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동계훈련 & Quiz 2탄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3514, 2012-03-28 22:46:48(2010-01-01)
  • 뼈속까지 시린 겨울날 밤..

    추우면 추울수록 맑은 날씨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와 반비례하여 관측 의욕도 꺾이게 됩니다....

    특히 저는, 남들보다 극도로 추위에 약한 저주받은 발가락 때문에....

    한겨울의 관측을 더더욱 잘 못 나가는 것 같습니다



    영하 40도 혹한에서도 견딜 수 있다는 위 설상화를 구해봐야겠습니다

    근데 저 브랜드는 가격이 보통 2~30만원.. 헉!

    설상화 못 샀다고 마냥 집에서 놀고 있으면 천벌을 받을 것이고..

    나가자니 여의치 않고..

    맑은 하늘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로, 따뜻한 방 안에 앉아 그림을 그렸습니다

    연필을 가지고 은하와 성운들을 그리려다보니,

    '왜 꼭 하얀 종이에 검은 색으로 대상을 그려야 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늘은 까맣고 대상은 하얀 색인데.. 굳이 하얀 종이에 검은색 연필로 그릴 필요는 없을 것이라 생각하여,

    검은색 종이와 하얀색 연필과 파스텔과 콩테를 마련하여 그림 연습을 하는 중입니다

    무엇이 정답일까요?

    정답이라는 것은 없겠지만, 목적만 일치한다면 수단은 어떤 것이 되더라도 별 상관 없을 것입니다

    눈에 보이는 대상을 보이는 그대로 생생하게 표현해 낸다는 궁극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늘도 nightwid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삽질을 해 보고 있습니다


    자기계발 전문가인 공병호 박사의 얘기를 생각해본다면,

    사람이 어떤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10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10년은 그냥 시간만 보낸다고 해결이 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혁신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연습하는 시간이 10년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ㅎㅎㅎ 저는 아직 한참 멀었습니다


    아래는 그동안 그렸던 별그림(?) 습작들입니다

    관측의 결과물이 아니기에 '스케치'라고 하기엔 좀 애매하네요 ^^;;

    어떤 종이를 쓸 것인지, 어떤 소재를 사용할 것인지, 특정한 대상에 어떤 기법이 가장 유용한지...

    삽질과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조금씩 방향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아래 13개의 별그림 습작들은, 일부러 대상 이름을 삭제하여 올렸습니다 ㅎㅎ

    리플로 정답을 달아주세요~~~~

    가장 많이 맞추신 분께 아래 그림들의 원본 source가 수록되어 있는 관측 서적을 임대하여 드리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ex14.jpg




    야간비행 언니오빠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Nightwid 我心如星

댓글 6

  • 유혁

    2010.01.03 07:41

    흠... 특훈을 하기는 해야겠군요.

    그나저나... M74... 멋있네요...

    스케치처럼이야 보기 어렵겠지만, 아주 좋은 날 다시 한번 잘~~~ 살펴봐야겠습니다.
  • 김경싟

    2010.01.03 17:53

    강욱씨~

    1/1일에 인사동에 갔어요.
    보니 도장파는 곳이 있더군^^
    도장파자~! 했다가 뭐든 즉흥적으로 한다고 구박^^;

    언젠가는 저 스케치처럼 보이는 날이 있겠지?
    안되면 우주로라도 나가서^^

  • 조강욱

    2010.01.04 07:46

    유혁님 - 저는 74번이 언젠가는 제가 그린 그림처럼 보일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
  • 조강욱

    2010.01.04 07:48

    싟형님 - 저는 마님이 먼저 파라고 하시던데요.. ㅎㅎ
    그리고 그림 그린 것은 6번하고 9번을 제외하고는 지구상에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ㅋ;;;
  • 김남희

    2010.01.04 23:25

    정답을 올리시는 분이 없군요.^^
    이재희님은 어딜 가셨나??
    아무래도 서적임대로는 약발이 먹히질 않나봐요.
    영하 40도에서도 견딜수 있는 설상화정도 되면 덤벼 볼텐데...ㅋㅋ

    폭설이 내리는 군요.
    14층 사무실에서 바라본 나른한 오후의 풍경이....
    이럴때 예진이 데리고 눈썰매를 타러 가든지 눈싸움이라도 한판 하고픈 맘입니다.
  • 조강욱

    2010.01.05 02:56

    ㅎㅎ 상품이 너무 약했나요? 훌륭한 사람이 만든 좋은 책인데.. ^^;;;

