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월령 16일의 10시방향 지평선 풍광 [스케치]
  • 민경신
    조회 수: 12515, 2013-04-08 23:57:17(2011-01-22)
  • P1210001.jpg



    달이  보름달이되고 난뒤 ,  이제 다시  그믐달로  되어 가는  시작점인데,    그  시작  터미네이터는  180도  반대쪽  ,즉  달의  동부인  위난의 바다 (mare  crisium  )에서  그림자가  먹기  시작하네요.     그저께  끝 터미네이터는  카테나  크라프트가 있는  달  서쪽이었는데...........오늘  처음  알았음니다.  역시  지속적인  관측이  큰  공부가  됨니다.  
    어제밤에는 관측은   위난의  바다  (적도대 위도  ) 에서   달  북극쪽으로  지평선  그림자를   따라  쭉  500 킬로미터  올라가면,    (위난의  바다 지름도  약  500키로미터 )  그림자가  생기는   지름이 170 키로로   큰 분화구  안에  지름  80,70,40  키로미터의  화구가  일렬로  뒤에서  앞으로  정렬해  보이는  지역임니다.
    그중에  가운데  70키로짜리에서,    화구  내부의검은  그림자  (림의 그림자 ) 가   절묘하게  두쪽으로  갈라지고......     화구의  갈라진  림 (rim ) 사이로   땅바닥에 착  붙어서  검은  불사조 (새 ) 형상의  그림자가   막  튀어 나오고 잇는  형상인데..........     아주  인상적임니다.
    이  화구의  림이  정말로  칼로  자르듯  갈라졌는지는   시잉이  아주  좋은날  다시  확인해  봐야하며,    .....(  불사조 그림자가  생기는 것과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  그  지형  형태파악은   쉽지  않을듯   함니다.      아마  보다  대구경으로 (16인치 굴절... )  보면  단번에   판결 나겠지만..............
    이  화면 스케치의   가로 폭은  약  170 키로미터  이며,     본인 소유 월면도  지름1 미터  (오래전  선두 과X사  구입 ) 에도  나와있지  않고,   사진에  지역표시를  한 곳으로  인접한 곳에  chevallier,  endimion,  아틀라스,  헤르쿨르스  ,,,,등의  중소  크레이타가  있음니다.     ,,,,,,,,,,월면도를  한  지름  5미터  크기로  만들어  봐야   그나마  8인치  굴절의  늘력 범위를  소화  시킬수  있을거 같음니다.
    검은  우주공간을  배경으로   점점이   떠있는  나뭇잎이나  송편 같아   보이는  작은  산 봉우리들은 ,    지금  생각나는데.......      유명한  중세 유럽의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달  스케치에서도    똑같이  표현한걸  본  기억이  남니다.....도서관인가...         ,,,,, 그 분은  지름  8-10인치, 경통길이  50미터의   괴물 망원경을  사용했지요. 그  초초 장초점  망원경의  분해능은   현대의  아포굴절 보다도  아주  훨씬  뛰어  났을거란  평가를  읽은적  있고,그런  열정으로  ,  세상 처음으로  외계의  장관을  보았을때...  그가 얼마나  놀라워  했을까  생각해  봄니다.
      

댓글 2

  • 김병수

    2011.01.22 01:03

    경통길이 50미터...ㄷㄷㄷ
    10인치라면 f200쯤 되겠네요.
    그런거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중세의 기술을 깔보면 안되겠어요.

    어제도 저녁에 어디 가느라고 못 올라가 봤어요.
    오늘 부터 저도 열심히 봐야 겠습니다.
    내일은 또 어떤 스케치가 올라올지 기대하면서...
  • 조강욱

    2011.01.22 21:48

    민경신님의 표현력과 면밀한 관측 능력은 늘 부럽고 귀감이 됩니다.

