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Catena Krafft (Cardanus & Krafft) - 090805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12578, 2012-03-28 23:15:41(2009-08-05)
  • 늦은 퇴근길. 김남희님의 문의 문자를 받고 목성을 한 번 봤다가 간만에 구름이 안 낀 날이길래

    가볍게 간단히 스케치 한 장 하기로 한다

    보름이 되기 하루 전의 달..

    간만에 맑고 투명한 달을 보겠네.. 하고 멀 그릴까 하고 여기저기 투어를 하고 있으니 당연한 듯이 구름들이 스멀스멀 기어온다

    머 하늘 상태는 좋은 것 같으니.. 곧 지나가겠지.. 했는데

    초딩때 배운 새털구름 같은 구름들은 스케치가 끝날 때까지 농담의 차이만 있을 뿐 끊이지 않고 흘러갔다 ㅡ,ㅡ;;;

    뭐 시작한게 아까워서라도 해야지..

    달의 최동단 가장자리. 조금이라도 더 밀려났다면 지구인의 사랑을 받지 못했을.. 오지의 막장 크레이터들.. ㅡ_ㅡㅋㅋ

    북극 부근의 Pythagoras, 중앙부의 Hevelius, 약간 남쪽의 Darwin, 약간 북쪽의 Eddington 주위...

    우주선 착륙기지같은 다윈의 어둠이 가장 멋있는데,

    1시간 안에 다 그리기는 어려워보인다

    Hevelius는 구조는 재미있는데 크레이터가 얇아서 세밀한 농담 표현이 어렵다

    Pythagoras는 깔끔하긴 한데 Petavius와 비슷하고 좀 심심해 보이고..

    Eddington 아래쪽을 보니 코딱지만한 쌍둥이 크레이터 두 개가

    lunar terminator (달 edge 부분 명암 경계선)에 걸려 있는 것이 이채롭다


    Halold Hill의 스케치를 보니.. 헉!!

    달스케치 경력 50년의 무시무시한 할아버지가 10인치 반사 고배율로 그린 것과는 비교가 안 되겠지..

    여하튼 고수의 발자국을 쫓아가 본다..

    구름이 계속 지나가고 그 때문인지 시상도 안정되지 못하여 세밀한 구조를 관측하는 데 어려움이 느껴진다

    고작 80mm 가지고 10인치 반사로 보는 것을 다 볼 수는 없겠지만..

    어떤 것이 보일 것이라는 target을 정하고 표적 관측(ㅡ_ㅡ;;)을 하기로 한다

    Cardanus & Krafft 쌍둥이 형제의 관측 point는 'Catena Krafft' 라고 불리는 crater chain이다

    두 크레이터를 밧줄처럼 연결하는 길이 60km의 멋진 지형!


    Cardanus & Krafft, 그리고 Catena Krafft
    e_002.jpg

    워낙에 코딱지만한 크레이터 두 개에, 대구경에서나 보일 sub crater들이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

    좀 밋밋하긴 하지만 보이는 대로 그리기는 일전의 Clavius에 비하면 훨씬 수월하다Q

    그런데 딱 하나, Catena Krafft는 아무리 집중을 하고 봐도 보일듯 보일듯 쉽지가 않다

    스케치에는 상당히 선명하게 보이는 것처럼 그려 놨는데,

    실제로는 갖은 공력을 동원해야 겨우겨우 보이는 정도이다

    그렇다고 그림도 보일듯 말듯 하게 짜증나게 그려 놓으면 아무도 알아볼 수 없을 것이므로

    보이는 것보다 강조하여 그렸다.. 단 전체 그림 중 Catena 부분만..

    해외의 다른 관측 report를 검색해 봐도, Virtual Moon에서 권장하는 것도

    Catena Krafft는 최소구경 8인치 이상에서 볼 수 있는 구조이다

    80mm로는 그저 도전 대상에 이름을 올릴 수 밖에..

    Krafft 크레이터 좌하단에는 Seleucus로부터 뻗어나온 한줄기 희미한 광조가 뻗어 있다

    완벽한 어둠의 표현은.. 까만색 스테들러 색연필을 퇴출시키고.. 그냥 2B 연필로 그렸다

    훨~~씬.. 자연스럽네.. ㅡ_ㅡ;;

    근데 이 종이도 맨질맨질 하지는 않은 것 같다.  아무리 곱게 칠하려고 해도 종이의 질감이 그대로 드러난다


    스케치를 마치고, 거실로 돌아와서 Hill 할아버지의 스케치를 다시 본다

    또 한번..   헉!!!!!!