    설상화가 걸려 있다면 제가 제일 먼저 정답을 외쳤을 겁니다 ㅡ_ㅡㅋㅋ

    그리고 걱정은 되어도 폭설이 내리는 풍경은 멋지던데요..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3039
  • 스케치
  • 원문출처 : http://blog.daum.net/damur21/335 인간이 경험할 수는 있는 천문현상은 여러가지가 있다 흔히 볼수 있는 별똥별(유성우), 월식, 수퍼문, 수퍼화성, 오성결집, 혜성, 토성엄폐, 초신성폭발 그리고 일식이 있다. 이중 인간이 생애 경험할 수 있는 최고의 천문...
2019-10-23 02:11:31 신기루 / 2019-07-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62
  • 스케치
  • 사자자리의 메시에들은 모두 모여산다 65/66을 포함한 유명한 Leo Triple이 그렇고 사자자리 메시에 5분 중 나머지 3분, 95(사진 중앙 하단)/96(95에서 좌상단 방향)/105(사진 중앙 상단)도 한자리에 모여 있다 (사진 출처: 구글 검색) M95/96/105를 한 방에 해결하려 ...
2018-12-26 07:37:30 / 2018-12-26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3069
  • 스케치
  • (첫번째 습작) 2월 서울에서 시그마 150-500mm 망원렌즈로 찍은 달을 스케치로 재탄생시켜봤다. 주말내내 비도 오고....집에만 있기 영 심심해서 습작을 남겨봤다. 2월쯤 서울 도심에서 달을 찍은것이 있어 한번 스케치로 도전해봤다. 달은 분화구 하나하나를 사실적으...
2020-03-27 09:08:17 신기루 / 2019-05-29
thumbnail
  • 김선영 조회 수: 3083
  • 스케치
  • 안녕하세요? 올해 한해 1년간 멜버른에 업무차 장기 출장을 나오게 되었습니다. 출장간 김에 남천의 하늘을 보고 있습니다. 김남희님께 뺏아온(?) 12인치 트래블돕은 아직 한국에서 발송 대기 중이라서 아쉽지만 핸드캐리해 온 3인치 굴절로 보고 있습니다. ASV라는 빅...
2019-04-23 07:44:43 랜슬롯 / 2019-03-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111
  • 스케치
  • 100 98 99 백 구팔 구구 입에 착착 붙는 그 순서. 왠지 99 98 100으로 가면 처녀자리를 보는 맛이 나지 않을 것 같다 그렇게 100 98을 완성하고 99번의 구도를 잡고 있는데 고도가 너무 낮아져서 더 이상 의미있는 관측이 되지 않는 상황이 되었다 다음달에 또 이어서 ...
2018-09-16 07:15:27 / 2018-09-16
no image
  • 김영주 조회 수: 3216
  • 스케치
  • 광덕산 조경철천문대 관측날씨가 절망적이었음에도 목성시상은 유별나게 좋았다. 선명한 줄무늬가 독보적이었던 이날 만약 대적점이나 영 또는 식 현상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좀더 기달려 대적점이라도 그려볼까 잠시 고민했지만 다음날 출근부담때문에 급하게 철수할수...
2019-11-04 20:32:49 조강욱 / 2019-06-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233
  • 스케치
  • 멕시코 모자, “솜브레로”로 유명한 대상이 있다 셀수없는 은하들의 향연인 처녀자리에서도 가장 인기있는 은하 M104번이다 밝은 은하면과 날카롭게 은하를 관통하는 진한 암흑대! 그러나 사진빨과 안시로 보이는 모습이 많이 다른 대상 중에 하나인 솜브레로.. (보통의 ...
2018-12-09 19:39:08 / 2018-12-0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335
  • 스케치
  • T1 왼쪽에 위치한 4개의 메시에 은하, 88 – 91- 90 – 89 중 91번은 관측의 측면에서는 가장 볼만한 은하다 흐릿하게나마 나선팔이 보이기 때문이다 은하 관측에서 가장 관측자의 시선을 끄는 것은 Edge-on 은하의 Dark lane, 그리고 Face-on 은하의 나선팔일 것이다 M91...
2018-03-31 05:39:24 / 2018-03-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400
  • 스케치
  • 나는 M31을 좋아하지 않는다. 어릴때부터 수많은 화려한 사진으로 접한 북반구 최대의 은하.. (남반구엔 더 큰 놈이 있다) 그에 비례하여 무수한 실망만을 안겨준 대상. 안시로는 그렇게 볼 수 없으니 말이다. 하지만 싫어하는 대상을 “안드로메다 은하”라고 칭하지 않...
2019-10-26 05:43:29 제영서 / 2019-01-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432
  • 스케치
  • 천체관측을 하다 보면 여성적인, 또는 남성적인 아우라를 뿜어내는 대상들이 있다 부드러운 성운기나 깨알 같은 잔별들을 보면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이 느껴지고 (M8, 조강욱 스케치) (M46, 조강욱 스케치) 반대로 위협적일 정도로 강렬한 구상성단이나 (NGC 104, 조강욱...
2018-12-31 04:26:51 / 2018-12-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4
  • 스케치
  • 밤하늘의 구상성단을 밝기 순으로 나열하다보면, 많은 대상이 남천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list 중 노란색이 남천 대상) 북반구 트로이카라 불리는 13번, 5번, 3번도 6~8위 권을 겨우 유지할 뿐이다 그리고 400여 개의 모든 구상성단 중 11위를 보면, ...
