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세상의 동쪽, Gauss - 090906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34826, 2013-04-09 00:15:02(2009-09-09)
  • 전쟁과도 같은 한 주를 겨우 넘기고..

    토요일이 되었다

    예별이랑도 놀아주고   같이 종로 거리도 걸어보고   운동화도 최신 트렌드에 맞추어 사드리고

    집안일도 거들고 대청소도 하고 분리수거도 정리하고 빨래도 하고 설거지도 하고....

    저녁에는 숙원사업을 해결하기 위해 최샘네 가게로 향했다

    결국.. 그 숙원사업(?)은 일요일 저녁에야 결실을 보았다.. ㅎㅎ

    토요일 밤 11시. 가게를 나서며 최샘과 휘영청 보름달을 보니

    완전한 원형이 아니라, 그림자가 한 쪽 귀퉁이를 살짝 먹었다

    뭐 잼있는게 있을까?

    집에 와서.. 잘용이를 꺼내서 달을 보니, 보름달 한귀퉁이에서 작은 크레이터와 지형들이 아주 '조금' 보인다 ㅡ_ㅡ

    쟤네들을 보기 위해선.. 딱 이틀밖엔 기회가 없다.

    그믐 다음날 초저녁의 눈썹달에서

    그리고 보름을 막 지난 첫날 하루....

    천왕봉 일출을 보려면 3대가 덕을 쌓아야 한다고 하는데,

    Gauss를 보기 위해선 월령만 잘 보고 있으면 된다.. ^^;


    달의 가장 구석 옆구리에 위치해 있다보니

    애들이 모두 심하게 찌그러져 있다

    Petavius는 댈 것도 아니다

    Krafft보다 더하다

    지구에서 18만km 떨어진 이 곳..

    여기에서도 가장 오지인 달의 동쪽 끝.

    중고딩 시절의 가우스 소거법을 만드신 그 분?

    대학수학에서 여러가지 고문 기술을 선보이던 그 분??? ㅡ_ㅡ;;;

    그 가우스가 이 가우스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마도 맞는 것 같다)

    달을 망원경으로 본 적이 있는 사람도 이 보기 힘든 까다로운 분을 본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다...

    (최샘은 Gauss 얘기를 하니 딱 아시더군요.. 역시 ㅎㅎ)


    Gauss
    r_gauss.jpg


    그림은 그릴수록 더 어려운 것 같다

    빨리 늘지도 않고..

    시간도 별로 단축되지 않고..


    보이는대로 그대로 그리다보니, 전체적인 그림의 입체감이 살지 않는다.

    약간씩 수정해서 좀 더 멋지게 만들고 싶은데....

    '진짜'를 위해 유혹을 포기할 수 밖에..


    워낙 구석탱이에다 뭐가 없는 곳이다 보니 스케치도 썰렁하다

    입큰 개구리가 입을 살짝 벌린 것 같은 Gauss에는 동쪽 크레이터 벽만 눈부시게 빛난다

    그 뒤로는 능선만 보이는 동단에서도 가장 끝에 위치한 지형이 보이고..

    좌상단으로는 호 모양의 좁은 구조가 밝게 빛나는데.. 저건 어떻게 해야 저런 모양이 나올 수 있는지 나도 모르겠다

    우하단으로는 작은 크레이터 두 개.. (Berosus, Hahn)

    그림으로는 크게 그렸으니 시원하게 보이는 것 같지만..

    사실 있다고 생각하고 찾지 않으면 존재 자체도 찾기 어려운 애들이다.. (80mm 굴절 기준)


    새벽에 스케치를 하다 보니 하다가 너무 졸려서.. 스케치하던 탁자에 엎드려서 한참 졸다가 일어나서 좀 더 그리고..

    또 자다 일어나고.. ㅡ_ㅡ;;

    모기에게 무료 배식을 실컷 시켜주고 그냥 놓아주기가 너무 아쉬워서..

    스케치를 마치고 베란다를 정리하고 나오면서

    모든 문을 밀폐하고

    베란다에 에프킬라를 한 방 뿌려주고 나왔다

    아까 먹은 내 피 아직 소화도 못 시켰겠지? 복수다.. ㅋㅋ




                                          Nightwid 我心如星

댓글 9

  • 김남희

    2009.09.10 19:51

    어젯밤 달보면서 강욱씨 생각 나더군요.