    아무리 경력과 장비가 차이가 있다지만.. 같은 애를 보고 그렸다고는 믿기지가 않는다.. ㅋ

    저 선명한 crater chain. 그리고 작은 크레이터들.. 그림자의 디테일, 깔끔하고 세련된 음영 표현..;;;


    아래는 같은 대상을 보고 스케치를 남긴 호주의 Harry Roberts라는 사람의 report이다

    http://www.coona-astro.org.au/articles/harry_roberts/catena_krafft.html

    다시 또 헉!!!

    Chain의 모양도.. 저런 다이내믹한 모습이었나..

    이 사람도 Hill 할아버지의 기록을 reference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Hill 할배는 엄청나게 훌륭하신 분임에는 틀림이 없다.. ㅋ


    나는 80mm니까..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만큼 다 했어.. 라고 위안을 해 봐도 마음이 편하진 않다

    그런데 실제로 저렇게 밖에는 안 보이는데 어쩌겠는가.. ㅎㅎ


    근래에 블로거들 사이에서 '닥치고 추천!'이란 말이 유행했었는데..

    별로 좋아하는 용어는 아니지만, 별나라에서는 '닥치고 구경!!!!'이라고 인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ㅋ;;;

    Morning terminator에서는 그림자가 어두운 쪽으로 넘어가서 안 그래도 밋밋한 애들이 더욱 썰렁해졌는데,

    Evening terminator에서는 멋진 그림자가 드리울 것을 기대해 본다.  (새벽이라 볼 수 있을까 ㅡ,ㅡ;;;)




                                      Nightwid 我心如星

댓글 14

  • 김남희

    2009.08.06 03:24

    아니!! 배뚜맨 초상화가.....
  • 조강욱

    2009.08.06 16:43

    ㅎㅎ 다시 보니 배뚜맨이 맞네요.. ^^;;;;
  • 인수

    2009.08.06 18:22

    Hill 할배 스케치...

    스케치 맞는거에요? 이건 뭐.. 사진보다 더 자세한거 같네 --;;;
    이정도면 스케치가 아니라, 정밀묘사.. 뎃셍.. 뭐 이런 수준인듯..

    진짜 대단하네요 ㅎㅎ
  • 조강욱

    2009.08.06 22:23

    꼭 똑같이 그릴 필요는 없겠지만, 그 훌륭한 테크닉들을 취사 선택해서 내 걸로 만들어야겠지.. ^^
  • 유혁

    2009.08.06 22:25

    여러 말 못할 사정으로 인하여.... ^^;; (그걸 깜빡했네요.... )

    저는... "닥치고 구경" 하겠습니다....

    그럼 앞으로는 댓글도 달면 안되는건가요...? ^^;;
  • 조강욱

    2009.08.07 02:43

    ㅎㅎㅎ '구경'에도 여러가지 의미가 있군요.. ^^;;
    말씀하신 의미의 '구경'에는 쉼없이 댓글 달고 참견하는 것도 의무사항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벌 조항에도 포함을 시킬까요? ㅡ_ㅡ;;;
  • 이준오

    2009.08.07 04:36

    천벌은 너므 세구요, 가볍게 구속으로 가죠?..ㅎㅎ (댓글 이제서야 달아 가까스로 천벌을 피하는군요..-.-;)
  • 조강욱

    2009.08.07 20:56

    움.. 구속이 더 가벼운 거 맞죠? ㅋ;;
  • 이기수

    2009.08.07 22:49

    ^^;;;

    화면으로 봐도 저정도면 직접 보면 더 대단하겠는데요..

    저도 스케치 한 번 도전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어디 집에 뽀로로 스케치북이 있나 찾아봐야 겠네요 ㅋㅋ
  • 문병화

    2009.08.08 03:24

    "닥치고 구경"을 순간적으로 "닥치고 구속"으로 보았네...
    도대체 내가 뭘보고 사는건지....
    괴기나 잡으러 가야지...
  • 조강욱

    2009.08.08 20:08

    이기수님 - 자기가 할 수 있는 만큼만 하면 되는 것이니 못 할것도 없습니다.. ^^;;
  • 조강욱

    2009.08.08 20:09

    병화형님 - 괴기 그만 잡고 언능 별나라로 돌아오세요.. ㅠ_ㅠ
  • 이기수

    2009.08.10 20:02

    어멍 ~ 어멍 !!!!

