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넌 누구냐?, NGC5189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3190, 2012-03-28 01:56:06(2010-09-25)
  • 그간 내가 관측해본 가장 괴상한 대상은 무엇일까?

    '일반적인 형태와는 많이 다르다'는 관점에서..

    은하는... 그냥 생각나는 대로 써 보면, 미친듯이 가늘고 긴 NGC55번이나 Dwarf 6822정도.. 은하 그룹은 'The Box' 정도 될까?

    성운이야 원래 자유형이니 pass. 산개성단은 놀랍도록 치밀하고 비대칭적인 3532번,

    구상성단은 고속도로가 지나가는 M3 정도....

    그럼 행성상성운은? Bug nebula 6302번 정도가 되겠다

    어느 영화 카피처럼....

    그간의 (괴상한 대상을 본 후의) 놀라움은 호주에서 한 대상을 보고 모두 잊게 되었다



    허블 망원경이 제 역할을 하게 된 이후로, Hubble Deep Field(HDF)를 비롯한 각종 이기적인 영상에

    눈이 둔감해져서 웬만한 형태에는 "에이 저거 안시로 안보여" 하고 무관심하게 되었다

    5189도 역시 마찬가지..


    (사진 출처 : 구글 이미지 검색)


    오메가 센타우리를 보고도, 에타카리나를 보고도 소리를 지르지 않았었는데..

    아무런 기대를 하지 않았던 5189의 다소 '허블스러운' 충격적인 영상을 눈으로 목격하고는 소리를 지르지 않을 수가 없다

    마일즈의 농장에서 대상을 나눠보던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5일차 관측에서, 흥분을 조금 가라앉히고 조금 더 정교하게 5189를 관측해 보았다

    나선은하에서도 볼 수 없는 아름다운 나선팔의 행성상성운이라니.. ㅎㅎ

    r_5189.jpg



    나는 사실 싟형님이 왜 그리 행성상성운을 좋아하시는지 잘 이해를 하지 못했었는데..

    내 관측 경험이 쌓일수록.. 행성상성운의 조용해 보이는 외모 속에 숨겨진 다양함과 화려함을 느낄 수 있다

    5189는 그 중에서도 특별히 괴상한 분이시고.. ㅋ;;;




    2010년 9월 9일자 ASOD
    http://www.asod.info/?p=3547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3135





                              Nightwid 無雲

댓글 3

  • 김원준

    2010.09.27 06:15

    정말 희안하게 생겻습니다.
    용 한마리가 올라가는 모양이네요! ㅋㅋ
  • 강명우

    2010.10.01 01:34

    슈퍼맨이 생각나네요. ^^ 잘봤습니다~
  • 문상혁

    2010.10.03 01:29

    이런 행성상성운을 본다면 저도 정말 충격적일 것 같네요..ㅎㅎ
    멋진 스케치 항상 잘 보고 갑니다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6
  • 스케치
  • 미국의 안시 관측가인 Steve Coe 할아버지가 말씀하셨다는 유명한 별동네 격언(?)이 있다 "만약 내가 오리온 대성운을 보는 것이 지겨워질 때가 온다면 그 때는 내 장례식 날짜를 잡아야 할 것이다" 언제 왜 그런 얘기를 한 것인지 아쉽게도 그 원문은 찾을 수 없었지만...
2016-12-14 04:26:55 / 2016-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819
  • 스케치
  • 모두들, 42번의 화려함에 말을 잃고 감탄하면서도 아이피스 한 시야에 보이는 43번은 그저 보는둥 마는둥 하고 지나쳐 버린다 메시에 중에 이렇게 억울한 애가 또 있을까? 42번과 붙어 있지만 않았어도 멋진 애칭도 가지고 북반구 하늘에서 힘 깨나 썼을텐데 말이야 43...
2017-01-04 20:05:57 rocky / 2016-12-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624
  • 스케치
  • M44 프레세페. (고대부터) 사자자리 꼬리에 해당하는, 서울에서도 맘만 먹으면 눈으로 볼 수 있는, 그러나 정작 망원경으로 보면 건더기 몇 개 건질 수 없는 심심한 그저 밝은 별만 듬성듬성 있는 대형 산개성단이라 생각한다면 그건 분명 오산이다 M44 안에는 은하들이...
2016-12-23 14:55:59 조강욱 / 2016-12-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7582
  • 스케치
  • 플레이아데스는, 꼭 별보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하늘에 조금만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모두 그 존재를 알고 있다 광해 가득한 서울 하늘에서도 맑은 겨울밤이면 하늘 높이 은은하게 빛나는 성단이기 때문이다 누가 지은 이름인지 '좀생이별'이란 이름도 참 잘 어울리는 듯 ...
2017-01-09 15:10:41 조강욱 / 2016-12-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345
  • 스케치
  • 밤하늘에는 혼자 사는 아이들도 있지만 여럿이 몰려 다니는 아이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 중 딱 '커플'로만 한정해 본다면 단언컨대, M46과 NGC2438은 세계 최고의, 아니 우주 제일의 조합일 것이다 (출처 : 내 스케치) NGC7789에 비견될만한 자잘하고 빽빽한 별...
2017-01-04 16:20:28 / 2017-01-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221
  • 스케치
  • M46 바로 옆에 있는 47번은 46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은은하게, 그러나 절묘한 collaboration을 보이는 46번과 달리 M47은 남쪽 지평선 가까이에서도 당당하고 화려한 위용을 과시한다 성운기를 품은 큰 별들과 자잘한 별들의 멋진 조화. 47번은 그 자체로 아...
2017-01-06 14:27:15 / 2017-0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8683
  • 스케치
  • M48은 바다뱀 머리맡에, 넓고 공허한 영역을 지키는 산개성단이다 겨울밤의 화려한 산개성단 축제가 다 끝나갈 무렵에, 봄철의 심오한 은하 변주곡이 막 시작할 무렵에 나오는 아이라 그 충실한 별들에 비해 별로 인기가 없어 보인다 (관측기록도 별로 찾을 수가 없다) ...
2017-01-09 15:03:58 / 2017-01-0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734
  • 스케치
  • 메시에 1번부터 50번 사이에, 은하는 단 4개 뿐이다 31번 안드로메다 대은하와 그 위성은하 중 하나인 32번, 거대한 face-on 은하 33번이 그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49번. 처녀자리 은하단의 끝자락에 위치한 타원은하다 31, 32, 33번이야 워낙 이름값이 있는 애...
2017-01-16 05:36:32 / 2017-01-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293
  • 스케치
  • 외뿔소자리를 정확히 그릴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물론 나도 아니다 겨울 밤하늘의 화려한 별자리들 가운데, 그것도 겨울의 대삼각형 가운데에 쏙 들어가 있으니 더더욱 찾을 생각이 들지 않는지도 모른다 지구의 반대편, 오클랜드에 살게 되면서 날만 맑으면 마...
2017-02-11 04:38:20 조강욱 / 2017-0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809
  • 스케치
  • 2012년 11월, 나는 두 번째 호주 원정을 위해 Brisbane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그 수많은 얘기들은 아래 링크로 대신하고.. 1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2917 (두마리 토끼 - 남천과 일식) 2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0...
2017-02-11 04:37:44 조강욱 / 2017-01-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