    크레이터,골짜기를 비행하며...

    스케치해야 될거 너무 많더군요.

    혹 그많은 구덩이 이름들 다외우고 있는건 아닌지?

    이제 스케치할수 있는날 며칠 안남았네요...

  • 이준오

    2009.09.11 00:06

    저는 최쌤이 당췌 이쪽 별나라에서 안보셨던 것이나 아님 모르고 계시는게 과연 그 무엇인지..? 단지 그것이 알고싶음다....ㅎㅎ
  • 조강욱

    2009.09.11 16:27

    남희님 - 그 많은 구덩이를 어찌 다 외우겠어요 ㅎㅎ 숫자면 더 잘 외워 지겠지만..
    달 지형이 30만개 정도 된다고 하는데.. 저는 그 중에 한 0.03% 정도 본 것 같습니다 ^^;
  • 조강욱

    2009.09.11 16:30

    준오님 - 최샘이 모르고 있는 별보는사람이나 별보는 장비가 있다면 간첩이 아닐까 의심해 봐야 합니다 ㅡ_ㅡㅋ
    그나마 천체 중에서는 관심이 적은 대상도 있으신데.. Barnard 145번은 안보셨을 거에요 ㅡ_ㅡ;;;;
  • 조강욱

    2009.09.11 16:41

    Gauss region 스케치 한 구조 중 좌상단의 호 모양이 무엇일까 의문이었는데,
    Gauss보다 더 동쪽에 위치한 Riemann의 서쪽 벽이 태양빛에 강하게 반사되는 모습인 것 같습니다

    Riemann은 동경 87도로.. 79도의 Gauss보다 더 먼 완전 극지방이네요 ㅡ,ㅡ;;
    Riemann의 전체 구조를 관측하는 것도 일종의 도전 대상이 되겠습니다..

    근데 호 모양을 설명하기에 완벽한 알리바이는 아닌것 같습니다.
    저게 크레이터의 일부분이라면 호가 아니라 납작한 원통 모양이 나와야 할텐데요..
    답을 아시는 분은 리플 달아주세요.. ㅎㅎ
  • 유혁

    2009.09.11 18:08

    매수팔 모임에서도 수없이 이야기했습니다만.... 정말 멋있습니다....

    스케치 달 전도 완성의 그날이 하루하루 가까워지는 것 같군요.... ^^;;

    마음속으로 나마 위업 달성을 적극 응원하겠습니다.

    --------------------------------------------------------------------------------------------

    뭐... 그 책 사면서 따라온... 잠자리 4B 연필로 응원을 할 수 도 있겠구나 싶은데... 그럼 스케치 한 구석에
    '잠자리 연필 한자루 제공, 아무개' 혹은 '이 스케치에 사용한 잠자리 연필은 아무개 제공입니다'라고...
    써주실 수 있나요? .... ^^;; 농담입니다...

