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카타리나 화구옆의 작은 단층지형/ 월령 6일 [스케치]
  • 민경신
    조회 수: 13344, 2013-04-08 23:42:04(2011-02-10)




  • 오리온  대성운을  언제   컬러로   스케치  해보고  싶은데,  콤프레샤를 잃어 버려서 의욕이  안나고,   오늘부터  다시 바람 불고  추워질  모양인데,    서편하늘에  달이  떠서   망원경을  겨누어  보고   경위대이므로  가장  간단한  지형의  스케치를  했음니다.    
    약도에  나타낸대로    카타리나부근의  지름  15km  정도크기의  특출나게  보이는  지형이며,   대구경 장비로는  좀더  배율을  올려  스케치함이  마땅하나  ,       시잉도  나쁘고   추적이  안돼,         주위의  미소한  것들은  생략하고  , 하이라이트인   일직선으로  멋지게      15 km의 타원형  검은   그림자 를  가르며   빛나는  직선 단층지형을   그렸음니다.
    아마도  그림자가  절묘하게  터미네이터 되어  이렇게  보이는것  같고   ,    내일이면  안보일거  같음니다.
    이  지형명을  월면도로  찾으려다  보니,   한참  헤맷는데,    내가  오랜  기간  달을  관측햇어도  얼마나  달지형에  무지한가 "를  깨달았음니다.     현재  달  전체 지형의  0.0001 %도  숙지를  못한다고  봐야........ㅎㅎㅎ  
    (지형명은  없네요.  )

댓글 6

  • 김경싟

    2011.02.10 16:43

    월인의 활주로군요.


    어제 퇴근할 때 보니 달이 예쁘게 떠 있어 기분이 그냥 좋아지더라구요.

    달의 즐거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병수

    2011.02.10 23:15

    어제 저녁에 딴 일 하다가(김지현님은 아실듯...) 달 보는 거를 빼먹었습니다. 뒤늦게 창밖을 보니까 달이 산위로 넘어가려고 해서 관측을 포기했습니다.
    그리신 구조물은 Polybius K라고 나와 있네요.
    오늘부터 저도 달려 보겠습니다.
  • 민경신

    2011.02.11 08:13

    Polybius가 맞는가 보지요? 오늘 다시 보니, 올챙이 모양의 검은 그림자의 직선단애를 중심으로 좌측 반절이 하얗게 ,우측 반절은 어제처럼 검게 그림자져 있어, 좌측은 제법 높게 용암이나 흙으로 채워져 보임니다. 단애는 고속도로 처럼 더 높게 돋아올라 있고.....
  • 김남희

    2011.02.11 09:02

    달에 달인들이십니다.
  • 김지현

    2011.02.11 18:15

    지난 수요일에는 김병수님과 한시간 넘게.. 망원경이야기..별 이야기 나누면서..
    전화로하는 매수팔을 즐겁게 진행했습니다..
    그 시간에 민경신님은 달을 만나고 계셨네요..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달빛을 만지작 거리고 있는.. 민경신님의 손을 한번 보고 싶네요..
    손가락 사이사이에 달빛이 스며있을 것 같습니다.
    아름다운 작품을 볼 수 있게 해주셔서 참. 고맙습니다..
  • 조강욱

