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동계훈련 & Quiz 2탄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3514, 2012-03-28 22:46:48(2010-01-01)
  • 뼈속까지 시린 겨울날 밤..

    추우면 추울수록 맑은 날씨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와 반비례하여 관측 의욕도 꺾이게 됩니다....

    특히 저는, 남들보다 극도로 추위에 약한 저주받은 발가락 때문에....

    한겨울의 관측을 더더욱 잘 못 나가는 것 같습니다



    영하 40도 혹한에서도 견딜 수 있다는 위 설상화를 구해봐야겠습니다

    근데 저 브랜드는 가격이 보통 2~30만원.. 헉!

    설상화 못 샀다고 마냥 집에서 놀고 있으면 천벌을 받을 것이고..

    나가자니 여의치 않고..

    맑은 하늘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로, 따뜻한 방 안에 앉아 그림을 그렸습니다

    연필을 가지고 은하와 성운들을 그리려다보니,

    '왜 꼭 하얀 종이에 검은 색으로 대상을 그려야 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늘은 까맣고 대상은 하얀 색인데.. 굳이 하얀 종이에 검은색 연필로 그릴 필요는 없을 것이라 생각하여,

    검은색 종이와 하얀색 연필과 파스텔과 콩테를 마련하여 그림 연습을 하는 중입니다

    무엇이 정답일까요?

    정답이라는 것은 없겠지만, 목적만 일치한다면 수단은 어떤 것이 되더라도 별 상관 없을 것입니다

    눈에 보이는 대상을 보이는 그대로 생생하게 표현해 낸다는 궁극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늘도 nightwid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삽질을 해 보고 있습니다


    자기계발 전문가인 공병호 박사의 얘기를 생각해본다면,

    사람이 어떤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10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10년은 그냥 시간만 보낸다고 해결이 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혁신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연습하는 시간이 10년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ㅎㅎㅎ 저는 아직 한참 멀었습니다


    아래는 그동안 그렸던 별그림(?) 습작들입니다

    관측의 결과물이 아니기에 '스케치'라고 하기엔 좀 애매하네요 ^^;;

    어떤 종이를 쓸 것인지, 어떤 소재를 사용할 것인지, 특정한 대상에 어떤 기법이 가장 유용한지...

    삽질과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조금씩 방향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아래 13개의 별그림 습작들은, 일부러 대상 이름을 삭제하여 올렸습니다 ㅎㅎ

    리플로 정답을 달아주세요~~~~

    가장 많이 맞추신 분께 아래 그림들의 원본 source가 수록되어 있는 관측 서적을 임대하여 드리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ex14.jpg




    야간비행 언니오빠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Nightwid 我心如星

댓글 6

  • 유혁

    2010.01.03 07:41

    흠... 특훈을 하기는 해야겠군요.

    그나저나... M74... 멋있네요...

    스케치처럼이야 보기 어렵겠지만, 아주 좋은 날 다시 한번 잘~~~ 살펴봐야겠습니다.
  • 김경싟

    2010.01.03 17:53

    강욱씨~

    1/1일에 인사동에 갔어요.
    보니 도장파는 곳이 있더군^^
    도장파자~! 했다가 뭐든 즉흥적으로 한다고 구박^^;

    언젠가는 저 스케치처럼 보이는 날이 있겠지?
    안되면 우주로라도 나가서^^

  • 조강욱

    2010.01.04 07:46

    유혁님 - 저는 74번이 언젠가는 제가 그린 그림처럼 보일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
  • 조강욱

    2010.01.04 07:48

    싟형님 - 저는 마님이 먼저 파라고 하시던데요.. ㅎㅎ
    그리고 그림 그린 것은 6번하고 9번을 제외하고는 지구상에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ㅋ;;;
  • 김남희

    2010.01.04 23:25

    정답을 올리시는 분이 없군요.^^
    이재희님은 어딜 가셨나??
    아무래도 서적임대로는 약발이 먹히질 않나봐요.
    영하 40도에서도 견딜수 있는 설상화정도 되면 덤벼 볼텐데...ㅋㅋ

    폭설이 내리는 군요.
    14층 사무실에서 바라본 나른한 오후의 풍경이....
    이럴때 예진이 데리고 눈썰매를 타러 가든지 눈싸움이라도 한판 하고픈 맘입니다.
  • 조강욱

    2010.01.05 02:56

    ㅎㅎ 상품이 너무 약했나요? 훌륭한 사람이 만든 좋은 책인데.. ^^;;;

