본다면 단언컨대, M46과 NGC2438은 세계 최고의, 아니 우주 제일의 조합일 것이다 (출처 : 내 스케치) NGC7789에 비견될만한 자잘하고 빽빽한 별...
2017-01-04 16:20:28 / 2017-01-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220
  • 스케치
  • M46 바로 옆에 있는 47번은 46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은은하게, 그러나 절묘한 collaboration을 보이는 46번과 달리 M47은 남쪽 지평선 가까이에서도 당당하고 화려한 위용을 과시한다 성운기를 품은 큰 별들과 자잘한 별들의 멋진 조화. 47번은 그 자체로 아...
2017-01-06 14:27:15 / 2017-0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8678
  • 스케치
  • M48은 바다뱀 머리맡에, 넓고 공허한 영역을 지키는 산개성단이다 겨울밤의 화려한 산개성단 축제가 다 끝나갈 무렵에, 봄철의 심오한 은하 변주곡이 막 시작할 무렵에 나오는 아이라 그 충실한 별들에 비해 별로 인기가 없어 보인다 (관측기록도 별로 찾을 수가 없다) ...
2017-01-09 15:03:58 / 2017-01-0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734
  • 스케치
  • 메시에 1번부터 50번 사이에, 은하는 단 4개 뿐이다 31번 안드로메다 대은하와 그 위성은하 중 하나인 32번, 거대한 face-on 은하 33번이 그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49번. 처녀자리 은하단의 끝자락에 위치한 타원은하다 31, 32, 33번이야 워낙 이름값이 있는 애...
2017-01-16 05:36:32 / 2017-01-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293
  • 스케치
  • 외뿔소자리를 정확히 그릴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물론 나도 아니다 겨울 밤하늘의 화려한 별자리들 가운데, 그것도 겨울의 대삼각형 가운데에 쏙 들어가 있으니 더더욱 찾을 생각이 들지 않는지도 모른다 지구의 반대편, 오클랜드에 살게 되면서 날만 맑으면 마...
2017-02-11 04:38:20 조강욱 / 2017-0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809
  • 스케치
  • 2012년 11월, 나는 두 번째 호주 원정을 위해 Brisbane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그 수많은 얘기들은 아래 링크로 대신하고.. 1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2917 (두마리 토끼 - 남천과 일식) 2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0...
2017-02-11 04:37:44 조강욱 / 2017-01-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