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달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 Kies - 090830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3662, 2013-04-09 00:15:25(2009-09-03)
  • 8월말부터 이어지는 맑은 가을 하늘..

    많은 분들이 벗고개로.. 과천으로 출동하셨는데

    나는 산적한 업무를 핑계로 그냥 있었다

    본연의 업무를 훌륭히 수행하시면서도

    어떻게 그렇게 열심히 별을 보러 다니실 수 있는 것인지..

    나는 도저히 못하겠다 ㅡ_ㅡㅋ


    아쉬운 일요일이 저물어 갈 무렵..

    우리집에 놀러온 처제&동서와 거실에서 보쌈에 맥주로 저녁을 먹고 있는데

    베란다 밖으로 보이는 하늘이 심상치 않은 기운을 보인다

    처제를 배웅하러 현관 앞에 나가니 뭉게구름 사이에서 파란 속살을 드러내는 하늘이..

    남자의 직감ㅡ_ㅡ으로는 분명히 밤에 맑을 것 같다..

    밤이 되니 진짜 맑아져서 눈부신 상현달이 보이는데..

    오늘은 예별님이 쉽게 꿈나라로 출발하질 않는다

    억지로 재우려 해도

    우리별1호가 좋아하는 함미 하비(할머니 할아버지)가 집에 계시니 놀고 싶어서 안 주무신다

    한참 그리다가 예별님이 뭐 엎으면 사고 수습하고

    여유 있을때는 뭘 뒤집어 엎어도 잘 했다고 잘 놀았다고 ㅡ_ㅡ;; 반응하려고 노력하는데

    달이 질까 마음이 급하여 그것도 잘 안 된다 ㅎㅎ

    예별이는 울고 주무시진 않고 그릴 것은 많고 달은 서쪽으로 넘어가려 하고..

    고요하고 삭막한 스케치에는 안 나타나 있지만..

    스케치한 종이 사이사이에는.. 안 놀아주는 아빠가 야속한 예별이의 울음소리가

    깊게 배어 있을 것입니다.....



    r_kies.jpg


    Kies 영역을 그려보고 싶은데.. 위로는 Bulialdus부터 아래로 Campanus까지

    지형들이 심플하면서도 엣지가 살아있다

    평소 같았으면 여러 개의 지형들 구도를 잡는 데만도 한참의 시간이 걸렸겠지만

    인건비 개선을 위해

    월면도를 스케치할 종이 뒤에 대고 각 크레이터 위치를 그대로 그렸다

    먼가 치팅 하는 것 같아 마음이 꺼림칙 하기도 하지만.. 여튼 편하고 좋다


    구도는 흥미있는 지역으로 잡았는데.. 문제는 영역이 너무 넓다는 것이다.. ;;;

    크레이터 두세개 해당하는 영역만 그려보다가..

    황량한 지형에 드문드문 있는 애들을 표현하려니

    집중력을 계속 유지하기가 어렵다

    80mm라 망정이지.. 15인치로 봤으면 이걸 어떻게 그려.. ㅡ,ㅡ;;



    예별이 보던 시간을 제외하고 실 관측시간 1시간 50분

    12시가 다 된 시각에 스케치를 마무리 하고서도..

    거실에서 밝은 불 아래 30분이 훨씬 넘게 후반 작업을 했다

    찰필을 이용해서 스케치의 거친 부분을 다듬는 것..

    명암처리가 부족한 부분은 더욱 강조될 수 있도록..

    이것은 상상화가 아니라 효과적인 스케치를 위한 고육책이라고 스스로 최면을 건다... ㅡ_ㅡ;;


    뭐 어쨋든간에,

    이 스케치의 핵심은 Kies이다

    대충 봐서는 절대로 볼 수 없는

    공부를 하고 애정을 가지고 봐야 그제서야 살짝 미소짓는 모습을 보여주는 이 분은

    바로 감질맛의 현신이 아니신가 ㅎㅎ


    Harold Hill의 스케치에는 전혀 고요하지 않은 무지막지한 Kies가 그려져 있지만

    80mm로의 Kies는 쇠락한 옛 궁전의 희미한 흔적 같다고 할까..

    Kies의 아랫쪽으로는 작은 구릉의 구조를 지나 Kies A로 이어지는데

    그 연결된 모습이 마치 열쇠처럼 생겼다

    달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 열쇠.. 라고 하면 어떨까

    감질나는 맛의 미학을 달까지 확장시키는 key 같은 존재라고..


    Stadius는 어떤 느낌일지 다시 보고 싶은데

    애정이 부족한지 찾기가 어렵다


    Kies 동쪽으로는 Campanus와 Mercator가 마치 안경처럼..