    사진이 바뀌었네요...

    질감이 살아나는게 강욱님 스케치북을 직접 보는 것 같군요.. @..@

    이젠 스캐너까정 업그레이드 하신 모양이네요.. 축하드립니당~

    또 하나의 원본 .... 잘 보고 갑니다 ^^
  • 조강욱

    2009.08.11 20:52

    스캐너 업글할 능력은 안 되고..
    좋은 스캐너를 동냥하였습니다.. ^^;;
    근데, 전용 스캐너를 사용하니.. 분위기가 정말 틀리네요..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091
  • 스케치
  • 썩소를 짓고 있는 얼굴 표정, 84 & 86 주위의 은하 9개 중에서 나는 M86 위의 눈썹인 NGC 4402를 가장 좋아한다. [ 7천만광년 저 편에서 썩소를 날리다 - 15인치 반사,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 조강욱 (2014) ] 뭐가 86번인지 4402인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
2018-09-23 02:04:43 / 2018-02-03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6013
  • 스케치
  • 눈을 사물에 고정시킨 채 그림을 그리는 기법 - 블라인드 컨투어 드로잉은 관찰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훈련법이지만 왠지 두려움이 느껴진다는 것이 천체스케치와 비슷합니다. 이번에는 그 심리적 장벽을 넘어보고 싶어서 월령 10일의 달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드로잉 ...
2016-09-20 02:26:47 조강욱 / 2016-09-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911
  • 스케치
  • 이번 추석에도 울산 미호리의 처가 전원주택에서 며칠간을 보낸다 슈퍼문인지 먼지 어짜피 보름달이라 큰 관심은 없지만 그래도 추석 보름달은 남다르지.. 초딩 1학년 조예별양 학교 숙제도 '보름달 보며 소원 빌고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얘기해주기'라서 초저녁부터 시...
2014-09-20 03:07:40 조강욱 / 2014-09-10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5814
  • 스케치
  • 관측기가 어디갔지? 그당시 내가 썼던 관측기록을 야간비행에서 찾아서 읽어보고 짜깁기 해서 연재글을 만들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M108번 관측기록이 나오지 않는다 그거 이상하네 내 스케치북과 포트폴리오를 다 꺼내서 펼쳐본다 설마... 설마... 내 10년간의 ...
2019-01-20 06:43:17 조강욱 / 2019-0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753
  • 스케치
  • 처녀자리 은하단의 가장 밝은 은하 M87. 87번에는 오래된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미국 아줌마가 24인치로 타원은하의 Jet을 알현하였다는 전설의 기록 말이다.. 우선 허블로 찍은 사진을 보자 (중국산 허블미러 말고.. 우주에서 일하던 그것) 무언가 엄청 그럴듯해 보이...
2018-02-11 06:17:26 / 2018-02-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33
  • 스케치
  • 별쟁이들은 별이 잘 보이는 곳에 갈 수만 있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군부대는, 그런 의미에서 아주 탐나는 장소다. 다들 그 곳에서 예전에 안 좋은 기억이 있음에도 말이다. 그와 동시에 군부대는 항상 불안한 곳이다. 언제든 쫓겨날 수 있는 곳이니.. 인제의...
2017-12-19 19:17:54 / 2017-12-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26
  • 스케치
  • 오리온이 밟고 있는(?) 토끼자리에 위치한 M79는 겨울 하늘의 유일한 구상성단이라는 희소성 치고는 존재감이 희박한 아이다. 가을철 하늘에서 보던 2번이나 5번에 비하면 너무 심심한 구상이기 때문이다. "에이.." 어느 가을날 밤, 여느 때처럼 2번과 5번을 보며 한참 ...
2017-12-01 12:14:59 / 2017-12-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00
  • 스케치
  • 원래 매스컴표 '행성직렬 우주쇼'에는 큰 관심이 없었는데.. 오늘의 달과 행성들은 너무 예쁘다 그 조합에 감탄하다가 집 마당에 서서 한 장 그려본다 한국보다 몇시간 먼저 보는 맛도 은근히 괜찮네! Nightwid 無雲
2017-02-11 04:17:46 조강욱 / 2017-0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306
  • 스케치
