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57 .... [스케치]
  • 김지현
    조회 수: 12360, 2013-04-09 00:02:38(2010-09-10)




  • 지난 3월 천문인 마을에서 그린 M57입니다.  

    얼어붙은 손을 호호 불던 기억이 새롭게 떠오릅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아름답고, 가장 커다란  미술관은...

    하늘이 아닐까   생각해보았습니다.

    하늘 미술관의 멋진 작품들을

    망원경과 눈동자와 손끝으로 더 자주.. 더 깊이..  만날 수 있기를 꿈꾸어 봅니다.

댓글 10

  • 최승곤

    2010.09.10 01:24

    "세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아름답고, 가장 커다란 미술관" 가슴에 팍 와 닿습니다.
    시적이고 아름다운 표현이 참 멋있습니다.
  • 김남희

    2010.09.10 02:52

    18"로 새벽 4시 넘어 스케치 한건데..
    중심성이 보이는 건가요??
    글도 그림도 모두 아름답습니다.
  • 김지현

    2010.09.10 18:36

    중심성은 못 보았습니다. ic1296 있는 곳도 뚫어지게 보았지만....
    투명도가 그리 좋지 않은 날씨였답니다.
    다음에 조금 더 높은 배율로 그려봐야겠어요..
  • 김경싟

    2010.09.10 18:49

    세상엔 여러 별들이 있지요.

    북극성, 직녀성, 견우성, 무슨성, 무슨성.........그리고 김지현님의 감.성.
    ^^

    멋져요
  • 이욱재

    2010.09.10 20:47

    참 깨끗하고 맑은 느낌을 스케치에서도 받는군요.
    이런 경지에 이르려면 정말 열심히 노력해야겠습니다.

    정말 멋진 스케치 잘보았습니다.
  • 김지현

    2010.09.11 00:10


    세상엔 여러 별들이....


    경싟님이 야간비행 가족을 위해 하염없이 쏟는 열.성.

    강욱님이 종이 위에 별을 그릴 때 보여주는 정.성.

    최형주선생님이 만든 망원경을 바라볼 때 저절로 느껴지는 탄.성.
    .
    .





  • 정기양

    2010.09.11 00:38

    역시.....
    과학동아가 문학잡지는 아니지만
    김지현님의 원고를 실은 것에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그림이면 그림... 글이면 글... 안되시는 것이 없습니다.
    부럽습니다. 앞으로도 김지현님의 그림과 글 많이 기대하겠습니다.
  • 강명우

    2010.09.12 00:46

    정말 멋지네요. 놀라울 따름입니다. ^^
  • 김경싟

    2010.09.12 06:35

    특히나 더 멋진 이유는....

    그림을 보고 있으면 ... 우주 저편을 바라보고 있는 느낌이 들어서입니다^^
  • 조강욱

    2010.09.12 19:46

    저는 성운 종류는 보통 검은 종이에 흰색 콩테와 파스텔로 그리는데,
    그리기는 수월하지만 연필이나 샤프처럼 정교한 표현이 어려운 단점이 있죠..