    안경점의 시력검사용 동그란 테의 안경처럼 생겼다

    위쪽의 Bullialdus는 상당히 크고 심플한 크레이터인데,

    복잡한 대상보다 심플한 대상의 표현이 더욱 어렵다..

    Konig과 Bullialdus B는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광조를 가지고 있다

    이게 진짜 광조(Ray)인지 아니면 단층과 같은 구조인지는 구분이 잘 가지 않는다

    그림으로 그려보니 높이 차이가 나는 것처럼 보이는데,

    실제 관측에서는 그저 ray처럼만 보인다


    Campanus 위쪽에는 완만한 뿔 같은 그림자가,

    Mercator 바로 서쪽으로는 작은 화살표 같은 그림자가 관측이 되는데

    주변 구조물과 비교해 보면.. 그런 모양의 음영이 나오기 힘든 상황인데..

    이상하다.. ;; 어쨋든 나는 보이는 대로 그렸으니깐..... ;;;;;


    매끈한 종이에 그림을 그리고 찰필로 문질러주니

    기존의 달 스케치보다 훨씬 부드러운 그림이 만들어진다

    그렇다고 해도.. black 컬러의 표현은 여전히 어렵다

    2차원 그림의 음영으로 입체감을 표시하는 것도..

    기본이 없이 그냥 들이대려니 부족한 점이 너무 많다




    싟형님 형수님께 기본기 특강이라도 받고 싶은 심정입니다.... ㅠ_ㅠ



    P.S. 어제(9/1) 달번개 하실 때.. 저는 그때까지 회사에서 회의 하고 있었습니다  ㅡ,ㅡ;;;
           집에 와서..  날이 맑길래 망원경을 꺼내어 달을 겨누어보니,
           가센디와 슈뢰터가 밝게 빛나고 있었습니다
           아.. 한 개만 해 볼까?
           하다가.. 그냥 곱게 잠을 더 자기로 했습니다
           별도 아니고 달을 볼 수 있는 기회는 앞으로도 엄청나게 많으니
           더더욱 무리수를 둘 필요가 없는 것이죠..  ^^


                  Nightwid 我心如星

댓글 12

  • 김경싟

    2009.09.03 03:13

    한마디.................. 멋지다!
  • 김남희

    2009.09.03 03:44

    스케치 솜씨가 점점 섬세해지는데요.

    실력이 향상되는게 보이는것 같습니다.~
  • 이준오

    2009.09.03 06:07

    분화구 하나 하나가 예별이가 그 밤, 같이 널아주지 않는다고 울던 눈물 방울처럼 영롱히 이쁩니다..ㅎㅎ
  • 조강욱

    2009.09.03 18:01

    싟형님 - 요즘은 마우스畵 안 그리시나요.. ^^
    2009년 1월 1일의 토성 그림과, 크레이터 내의 봉우리 끝부분만 햇살이 비치는 그림.. 너무 좋았습니다.. ㅎㅎ
  • 조강욱

    2009.09.03 18:02

    남희님 - 저만의 스타일을 찾아가는 중입니다.. ^^;;
    회사 책상의 제 파티션에는 Harold Hill의 카시니 스케치를 붙여놓고 매일 최면을 걸고 있습니다..
  • 조강욱

    2009.09.03 18:03

    준오님 - 예별이가 같이 앉아서 달그림 그릴 날이 어서 왔으면 좋겠습니다.. ^-^
  • 이기수

    2009.09.04 02:15

    WOW!!!!!!!!

    이건 멉~니까~~ 번개도 안나오시더니 그사이에 스케치 비법전서라도 찾으신건가요.....

    정말 멋집니다.. 분화구 하나하나.. 감동입니다....

    짝! 짝! 짝!
    ..
    ..
    이렇게 멋진 달 스케치를 보는데...

    어째서 전 갑자기 어릴때 놀았던 비석치기가 생각이 날까요...

    어릴적 그 돌맹이랑 비슷하게 생겼다는... - ,. -


    아직 별쟁이 수양이 한참 덜 된것같습니다... 쑥과 마늘을 더 먹어야 될것 같네요 ==3=3
  • 정병호

    2009.09.04 18:53

    뒤에 대고 그리다니.
    반칙이오!
    ㅋㅋ
  • 김원준

    2009.09.05 04:47

    오~~ 엄청 잘 그리시네요. ~_~
  • 조강욱

    2009.09.05 07:39

    기수님 - JP정에 의하면.. 소 간을 먹어야 한다고 합니다.. ㅋ
    JP정의 말도 안 되는 관측 능력은 소 간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ㅡ_ㅡㅋ
  • 조강욱