    설상화가 걸려 있다면 제가 제일 먼저 정답을 외쳤을 겁니다 ㅡ_ㅡㅋㅋ

    그리고 걱정은 되어도 폭설이 내리는 풍경은 멋지던데요..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090
  • 스케치
  • 썩소를 짓고 있는 얼굴 표정, 84 & 86 주위의 은하 9개 중에서 나는 M86 위의 눈썹인 NGC 4402를 가장 좋아한다. [ 7천만광년 저 편에서 썩소를 날리다 - 15인치 반사,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 조강욱 (2014) ] 뭐가 86번인지 4402인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
2018-09-23 02:04:43 / 2018-02-03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6013
  • 스케치
  • 눈을 사물에 고정시킨 채 그림을 그리는 기법 - 블라인드 컨투어 드로잉은 관찰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훈련법이지만 왠지 두려움이 느껴진다는 것이 천체스케치와 비슷합니다. 이번에는 그 심리적 장벽을 넘어보고 싶어서 월령 10일의 달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드로잉 ...
2016-09-20 02:26:47 조강욱 / 2016-09-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911
  • 스케치
  • 이번 추석에도 울산 미호리의 처가 전원주택에서 며칠간을 보낸다 슈퍼문인지 먼지 어짜피 보름달이라 큰 관심은 없지만 그래도 추석 보름달은 남다르지.. 초딩 1학년 조예별양 학교 숙제도 '보름달 보며 소원 빌고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얘기해주기'라서 초저녁부터 시...
2014-09-20 03:07:40 조강욱 / 2014-09-10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5812
  • 스케치
  • 관측기가 어디갔지? 그당시 내가 썼던 관측기록을 야간비행에서 찾아서 읽어보고 짜깁기 해서 연재글을 만들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M108번 관측기록이 나오지 않는다 그거 이상하네 내 스케치북과 포트폴리오를 다 꺼내서 펼쳐본다 설마... 설마... 내 10년간의 ...
2019-01-20 06:43:17 조강욱 / 2019-0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750
  • 스케치
  • 처녀자리 은하단의 가장 밝은 은하 M87. 87번에는 오래된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미국 아줌마가 24인치로 타원은하의 Jet을 알현하였다는 전설의 기록 말이다.. 우선 허블로 찍은 사진을 보자 (중국산 허블미러 말고.. 우주에서 일하던 그것) 무언가 엄청 그럴듯해 보이...
2018-02-11 06:17:26 / 2018-02-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33
  • 스케치
  • 별쟁이들은 별이 잘 보이는 곳에 갈 수만 있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군부대는, 그런 의미에서 아주 탐나는 장소다. 다들 그 곳에서 예전에 안 좋은 기억이 있음에도 말이다. 그와 동시에 군부대는 항상 불안한 곳이다. 언제든 쫓겨날 수 있는 곳이니.. 인제의...
2017-12-19 19:17:54 / 2017-12-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26
  • 스케치
  • 오리온이 밟고 있는(?) 토끼자리에 위치한 M79는 겨울 하늘의 유일한 구상성단이라는 희소성 치고는 존재감이 희박한 아이다. 가을철 하늘에서 보던 2번이나 5번에 비하면 너무 심심한 구상이기 때문이다. "에이.." 어느 가을날 밤, 여느 때처럼 2번과 5번을 보며 한참 ...
2017-12-01 12:14:59 / 2017-12-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00
  • 스케치
  • 원래 매스컴표 '행성직렬 우주쇼'에는 큰 관심이 없었는데.. 오늘의 달과 행성들은 너무 예쁘다 그 조합에 감탄하다가 집 마당에 서서 한 장 그려본다 한국보다 몇시간 먼저 보는 맛도 은근히 괜찮네! Nightwid 無雲
2017-02-11 04:17:46 조강욱 / 2017-0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306
  • 스케치
  • 별 보는 사람 중에 빙글빙글 돌아가는 나선은하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멋진 막대가 있는 막대나선이라면 더더욱.. 그런데 여기엔 커다란 함정이 있다 그 막대나선을 보려면 은하가 face-on(정면이 보이는 은하) 이어야 하는데, Face-on 은하는 Ed...
2018-01-31 19:54:35 반형준 / 2018-01-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046
  • 스케치
  • 처녀자리의 그 수많은 은하들은 별 특징 없이 그저 둥글거나 동그랗거나.. 대부분은 재미 없는 타원은하들이다 머리털자리의 멋진 아이들을 절반만이라도 닮았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M89 그 자체도 전혀 특별할 것이 없는 심심한 타원은하이다. 굳이 찾는다면 아주 밝은...
2018-03-05 04:51:27 / 2018-03-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58
