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Eta Carina - "The giant eruptions"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1850, 2012-03-28 02:00:10(2010-09-25)
  • 1841년, 남쪽 하늘에 갑자기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 생겼다

    그렇다고 초신성도 아니고..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질량이 큰 별인 카리나자리 에타별에서 분출된 물질들로 인하여

    그렇게 밝아진 것이다.

    이름하여 "The giant eruptions"



    지겹도록 봐 온 사진이지만, 그 비현실적인 모습에.. 저 모습이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할 것이라고는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호주 원정을 준비하면서.. 땅콩 모양처럼 보인다는 스케치를 보았다는 김지현님의 말씀을 듣고

    정말 보일 가능성도 있겠다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원정 관측의 첫 날.. 아이피스에 눈을 대고 에타카리나를 관측하던 그 순간의 충격과 전율을..

    아마도 평생 잊을 수 없을 것이다.....


    첫 관측 이후 쿠나에서 몇 시간에 걸쳐서 관측 준비를 하고, 또 몇 시간동인 최대한의 노력으로 표현을 하고,

    또 그만큼의 시간을 들여서 기록으로 남기고....

    에타카리나 관측은.. 내 노동력의 산물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ㅎㅎ


    관측 전에 구도를 정하면서, 폭발하는 에타별을 어떻게 하면 가장 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다가

    바로 위의 암흑성운(열쇠구멍 성운)과 한 시야에 클로즈업을 해서 잡기로 했다




    암흑성운과 성운기의 표현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파스텔을 갈아서 회색 종이를 만들고..

    찰필을 날카롭게 갈아서 오렌지색 파스텔을 묻혀서 에타별 표현하는 것을 연습하고..

    공을 들여서 관측 준비를 했음에도, 결과물은 원래의 감동을 100% 표현하기에는 역부족이다

    r_3372.jpg


    그래도..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능력의 100% 이상을 사용한 것이라고,, 스스로 위안을 해 본다


    Astronomy sketch of the day - 2010.8.28
    http://www.asod.info/?p=3449

    나의 첫 ASOD 출품작이기도 하다..  ^^;;;



    일주일 관측 가지고는 남반구 밤하늘은 고사하고 명작 감상만 하기에도 헉헉대는 일정이다

    남쪽의 별들을 더 많이 사랑해줄 대책을 조만간 준비해야 할 듯.. ㅎㅎㅎ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3135




    P.S 에타카리나 별의 폭발 모습을.. 'Homonculus nebula'라고 하는데,
          그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지 아시는 분이 있으면 가르쳐주셨으면 합니다..


                        Nightwid 無雲

댓글 3

  • Mad Max

    2010.09.25 10:05

    I think you misspelled the name of that nebual. ^^;; "Homunclus nebula" is the different name of Etacarina nebula.
    You will be able to find the explanation of that nebula in Wikipedia.

    BTW, 'homuncula" means 'Little men' in Latin. ^^;;
  • 조강욱

    2010.09.25 17:55

    매드맥스님. 친절할 설명 감사합니다 ㅋ
    근데.. 위키디피아에서 검색해보면,
    Homunclus, Homonculus 모두 Homunculus로 수정되어 검색이 되네요.. 보편적인 명칭은 "Homunculus"인가봅니다 ㅋ
    target=_blank>http://en.wikipedia.org/wiki/Homunculus


    근데 Homunclus건 Homonculus건 '작은 사람'이라고 또는 대뇌 피질의 @#%#$@$ 라는 설명은 모두 보았는데..
    그게 에타카리나와 어떻게 연관이 되는가 하는 것이 궁금한 것이죠.. ㅎㅎ

    우리가 호주에서 지었던 그 별칭을 Homunculus 대신 공식 별명으로 제안해도 모두 수긍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ㅋㅎㅎㅎ
  • 김경š