    어떻게 하면 저런 불사조 모양의 그림자가 생길 수 있을까요?
    뒤편의 송편 봉우리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시각각 모양을 바꾸는 것이 정말 신비롭죠,,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6026
  • 스케치
  • 매년 설과 추석은 별쟁이들에겐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추석은 항상 보름이니 Clear sky를 기원하며 달을 보며 소원 빌고, [ 14년 추석, 울산에서 - 갤노트 터치펜과 Sketchbook app으로 조강욱 (2014) ] 설은 항상 그믐이고 연휴이니 또 하나의 관측 찬스! 결혼 전에는 ...
2016-11-27 11:42:34 / 2016-11-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6063
  • 스케치
  • 눈 덮인 강원도 산중의 깊은 새벽, 영하 18도의 기온에 몇 시간을 꼼짝 않고 M35의 점을 찍었더니 머리는 어질어질하고 손가락이 얼어서 샤프로 동그라미가 잘 그려지지 않는다 아직 눈에 보이는 것을 다 그리지 못해서 끝낼 수가 없는데 손가락 발가락과 달리 눈알은 ...
2016-12-05 13:43:09 조강욱 / 2016-11-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6068
  • 스케치
  • 초등학교를 졸업할 무렵만 해도, 나는 주변에서 나보다 책을 많이 보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스스로 생각할 정도로 다양한 종류의 책 속에 파묻혀 살았다 그런데, 중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어느 순간 갑자기.. 학교에서 꼭 필요한 책과, 천문학에 대한 책 외에는 대부분...
2013-04-09 00:15:47 / 2009-08-04
thumbnail
  • 빌리|김병수 조회 수: 16119
  • 스케치
  • 어릴적 꿈과 상상력을 흠뻑키워주던 영화의 주인공 E.T 오늘 ET와 닮은 밤하늘의 대상을 보고, 산개성단 중에서도 정말 마음에드는 멋진 대상을 보고왔습니다. 안시 관측하면서 좋은 분들과 같이 이야기하며 보는것으로 가장 즐거운것은, 같이 나누어 보며 모르는것도 ...
2013-04-08 22:55:21 빌리 / 2012-09-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6624
  • 스케치
  • 그믐 토요일, 하반기 사업전략 만든다고 회사에서 종일 근무하고 밤늦게 집에 돌아오니 아리까리한 날씨에도 여러 분들이 이미 강원도에.. 집 앞 횟집에서 광어 한마리와 청하 한 병을 사다가 집에서 반주 겸 늦은 저녁을 먹는다 허겁지겁 배를 채우니 시간은 밤 11시. ...
2013-04-08 22:56:37 / 2012-06-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7582
  • 스케치
  • 플레이아데스는, 꼭 별보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하늘에 조금만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모두 그 존재를 알고 있다 광해 가득한 서울 하늘에서도 맑은 겨울밤이면 하늘 높이 은은하게 빛나는 성단이기 때문이다 누가 지은 이름인지 '좀생이별'이란 이름도 참 잘 어울리는 듯 ...
2017-01-09 15:10:41 조강욱 / 2016-12-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7732
  • 스케치
  • 연필, 샤프, 잉크, 파스텔, 콩테, 색연필에 이어 아크릴 물감으로 표현하는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캔버스의 질감 위에 불투명의 깊은 색을 내는, 유화 물감과 비슷한 효과를 내면서도 15분이면 완전히 마르는 아크릴 물감은 깊은 하늘색을 내는데 아주 효과적인 도구이...
2013-04-08 23:39:43 / 2011-06-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7855
  • 스케치
  • 처제 딸 백일잔치에 참석하기 위해 우리별1호와 마나님을 뒷자리에 태우고 주차장을 나서는데.. 아~ 하늘이 너무 파랗다.. 자정쯤 달이 뜰텐데.. 토요일인데.. 15인치로 한 번? ㅋ 마님께 즉석에서 결재를 得하고 싟형님한테 서울랜드 어떨까요 문자를 날리니.. 바로 번...
2013-04-09 00:14:18 / 2009-09-15
thumbnail
  • 김병수 조회 수: 18218
  • 스케치
  • 인제를 가려했는데... 말발굽쪽 위치가 하늘도 뻥뚤려있고 바람도센터라... 망원경이 바람을 견딜수 없을거같아 벗고개나 양평 국제천문대로 가려하다..... 국제천문대로 갔습니다. 밤이되어 별은 보이지만 옅은 구름이 꼈지만 그래도 별은 꽤 보였습니다. 대기중에 미세...
2013-04-08 22:56:02 빌리 / 2012-06-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8617
  • 스케치