    2011.02.12 06:12

    종이 끝이 말려 올라간 것처럼 생동감이 있습니다

    데오필루스는 정말 제대로 한 번 보고 싶은 애인데.. 가운데 산이 몇갈래로 쪼개진 것이 아주 멋지더군요.. (사진 상으로)
    민경신님 관측실에서 고배율로 보면 정말 멋질 것 같습니다..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134
  • 스케치
  • 뱀주인자리 정중앙에는 10번과 12번이 위치하고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별만 드문 것이 아니라 인적도 드물지만 말이다 문제 : 뱀주인이 매력이 없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다음 중 맞는 것을 고르시오 ( ) 1. 비슷비슷하게 생긴 구상성단들만 모여 있어서 2. 호핑...
2016-09-08 05:12:46 조강욱 / 2016-09-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124
  • 스케치
  • M11은 35번과 함께 메시에 산개성단 중에서 가장 화려한 아이다 호핑 위치마저 쉬워서 초보든 고수든 가릴것 없이 여름밤 관측지에 도착하면 망원경을 세팅하고 11번을 스윽 잡고 "우와!" 감탄사 한 번 날려주는 것부터 오늘의 관측을 시작하는 것이 대부분의 별쟁이들...
2016-09-08 05:21:20 조강욱 / 2016-08-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193
  • 스케치
  • 10번은 뱀주인자리 5형제(비록 노잼 5형제지만) 중의 맏형이다. 북천 트로이카 13번, 5번, 3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아이지만 말이다 그렇다 해도 볼 것이 없는 것은 아니다 모든 구상성단은 저마다의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그 중 10번은 구상 중에서도 참 ...
2016-09-08 05:25:37 조강욱 / 2016-08-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40
  • 스케치
  • 원래 계획은 메시에 110개 스케치를 모두 완성한 다음 날부터 칼럼 연재를 시작하려 했는데, 별 이유 없이 차일피일 미루게 된 것은 M9번 때문이었다 흠 그래 1번은 1054년 얘기 쓰고 2번은 꽃게 쓰고 3번은 고속도로 4번은 하트... 하다 보니.. 9번은 뭘 쓰지? 쓸 말이...
2016-08-30 07:49:18 조강욱 / 2016-08-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973
  • 스케치
  • 석호가 대체 무얼까? 20년이 넘도록 말하고 들어왔던 그 용어, 석호성운. 그게 대체 무언지 너무나 궁금해졌다 결국 네이버에서 한참을 뒤져서 겨우 대충 이해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경포대 앞의 경포호가 대표적인 석호인데, 원래는 해안선의 일부였으나 해안에 퇴적...
2016-08-27 09:16:26 / 2016-08-27
thumbnail
  • 정병호 조회 수: 9885
  • 스케치
  • 2003년에 그린 것들입니다. 조자폐님의 스케치를 보고 생각이 나서 올립니다. 셋 다 3시간 반 정도 걸렸습니다. M7 은 그리면서도 좀 문제 있다 생각했는데, 고치자니 너무 방대한 작업이 되겠길래 그냥... ㅎㅎ 스케치 하는 사람의 자세가 아니에요 ㅋㅋ
2016-08-30 07:55:00 조강욱 / 2016-08-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046
  • 스케치
  • M7은 기원전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온 유서 깊은, 밝은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육안으로 보이는 모습은 항상 아쉬움만 자아낼 뿐.. 원래 어떻게까지 보여야 할지 알기 때문이다. 아는게 병일까.. 7번은 적위 -34.5도로 메시에 110개 대상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대상이...
2016-08-25 19:44:30 / 2016-08-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590
  • 스케치
  • 나에게는 6번, 7번과의 강렬한 첫 만남의 기억이 있다 벌써 햇수로 20년 전, 서울의 내 방에 누워 있어도 창문 유리를 통과하여 헤일밥이 보이던 시절이었다 그 혜성이 절정기를 보내던 1997년 4월, 나는 학교 수업도 제대로 듣지 않고 매일 헤일밥 보러 다닐 생각만 했...
2016-08-30 07:59:13 조강욱 / 2016-08-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45
  • 스케치
  • 음악을 사랑하시는 한솔형님께 여쭈어 보았다. 들으면 별이 생각나는 음악이 있는지? 질문과 동시에 얻은 답은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이었다 바로 집에서 브란덴부르크 5번 연주 동영상을 찾아서 들어본다. 나는 어떤 별이 생각날지.. 5번 1악장 후반부, 피...
2016-08-30 09:34:39 관심은하 / 2016-08-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0494
  • 스케치
  • 4번은 메시에 구상성단 중 가장 헤픈 아이일지도 모른다 그냥 막 다 보여주는 놈이기 때문이다 (밤하늘의 성자, 구상 계의 57번이라고 할까?) 우리가 너무 잘 보인다고 달을 홀대하는 것처럼, 우리는 M4를 잘 뜯어보려는 노력 또한 잘 하지 않는다 그저 성단 중심부의 ...
2016-08-23 06:51:48 조강욱 / 2016-08-2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