    지난 관측에서 57번을 그리면서.. 작고 밝은 성운은 흰 종이에 샤프로 그리는 게 낫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73
  • 스케치
  • 오랫동안 메시에 스케치 연재를 올리지 못했다 다양하게 일을 벌리고서 허덕이며 근근히 수습하는 것을 즐기는 성격상 어쩔 수 없는 공백이었지만 이것도 벌린 일이니 수습해야지! 공허한 봄철 하늘에서도 남쪽 하늘은 더욱 심심하다 거기엔 하늘에서 가장 큰 (또는 긴)...
2017-07-10 04:40:36 조강욱 / 2017-05-2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026
  • 스케치
  • 궁수자리의 (공식적인) 진짜 모양을 하늘의 별들을 이어서 그릴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하지만 그 윗부분의 찻주전자, Teapot, 또는 돈데크만을 사랑하지 않는 별쟁이 또한 드물 것이다 그 귀여운 생김새는 물론이고, 황홀한 은하수 중심과 맨눈으로도 보이는 수많은...
2017-06-04 05:55:33 / 2017-06-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100
  • 스케치
  • 69 - 70 - 54. 딱 거기까지다 별을 좀 본다는 사람들도 궁수자리 바닥에 위치한 세 개의 작은 구상성단의 순서, 69번 → 70번 → 54번.. 그 이상의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리 밝지도 특이하지도 않은 애들이기 때문이다. 우주 상에서 그리 큰 관계가 없을 두 성...
2017-06-25 06:18:54 / 2017-06-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36
  • 스케치
  • 71번은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대상이다 이게 정말 구상성단이 맞을까? 생긴거는 꼭 산개성단 M11 비슷하게 생겼는데.. 우리들 뿐 아니라 천문학자들도 1970년대까지는 M71을 산개성단으로 분류해 놓았었다 최근에야 구성 별들의 성분 분석을 통해 구상성단임이 밝혀진...
2017-07-10 03:21:16 / 2017-07-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74
  • 스케치
  • 나는 아이피스 안에 여러 대상이 같이 보이는 것, 적어도 근처에 무언가 다양한 것들이 많이 모여 있는 것들을 좋아한다 그래서 밤하늘의 여러가지 커플들을 감상하는 것을 즐기는데, 염소자리 위쪽의 72 & 73은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볼품없는 커플일 것이다 73번...
2017-07-17 05:59:47 / 2017-07-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280
  • 스케치
  • 73번은 40번과 함께 가장 어이없는 메시에 대상이다 40번은 이중성이니 나름 Deep-sky라고 해줄 만도 한데.. 73번은 대체 뭔가. 그냥 별 4개 모여있는 Asterism(별무리)인데 말이다 이정도 모양은 아이피스 안에서 하늘만 몇 번 휘휘 저어도 수십 개는 찾을 수 있다 178...
2017-07-19 12:26:05 관심은하 / 2017-07-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57
  • 스케치
  • 많은 책에 명시되어 있다. 메시에 110개 중 가장 어려운 대상은 74번이라고 253은 낮으니까 그렇다 쳐도, 메시에가 7331이랑 2903은 못 찾았으면서 74번은 어떻게 찾았을까? (사실 최초 발견자는 피에르 메시엥이긴 하지만.. 어쨌든 그 사람도 7331과 2903을 못 찾았긴 ...
2017-08-01 16:50:35 / 2017-08-01
thumbnail
  • 신상옥 조회 수: 8475
  • 스케치
  • 안녕하세요. 15인치 돕으로 인사드린 남양주 신상옥입니다. 돕을 들인후 스케치를 하기로 마음먹고 지난 주말 관측때 첫 스케치(http://singamdoks.blogspot.kr/2017/08/m57-ngc6910.html)를 그렸습니다. 부족함이 많다고 생각되고, 잘 정리되어 있는 조강욱님의 스케치 ...
2017-09-05 17:29:59 최윤호 / 2017-08-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428
  • 스케치
  • M75의 공식적인 소속은 궁수 군단의 수많은 구상성단 중의 하나지만 모두가 원하는 핫플레이스인 주전자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서 궁수의 외딴 변방을 홀로 지키고 있다 (Reference: http://www.messier-objects.com/messier-75/) 주전자 뚜껑에서 멀어질수록, 그에 비례...
2017-09-11 20:39:52 / 2017-09-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213
  • 스케치
  • 소아령성운. 일본어 스타일의 이름인 것도 같지만 영어로도 little dumbbell nebula인 것을 보면 동양이나 서양이나 보는 눈은 비슷한 것 같다. 76번은 메시에 110개 대상 중에 가장 어두운 아이 중 하나로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 보면 생각보다 꽤 밝은, 작은 성운 ...
2017-09-26 21:12:52 진진아빠 / 2017-09-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