    2009.09.05 07:42

    JP정 - 반칙이라도 할 수 없어 ㅋ
    스케치도 재미있자고 하는 건데.. 고통의 시간을 줄이고 효율을 높여야지..
    단 구도만 잡을 뿐 그 외의 99%의 표현은 보이는대로 하지.. ㅋ
    앞으로 딥스케치 할 때도 별은 뒤에 성도 대고 찍을 거삼.. ㅡ_ㅡㅋ;;;
    어짜피 위치야 정해진 거고, 안시로 보는 밝기와 모양만 정확하면 되는 게 아닐까?
  • 조강욱

    2009.09.05 07:43

    원준님 - 한 번 해보세요.. ㅎㅎ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090
  • 스케치
  • 썩소를 짓고 있는 얼굴 표정, 84 & 86 주위의 은하 9개 중에서 나는 M86 위의 눈썹인 NGC 4402를 가장 좋아한다. [ 7천만광년 저 편에서 썩소를 날리다 - 15인치 반사,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 조강욱 (2014) ] 뭐가 86번인지 4402인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
2018-09-23 02:04:43 / 2018-02-03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6013
  • 스케치
  • 눈을 사물에 고정시킨 채 그림을 그리는 기법 - 블라인드 컨투어 드로잉은 관찰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훈련법이지만 왠지 두려움이 느껴진다는 것이 천체스케치와 비슷합니다. 이번에는 그 심리적 장벽을 넘어보고 싶어서 월령 10일의 달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드로잉 ...
2016-09-20 02:26:47 조강욱 / 2016-09-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911
  • 스케치
  • 이번 추석에도 울산 미호리의 처가 전원주택에서 며칠간을 보낸다 슈퍼문인지 먼지 어짜피 보름달이라 큰 관심은 없지만 그래도 추석 보름달은 남다르지.. 초딩 1학년 조예별양 학교 숙제도 '보름달 보며 소원 빌고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얘기해주기'라서 초저녁부터 시...
2014-09-20 03:07:40 조강욱 / 2014-09-10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5813
  • 스케치
  • 관측기가 어디갔지? 그당시 내가 썼던 관측기록을 야간비행에서 찾아서 읽어보고 짜깁기 해서 연재글을 만들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M108번 관측기록이 나오지 않는다 그거 이상하네 내 스케치북과 포트폴리오를 다 꺼내서 펼쳐본다 설마... 설마... 내 10년간의 ...
2019-01-20 06:43:17 조강욱 / 2019-0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752
  • 스케치
  • 처녀자리 은하단의 가장 밝은 은하 M87. 87번에는 오래된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미국 아줌마가 24인치로 타원은하의 Jet을 알현하였다는 전설의 기록 말이다.. 우선 허블로 찍은 사진을 보자 (중국산 허블미러 말고.. 우주에서 일하던 그것) 무언가 엄청 그럴듯해 보이...
2018-02-11 06:17:26 / 2018-02-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33
  • 스케치
  • 별쟁이들은 별이 잘 보이는 곳에 갈 수만 있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군부대는, 그런 의미에서 아주 탐나는 장소다. 다들 그 곳에서 예전에 안 좋은 기억이 있음에도 말이다. 그와 동시에 군부대는 항상 불안한 곳이다. 언제든 쫓겨날 수 있는 곳이니.. 인제의...
2017-12-19 19:17:54 / 2017-12-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26
  • 스케치
  • 오리온이 밟고 있는(?) 토끼자리에 위치한 M79는 겨울 하늘의 유일한 구상성단이라는 희소성 치고는 존재감이 희박한 아이다. 가을철 하늘에서 보던 2번이나 5번에 비하면 너무 심심한 구상이기 때문이다. "에이.." 어느 가을날 밤, 여느 때처럼 2번과 5번을 보며 한참 ...
2017-12-01 12:14:59 / 2017-12-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00
  • 스케치
  • 원래 매스컴표 '행성직렬 우주쇼'에는 큰 관심이 없었는데.. 오늘의 달과 행성들은 너무 예쁘다 그 조합에 감탄하다가 집 마당에 서서 한 장 그려본다 한국보다 몇시간 먼저 보는 맛도 은근히 괜찮네! Nightwid 無雲
2017-02-11 04:17:46 조강욱 / 2017-0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306
  • 스케치
  • 별 보는 사람 중에 빙글빙글 돌아가는 나선은하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멋진 막대가 있는 막대나선이라면 더더욱.. 그런데 여기엔 커다란 함정이 있다 그 막대나선을 보려면 은하가 face-on(정면이 보이는 은하) 이어야 하는데, Face-on 은하는 Ed...
2018-01-31 19:54:35 반형준 / 2018-01-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046
  • 스케치
  • 처녀자리의 그 수많은 은하들은 별 특징 없이 그저 둥글거나 동그랗거나.. 대부분은 재미 없는 타원은하들이다 머리털자리의 멋진 아이들을 절반만이라도 닮았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M89 그 자체도 전혀 특별할 것이 없는 심심한 타원은하이다. 굳이 찾는다면 아주 밝은...