    2010.09.25 19:11

    매드맥스는 누구여요? 멜깁슨은 아닐꺼고...
    여하간 강 욱의. ㅇ. 스케치는. 가슴. 벅차게 만들지요.
    . . . ..관악산에서 경š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853
  • 스케치
  • 서울에 사는 사람은 서울의 명소라는 63빌딩도 남산도 잘 가지 않는다 데이트하는 커플이면 모를까.. 어릴적, 엄마아빠 손잡고 갔던 63빌딩에 초딩 1학년 딸래미 손을 잡고 (실은 대롱대롱 매달려서) 다시 갔다 세상에 이렇게 큰 영화관이 있을까 싶었던 아이맥스 영화...
2015-08-02 08:49:15 / 2015-08-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849
  • 스케치
  • 별쟁이에게 상현이 지난 달은, 일손(?)을 놓고 쉬는 시간이다 다시 하현이 될때까지.. 가끔씩 배가 너무 고프면 단 두세시간이라도 달 없는 시간에 별을 보겠다고 짐을 꾸리기도 하지만 말이다 달 그림을 그리기 전에는, 한마디로 거들떠볼 일이 없는 월령 8일. 퇴근길...
2015-08-01 07:57:01 / 2015-08-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936
  • 스케치
  • 일몰 직후 보이던 초승달은 하루하루 지날수록 더 일찍, 더 높은 곳에서 더 밝은 얼굴을 내민다 그와 동시에 내가 하늘을 두리번거리는 시간도 더 늘어난다 아파트 단지의 가로수 잎도 모두 떨어진 스산한 11월의 주말 오후, 슈퍼에 저녁거리를 사러 가다가 월동준비를 ...
2015-08-19 01:13:30 조강욱 / 2015-07-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439
  • 스케치
  • 나만의 세계에서 월령 5일의 그라데이션을 그린 다음날, 비슷한 시각 같은 장소.. 하늘은 또 맑고, 푸른 하늘에서는 좀 더 높이 월령 6일의 달이 보인다 (작년 9월~11월은 이상하리만치 맑은 날이 참 많았다) 근데 참 이상하게도.. 달은 어제보다 더 홀쭉하다 구름이 끼...
2015-07-31 05:28:58 조강욱 / 2015-07-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600
  • 스케치
  • 저녁 무렵이 되면, 사무실 내 모니터 가장자리가 갑자기 붉게 물드는 순간이 있다 서산으로 지는 태양빛이 15층 빌딩 유리창을 넘어 모니터에 반사되는 것이다. 그 신호를 보고 서쪽 창가에 있는 우리층 창고에 들어서면 강남의 빌딩숲과 우면산을 배경으로 탁 트인 시...
2015-07-31 05:30:46 조강욱 / 2015-07-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147
  • 스케치
  • # 1. 2014년 여름, 나는 천문인마을에 있었다 울 마나님과 딸님은 울산 처가집으로 보내고, 나는 천문인마을에서 밤에는 별을 보고 낮에는 잠을 자고 저녁에는 천문인마을 손님들에게 별을 보여주며 소일거리를 하고 있었다 어느날 저녁 무렵, 아직 파란 하늘에 서쪽 산...
2015-07-29 15:25:36 조강욱 / 2015-07-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33
  • 스케치
  • 과학동아천문대는 야경이 참 멋진 곳이다 용산 전자상가 중앙의 7층 건물, 보이는 별보다 빌딩 불빛이 더 화려하다 약속한 그 날은 낮부터 구름이 잔뜩 끼어 있었다 이걸 어떡하지.. 뭐라도 하나 건져야 할텐데.. 저녁 7시, 짙은 구름 사이에서 극적으로 붉은 달이 나타...
2015-07-26 23:48:58 / 2015-07-2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568
  • 스케치
  • 2014년 10월말 그믐 전후, 나는 생각지도 않게 서호주의 오지를 떠돌고 있었다 인생의 야심찬 목표 하나를 잃고서 어짜피 망가진 인생 아무려면 어떠냐고 아무 계획도 없이 서호주에 날아와서 낮에는 초코바로 연명하며 정처없이 떠돌고 밤에는 아무데나 별빛 아래 누워...
2015-07-26 00:59:14 / 2015-07-2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491
  • 스케치
  • 달, 달이란 나에게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에겐 어떤 의미일까? 관측의 훼방꾼. 대부분의 별쟁이에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언젠가부터, 아마도 별보러 나가는 횟수가 1년에 다섯번을 넘지 못하면서부터 서울에서 이른아침 출근 시간에, 늦은 퇴근길에 버스 안에...
2015-07-28 17:19:58 조강욱 / 2015-07-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924
  • 스케치
  • 스마트폰으로 전 월령 달스케치 하는 프로젝트가 이제 3개 남았다 가장 보기 어렵다는 월령 1일과, 의외로 보름 직전인 월령 13일 그리고 오늘 내일.. 월령 26일 27일 달이 남았다 지난주부터 오늘이 오기를 기다렸는데.. 아침에 아무리 찾아도 낮은 구름 사이에서 월령...
2015-05-10 17:28:01 김재곤 / 2015-04-1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