  • 28번은 대학 동아리 시절 후배들에게 호핑법을 가르쳐줄 때 유용하게 쓰던 아이다 성도 상에도 주전자 뚜껑 별(λ)에서 직각을 이루며 한 번은 큰 놈(22번), 한 번은 작은 놈(28번)으로 번갈아 찾아가며 구상성단의 감을 잡게 만들었던 아이인데.... 22번을 그렇게도 아...
2016-10-26 04:36:28 / 2016-10-2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8691
  • 스케치
  • 별보는 취미를 시작하기 전부터 음악감상에 조예가 깊었던 한솔님께서 추천해주신 음악이 있었다 바하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5번" 듣고 있으면 우주가 생각난다고... 별보기 외의 다른 취미를 거의 해보지 않은 Nightwid. 음악감상에 전혀 조예가 없는 나에게는 무엇...
2013-12-04 03:41:54 / 2011-07-12
thumbnail
  • 임광배 조회 수: 18763
  • 스케치
  • 안녕하십니까, 임광배입니다. 오늘 벗고개를 다녀왔습니다. 저녁에 구름이 몰려와 반신반의했지만, 간절한 마음으로 도착한 벗고개는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처럼 맑았습니다. 비록 달이 뜨기 전까지 시간이 많이 없었지만.. 충분히 즐기고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어떤 ...
2013-05-03 18:03:44 윈드복서 / 2013-05-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8820
  • 스케치
  • 유혁대장님의 PST를 집에 들인 이후.. 우환 거리가 하나 더 생겼다.. ㅎ 귀한 PST님이 집에 오셨는데.. 제깍제깍 태양 관측 접대를 못 해 드리면 어떡하나.. 천벌의 공포가 시시각각 엄습하고.. ㅎ;;; 일요일 오후, 맑은 하늘을 확인하고 원장님께 1시간 관측 허가를 得...
2013-04-08 22:56:17 임상균 / 2012-06-18
thumbnail
  • 윤정한 조회 수: 19221
  • 스케치
  • 그저께 가금팔에서 김지현님, 김병수님께서 설명하셨던 M76의 나비 날개가 생각나서 예전의 스케치를 찾아 보았습니다. 제 스케치에서는 나비의 북서쪽 날개는 꽤 잘 보이는데 남동쪽 날개는 흔적만 보이네요... 11년 전의 관측 기록인데... 이제는 눈도 나빠지고 숙련...
2013-04-08 23:32:54 / 2011-11-06
thumbnail
  • 김병수 조회 수: 19342
  • 스케치
  • 안녕하세요 양평 김병수 입니다. 가입하고 스케치 처음 올려봅니다. 제가아직 처녀자리는 어지러워서 잘못보는데요. 이곳 은하단은 준비하지않으면 뭐가 뭔지 알기가 참어려운 은하단 같아서 이쪽을 잘 살펴보려고...마카리안 체인 부근을 지난 주부터 스텔라리움을 보...
2013-04-08 23:19:53 마이콜 / 2012-02-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0034
  • 스케치
  • 7월 4일 토요일 저녁, 도구를 가지고 밤하늘을 쳐다본지 만 16년 만에, 연필 한자루를 들고 처음으로 천체 스케치를 했습니다 애기 재우고.. 베란다에 나갔더니 구름이 왔다갔다 하는 하늘에 월령 11일짜리 달이 가장 보기 좋은 위치 보기 좋은 각도에 떠 있어서.. 예별...
2012-03-28 23:23:57 / 2009-07-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0494
  • 스케치
  • 4번은 메시에 구상성단 중 가장 헤픈 아이일지도 모른다 그냥 막 다 보여주는 놈이기 때문이다 (밤하늘의 성자, 구상 계의 57번이라고 할까?) 우리가 너무 잘 보인다고 달을 홀대하는 것처럼, 우리는 M4를 잘 뜯어보려는 노력 또한 잘 하지 않는다 그저 성단 중심부의 ...
2016-08-23 06:51:48 조강욱 / 2016-08-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0778
  • 스케치
  • 낮에는 온 세상 것들을 쓸어가려는 듯이 폭우가 퍼부었다 사무실에서 밥집까지 우산 쓰고 고작 20m를 이동하는데도 옷이 흠뻑 젖었다 이렇게 무섭게 비가 쏟아지던 적이 있었나? 물론 많이 있었겠지만.. 비 많이 오는 것은 별 많이 보는 것처럼 인상적인 일이 아니므로 ...
2012-03-28 23:18:36 / 2009-07-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1404
  • 스케치
  • 한동안 비정상적으로 높고 파란 가을 하늘을 보여주더니.. 또 지난 한달간은 거의 맑은 날을 보기 어려웠습니다 뭐 이젠 그러려니 할 때도 되었지만....;;; 달도 잘 안 보이고, 달 밝은 밤엔 어김없이 야근 or 회식 새벽에 피곤에 지쳐서 집에 오다보면 가끔 달이 보이는...
2012-03-28 22:47:43 / 2009-11-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3091
  • 스케치
  • 이렇게 맑은 날이 연짱 이어진 적이 언제 있었던가? 일주일이 넘도록 구름 한 점 없는 깊은 푸른색의 하늘.... 다만, 추석 보름달을 전후로 맑았다는 것만 빼면 완벽했다 ㅡ_ㅡㅋㅋㅋ 우리나라 연간 청정일수가 70일인데.. 그 일수만 괜히 깎아먹는 것은 아니겠지? ㅎㅎ;...
2012-03-28 23:02:44 / 2009-10-1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