2018-03-05 04:51:27 / 2018-03-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58
  • 스케치
  • 밤하늘에서 M80이 느끼는 비애는, M28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전 우주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형 구상성단 옆의 평범하..지는 않은 구상성단. 22번을 보고 28번까지 가는 사람이 별로 없듯이.. 4번을 보고 80번까지 찾아보는 사람 역시 많지 않다. 나 또...
2017-12-14 05:54:17 / 2017-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06
  • 스케치
  • 그동안.. 몇년간 다음에 하겠다고 미뤄만 두던 101번을 그려야 할 순서가 되었다 정면 은하를, 그것도 대형 Face-on(정면 은하)을 잘 보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다음에.. 다음에 하며 계속 미뤄 두었었다. Messier 33번을 그리...
2018-10-12 12:44:04 / 2018-10-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96
  • 스케치
  • 저녁 무렵이 되면, 사무실 내 모니터 가장자리가 갑자기 붉게 물드는 순간이 있다 서산으로 지는 태양빛이 15층 빌딩 유리창을 넘어 모니터에 반사되는 것이다. 그 신호를 보고 서쪽 창가에 있는 우리층 창고에 들어서면 강남의 빌딩숲과 우면산을 배경으로 탁 트인 시...
2015-07-31 05:30:46 조강욱 / 2015-07-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53
  • 스케치
  • 2014년 1월. M82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난 한동안 X마려운 강아지처럼 안절부절하며 지냈다 아니 그게 뭐라고, 1200만년 전에 우주 저 편에서 별 하나 폭발한 것 뿐인데. 1054년에 게성운이 폭발했을 때도 가만히 있었으면서.. 그게 뭐라고 그렇게.. 마나님께서도 ...
2018-01-02 17:34:44 / 2018-01-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479
  • 스케치
  • 달, 달이란 나에게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에겐 어떤 의미일까? 관측의 훼방꾼. 대부분의 별쟁이에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언젠가부터, 아마도 별보러 나가는 횟수가 1년에 다섯번을 넘지 못하면서부터 서울에서 이른아침 출근 시간에, 늦은 퇴근길에 버스 안에...
2015-07-28 17:19:58 조강욱 / 2015-07-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47
  • 스케치
  • 뭐니뭐니해도 메시에 97번의 트레이드 마크는 뽕뽕 뚫린 눈알 두 개. 망원경으로 별을 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도 메시에 97번, 올빼미 성운의 커다란 두 눈은 잘 알려져 있다 (출처 : 구글 검색) 안시로는 어떨까? 사실 나는 97을 제대로 본 지가 너무 오래 되어서, 그 ...
2018-07-05 12:27:38 / 2018-07-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20
  • 스케치
  • 카시오페이아 주위는 진정한 별밭, 아니 성단 밭이다 비슷한 크기와 밝기의 산개성단들이 무수히 뿌려져 있다 (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위치도 어렵지 않은 M103과 NGC 457(ET)을 한참동안 헤메고 다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망원경 구경이 커질수록 멋진 대상(NGC 7789)...
2018-11-24 02:11:57 랜슬롯 / 2018-11-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4
  • 스케치
  • 밤하늘의 구상성단을 밝기 순으로 나열하다보면, 많은 대상이 남천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list 중 노란색이 남천 대상) 북반구 트로이카라 불리는 13번, 5번, 3번도 6~8위 권을 겨우 유지할 뿐이다 그리고 400여 개의 모든 구상성단 중 11위를 보면, ...
2018-04-08 06:38:55 / 2018-04-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2
  • 스케치
  • 1781년 4월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장발장이 조카들에게 주려고 빵을 훔치기도 15년 전에 메시에는 프랑스 천문학회 학회지에 낼 메시에 리스트를 정리하고 있었다 이미 M1번부터 M100번까지 100개 대상에 대한 관측 기록을 완성하고, 동료 관측자인 피에르 메케인(Pier...
2018-11-08 21:56:39 조강욱 / 2018-1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431
  • 스케치
  • 천체관측을 하다 보면 여성적인, 또는 남성적인 아우라를 뿜어내는 대상들이 있다 부드러운 성운기나 깨알 같은 잔별들을 보면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이 느껴지고 (M8, 조강욱 스케치) (M46, 조강욱 스케치) 반대로 위협적일 정도로 강렬한 구상성단이나 (NGC 104, 조강욱...
2018-12-31 04:26:51 / 2018-12-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