  • 조강욱

    2009.09.11 21:49

    어찌 오늘은 아침부터 야간비행 방문할 시간이 되셨나보네요.. ㅎㅎ

    스케치 월면도는.. 공동 프로젝트로 진행하면 잼있을 것 같습니다.. ^^

    잠자리연필은 제게 제공하지 마시고

    직접 그려보심이 어떠하실지 아뢰옵니다~~
  • 전은경

    2009.09.12 09:00

    와우! 그림 솜씨가 대단 합니다. 멋져요^^
  • 조강욱

    2009.09.14 05:08

    ㅎㅎ 보고 계셨군요.. 감사합니다 ^-^ㅋ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090
  • 스케치
  • 썩소를 짓고 있는 얼굴 표정, 84 & 86 주위의 은하 9개 중에서 나는 M86 위의 눈썹인 NGC 4402를 가장 좋아한다. [ 7천만광년 저 편에서 썩소를 날리다 - 15인치 반사,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 조강욱 (2014) ] 뭐가 86번인지 4402인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
2018-09-23 02:04:43 / 2018-02-03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6013
  • 스케치
  • 눈을 사물에 고정시킨 채 그림을 그리는 기법 - 블라인드 컨투어 드로잉은 관찰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훈련법이지만 왠지 두려움이 느껴진다는 것이 천체스케치와 비슷합니다. 이번에는 그 심리적 장벽을 넘어보고 싶어서 월령 10일의 달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드로잉 ...
2016-09-20 02:26:47 조강욱 / 2016-09-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911
  • 스케치
  • 이번 추석에도 울산 미호리의 처가 전원주택에서 며칠간을 보낸다 슈퍼문인지 먼지 어짜피 보름달이라 큰 관심은 없지만 그래도 추석 보름달은 남다르지.. 초딩 1학년 조예별양 학교 숙제도 '보름달 보며 소원 빌고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얘기해주기'라서 초저녁부터 시...
2014-09-20 03:07:40 조강욱 / 2014-09-10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5813
  • 스케치
  • 관측기가 어디갔지? 그당시 내가 썼던 관측기록을 야간비행에서 찾아서 읽어보고 짜깁기 해서 연재글을 만들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M108번 관측기록이 나오지 않는다 그거 이상하네 내 스케치북과 포트폴리오를 다 꺼내서 펼쳐본다 설마... 설마... 내 10년간의 ...
2019-01-20 06:43:17 조강욱 / 2019-0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752
  • 스케치
  • 처녀자리 은하단의 가장 밝은 은하 M87. 87번에는 오래된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미국 아줌마가 24인치로 타원은하의 Jet을 알현하였다는 전설의 기록 말이다.. 우선 허블로 찍은 사진을 보자 (중국산 허블미러 말고.. 우주에서 일하던 그것) 무언가 엄청 그럴듯해 보이...
2018-02-11 06:17:26 / 2018-02-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33
  • 스케치
  • 별쟁이들은 별이 잘 보이는 곳에 갈 수만 있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군부대는, 그런 의미에서 아주 탐나는 장소다. 다들 그 곳에서 예전에 안 좋은 기억이 있음에도 말이다. 그와 동시에 군부대는 항상 불안한 곳이다. 언제든 쫓겨날 수 있는 곳이니.. 인제의...
2017-12-19 19:17:54 / 2017-12-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26
  • 스케치
  • 오리온이 밟고 있는(?) 토끼자리에 위치한 M79는 겨울 하늘의 유일한 구상성단이라는 희소성 치고는 존재감이 희박한 아이다. 가을철 하늘에서 보던 2번이나 5번에 비하면 너무 심심한 구상이기 때문이다. "에이.." 어느 가을날 밤, 여느 때처럼 2번과 5번을 보며 한참 ...
2017-12-01 12:14:59 / 2017-12-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00
  • 스케치
  • 원래 매스컴표 '행성직렬 우주쇼'에는 큰 관심이 없었는데.. 오늘의 달과 행성들은 너무 예쁘다 그 조합에 감탄하다가 집 마당에 서서 한 장 그려본다 한국보다 몇시간 먼저 보는 맛도 은근히 괜찮네! Nightwid 無雲
2017-02-11 04:17:46 조강욱 / 2017-0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306
  • 스케치
  • 별 보는 사람 중에 빙글빙글 돌아가는 나선은하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멋진 막대가 있는 막대나선이라면 더더욱.. 그런데 여기엔 커다란 함정이 있다 그 막대나선을 보려면 은하가 face-on(정면이 보이는 은하) 이어야 하는데, Face-on 은하는 Ed...
2018-01-31 19:54:35 반형준 / 2018-01-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046
  • 스케치
  • 처녀자리의 그 수많은 은하들은 별 특징 없이 그저 둥글거나 동그랗거나.. 대부분은 재미 없는 타원은하들이다 머리털자리의 멋진 아이들을 절반만이라도 닮았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M89 그 자체도 전혀 특별할 것이 없는 심심한 타원은하이다. 굳이 찾는다면 아주 밝은...