  • 스케치
  • 밤하늘에서 M80이 느끼는 비애는, M28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전 우주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형 구상성단 옆의 평범하..지는 않은 구상성단. 22번을 보고 28번까지 가는 사람이 별로 없듯이.. 4번을 보고 80번까지 찾아보는 사람 역시 많지 않다. 나 또...
2017-12-14 05:54:17 / 2017-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04
  • 스케치
  • 그동안.. 몇년간 다음에 하겠다고 미뤄만 두던 101번을 그려야 할 순서가 되었다 정면 은하를, 그것도 대형 Face-on(정면 은하)을 잘 보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다음에.. 다음에 하며 계속 미뤄 두었었다. Messier 33번을 그리...
2018-10-12 12:44:04 / 2018-10-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96
  • 스케치
  • 저녁 무렵이 되면, 사무실 내 모니터 가장자리가 갑자기 붉게 물드는 순간이 있다 서산으로 지는 태양빛이 15층 빌딩 유리창을 넘어 모니터에 반사되는 것이다. 그 신호를 보고 서쪽 창가에 있는 우리층 창고에 들어서면 강남의 빌딩숲과 우면산을 배경으로 탁 트인 시...
2015-07-31 05:30:46 조강욱 / 2015-07-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50
  • 스케치
  • 2014년 1월. M82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난 한동안 X마려운 강아지처럼 안절부절하며 지냈다 아니 그게 뭐라고, 1200만년 전에 우주 저 편에서 별 하나 폭발한 것 뿐인데. 1054년에 게성운이 폭발했을 때도 가만히 있었으면서.. 그게 뭐라고 그렇게.. 마나님께서도 ...
2018-01-02 17:34:44 / 2018-01-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479
  • 스케치
  • 달, 달이란 나에게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에겐 어떤 의미일까? 관측의 훼방꾼. 대부분의 별쟁이에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언젠가부터, 아마도 별보러 나가는 횟수가 1년에 다섯번을 넘지 못하면서부터 서울에서 이른아침 출근 시간에, 늦은 퇴근길에 버스 안에...
2015-07-28 17:19:58 조강욱 / 2015-07-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45
  • 스케치
  • 뭐니뭐니해도 메시에 97번의 트레이드 마크는 뽕뽕 뚫린 눈알 두 개. 망원경으로 별을 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도 메시에 97번, 올빼미 성운의 커다란 두 눈은 잘 알려져 있다 (출처 : 구글 검색) 안시로는 어떨까? 사실 나는 97을 제대로 본 지가 너무 오래 되어서, 그 ...
2018-07-05 12:27:38 / 2018-07-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18
  • 스케치
  • 카시오페이아 주위는 진정한 별밭, 아니 성단 밭이다 비슷한 크기와 밝기의 산개성단들이 무수히 뿌려져 있다 (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위치도 어렵지 않은 M103과 NGC 457(ET)을 한참동안 헤메고 다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망원경 구경이 커질수록 멋진 대상(NGC 7789)...
2018-11-24 02:11:57 랜슬롯 / 2018-11-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4
  • 스케치
  • 밤하늘의 구상성단을 밝기 순으로 나열하다보면, 많은 대상이 남천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list 중 노란색이 남천 대상) 북반구 트로이카라 불리는 13번, 5번, 3번도 6~8위 권을 겨우 유지할 뿐이다 그리고 400여 개의 모든 구상성단 중 11위를 보면, ...
2018-04-08 06:38:55 / 2018-04-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18
  • 스케치
  • 1781년 4월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장발장이 조카들에게 주려고 빵을 훔치기도 15년 전에 메시에는 프랑스 천문학회 학회지에 낼 메시에 리스트를 정리하고 있었다 이미 M1번부터 M100번까지 100개 대상에 대한 관측 기록을 완성하고, 동료 관측자인 피에르 메케인(Pier...
2018-11-08 21:56:39 조강욱 / 2018-1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431
  • 스케치
  • 천체관측을 하다 보면 여성적인, 또는 남성적인 아우라를 뿜어내는 대상들이 있다 부드러운 성운기나 깨알 같은 잔별들을 보면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이 느껴지고 (M8, 조강욱 스케치) (M46, 조강욱 스케치) 반대로 위협적일 정도로 강렬한 구상성단이나 (NGC 104, 조강욱...
2018-12-31 04:26:51 / 2018-12-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