2018-04-08 06:38:55 / 2018-04-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50
  • 스케치
  • 1781년 4월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장발장이 조카들에게 주려고 빵을 훔치기도 15년 전에 메시에는 프랑스 천문학회 학회지에 낼 메시에 리스트를 정리하고 있었다 이미 M1번부터 M100번까지 100개 대상에 대한 관측 기록을 완성하고, 동료 관측자인 피에르 메케인(Pier...
2018-11-08 21:56:39 조강욱 / 2018-1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22
  • 스케치
  • 카시오페이아 주위는 진정한 별밭, 아니 성단 밭이다 비슷한 크기와 밝기의 산개성단들이 무수히 뿌려져 있다 (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위치도 어렵지 않은 M103과 NGC 457(ET)을 한참동안 헤메고 다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망원경 구경이 커질수록 멋진 대상(NGC 7789)...
2018-11-24 02:11:57 랜슬롯 / 2018-11-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47
  • 스케치
  • 뭐니뭐니해도 메시에 97번의 트레이드 마크는 뽕뽕 뚫린 눈알 두 개. 망원경으로 별을 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도 메시에 97번, 올빼미 성운의 커다란 두 눈은 잘 알려져 있다 (출처 : 구글 검색) 안시로는 어떨까? 사실 나는 97을 제대로 본 지가 너무 오래 되어서, 그 ...
2018-07-05 12:27:38 / 2018-07-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479
  • 스케치
  • 달, 달이란 나에게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에겐 어떤 의미일까? 관측의 훼방꾼. 대부분의 별쟁이에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언젠가부터, 아마도 별보러 나가는 횟수가 1년에 다섯번을 넘지 못하면서부터 서울에서 이른아침 출근 시간에, 늦은 퇴근길에 버스 안에...
2015-07-28 17:19:58 조강욱 / 2015-07-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60
  • 스케치
  • 2014년 1월. M82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난 한동안 X마려운 강아지처럼 안절부절하며 지냈다 아니 그게 뭐라고, 1200만년 전에 우주 저 편에서 별 하나 폭발한 것 뿐인데. 1054년에 게성운이 폭발했을 때도 가만히 있었으면서.. 그게 뭐라고 그렇게.. 마나님께서도 ...
2018-01-02 17:34:44 / 2018-01-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96
  • 스케치
  • 저녁 무렵이 되면, 사무실 내 모니터 가장자리가 갑자기 붉게 물드는 순간이 있다 서산으로 지는 태양빛이 15층 빌딩 유리창을 넘어 모니터에 반사되는 것이다. 그 신호를 보고 서쪽 창가에 있는 우리층 창고에 들어서면 강남의 빌딩숲과 우면산을 배경으로 탁 트인 시...
2015-07-31 05:30:46 조강욱 / 2015-07-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09
  • 스케치
  • 그동안.. 몇년간 다음에 하겠다고 미뤄만 두던 101번을 그려야 할 순서가 되었다 정면 은하를, 그것도 대형 Face-on(정면 은하)을 잘 보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다음에.. 다음에 하며 계속 미뤄 두었었다. Messier 33번을 그리...
2018-10-12 12:44:04 / 2018-10-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58
  • 스케치
  • 밤하늘에서 M80이 느끼는 비애는, M28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전 우주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형 구상성단 옆의 평범하..지는 않은 구상성단. 22번을 보고 28번까지 가는 사람이 별로 없듯이.. 4번을 보고 80번까지 찾아보는 사람 역시 많지 않다. 나 또...
2017-12-14 05:54:17 / 2017-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048
  • 스케치
  • 처녀자리의 그 수많은 은하들은 별 특징 없이 그저 둥글거나 동그랗거나.. 대부분은 재미 없는 타원은하들이다 머리털자리의 멋진 아이들을 절반만이라도 닮았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M89 그 자체도 전혀 특별할 것이 없는 심심한 타원은하이다. 굳이 찾는다면 아주 밝은...
2018-03-05 04:51:27 / 2018-03-0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