2018-03-05 04:51:27 / 2018-03-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58
  • 스케치
  • 밤하늘에서 M80이 느끼는 비애는, M28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전 우주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형 구상성단 옆의 평범하..지는 않은 구상성단. 22번을 보고 28번까지 가는 사람이 별로 없듯이.. 4번을 보고 80번까지 찾아보는 사람 역시 많지 않다. 나 또...
2017-12-14 05:54:17 / 2017-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06
  • 스케치
  • 그동안.. 몇년간 다음에 하겠다고 미뤄만 두던 101번을 그려야 할 순서가 되었다 정면 은하를, 그것도 대형 Face-on(정면 은하)을 잘 보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다음에.. 다음에 하며 계속 미뤄 두었었다. Messier 33번을 그리...
2018-10-12 12:44:04 / 2018-10-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96
  • 스케치
  • 저녁 무렵이 되면, 사무실 내 모니터 가장자리가 갑자기 붉게 물드는 순간이 있다 서산으로 지는 태양빛이 15층 빌딩 유리창을 넘어 모니터에 반사되는 것이다. 그 신호를 보고 서쪽 창가에 있는 우리층 창고에 들어서면 강남의 빌딩숲과 우면산을 배경으로 탁 트인 시...
2015-07-31 05:30:46 조강욱 / 2015-07-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53
  • 스케치
  • 2014년 1월. M82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난 한동안 X마려운 강아지처럼 안절부절하며 지냈다 아니 그게 뭐라고, 1200만년 전에 우주 저 편에서 별 하나 폭발한 것 뿐인데. 1054년에 게성운이 폭발했을 때도 가만히 있었으면서.. 그게 뭐라고 그렇게.. 마나님께서도 ...
2018-01-02 17:34:44 / 2018-01-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479
  • 스케치
  • 달, 달이란 나에게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에겐 어떤 의미일까? 관측의 훼방꾼. 대부분의 별쟁이에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언젠가부터, 아마도 별보러 나가는 횟수가 1년에 다섯번을 넘지 못하면서부터 서울에서 이른아침 출근 시간에, 늦은 퇴근길에 버스 안에...
2015-07-28 17:19:58 조강욱 / 2015-07-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47
  • 스케치
  • 뭐니뭐니해도 메시에 97번의 트레이드 마크는 뽕뽕 뚫린 눈알 두 개. 망원경으로 별을 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도 메시에 97번, 올빼미 성운의 커다란 두 눈은 잘 알려져 있다 (출처 : 구글 검색) 안시로는 어떨까? 사실 나는 97을 제대로 본 지가 너무 오래 되어서, 그 ...
2018-07-05 12:27:38 / 2018-07-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20
  • 스케치
  • 카시오페이아 주위는 진정한 별밭, 아니 성단 밭이다 비슷한 크기와 밝기의 산개성단들이 무수히 뿌려져 있다 (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위치도 어렵지 않은 M103과 NGC 457(ET)을 한참동안 헤메고 다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망원경 구경이 커질수록 멋진 대상(NGC 7789)...
2018-11-24 02:11:57 랜슬롯 / 2018-11-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4
  • 스케치
  • 밤하늘의 구상성단을 밝기 순으로 나열하다보면, 많은 대상이 남천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list 중 노란색이 남천 대상) 북반구 트로이카라 불리는 13번, 5번, 3번도 6~8위 권을 겨우 유지할 뿐이다 그리고 400여 개의 모든 구상성단 중 11위를 보면, ...
2018-04-08 06:38:55 / 2018-04-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4
  • 스케치
  • 1781년 4월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장발장이 조카들에게 주려고 빵을 훔치기도 15년 전에 메시에는 프랑스 천문학회 학회지에 낼 메시에 리스트를 정리하고 있었다 이미 M1번부터 M100번까지 100개 대상에 대한 관측 기록을 완성하고, 동료 관측자인 피에르 메케인(Pier...
2018-11-08 21:56:39 조강욱 / 2018-1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431
  • 스케치
  • 천체관측을 하다 보면 여성적인, 또는 남성적인 아우라를 뿜어내는 대상들이 있다 부드러운 성운기나 깨알 같은 잔별들을 보면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이 느껴지고 (M8, 조강욱 스케치) (M46, 조강욱 스케치) 반대로 위협적일 정도로 강렬한 구상성단이나 (NGC 104, 조강욱...
2018-12-31 04:26:51 / 2018-12-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