  • 별 보는 사람 중에 빙글빙글 돌아가는 나선은하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멋진 막대가 있는 막대나선이라면 더더욱.. 그런데 여기엔 커다란 함정이 있다 그 막대나선을 보려면 은하가 face-on(정면이 보이는 은하) 이어야 하는데, Face-on 은하는 Ed...
2018-01-31 19:54:35 반형준 / 2018-01-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048
  • 스케치
  • 처녀자리의 그 수많은 은하들은 별 특징 없이 그저 둥글거나 동그랗거나.. 대부분은 재미 없는 타원은하들이다 머리털자리의 멋진 아이들을 절반만이라도 닮았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M89 그 자체도 전혀 특별할 것이 없는 심심한 타원은하이다. 굳이 찾는다면 아주 밝은...
2018-03-05 04:51:27 / 2018-03-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58
  • 스케치
  • 밤하늘에서 M80이 느끼는 비애는, M28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전 우주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형 구상성단 옆의 평범하..지는 않은 구상성단. 22번을 보고 28번까지 가는 사람이 별로 없듯이.. 4번을 보고 80번까지 찾아보는 사람 역시 많지 않다. 나 또...
2017-12-14 05:54:17 / 2017-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09
  • 스케치
  • 그동안.. 몇년간 다음에 하겠다고 미뤄만 두던 101번을 그려야 할 순서가 되었다 정면 은하를, 그것도 대형 Face-on(정면 은하)을 잘 보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다음에.. 다음에 하며 계속 미뤄 두었었다. Messier 33번을 그리...
2018-10-12 12:44:04 / 2018-10-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96
  • 스케치
  • 저녁 무렵이 되면, 사무실 내 모니터 가장자리가 갑자기 붉게 물드는 순간이 있다 서산으로 지는 태양빛이 15층 빌딩 유리창을 넘어 모니터에 반사되는 것이다. 그 신호를 보고 서쪽 창가에 있는 우리층 창고에 들어서면 강남의 빌딩숲과 우면산을 배경으로 탁 트인 시...
2015-07-31 05:30:46 조강욱 / 2015-07-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59
  • 스케치
  • 2014년 1월. M82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난 한동안 X마려운 강아지처럼 안절부절하며 지냈다 아니 그게 뭐라고, 1200만년 전에 우주 저 편에서 별 하나 폭발한 것 뿐인데. 1054년에 게성운이 폭발했을 때도 가만히 있었으면서.. 그게 뭐라고 그렇게.. 마나님께서도 ...
2018-01-02 17:34:44 / 2018-01-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479
  • 스케치
  • 달, 달이란 나에게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에겐 어떤 의미일까? 관측의 훼방꾼. 대부분의 별쟁이에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언젠가부터, 아마도 별보러 나가는 횟수가 1년에 다섯번을 넘지 못하면서부터 서울에서 이른아침 출근 시간에, 늦은 퇴근길에 버스 안에...
2015-07-28 17:19:58 조강욱 / 2015-07-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47
  • 스케치
  • 뭐니뭐니해도 메시에 97번의 트레이드 마크는 뽕뽕 뚫린 눈알 두 개. 망원경으로 별을 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도 메시에 97번, 올빼미 성운의 커다란 두 눈은 잘 알려져 있다 (출처 : 구글 검색) 안시로는 어떨까? 사실 나는 97을 제대로 본 지가 너무 오래 되어서, 그 ...
2018-07-05 12:27:38 / 2018-07-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21
  • 스케치
  • 카시오페이아 주위는 진정한 별밭, 아니 성단 밭이다 비슷한 크기와 밝기의 산개성단들이 무수히 뿌려져 있다 (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위치도 어렵지 않은 M103과 NGC 457(ET)을 한참동안 헤메고 다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망원경 구경이 커질수록 멋진 대상(NGC 7789)...
2018-11-24 02:11:57 랜슬롯 / 2018-11-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9
  • 스케치
  • 1781년 4월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장발장이 조카들에게 주려고 빵을 훔치기도 15년 전에 메시에는 프랑스 천문학회 학회지에 낼 메시에 리스트를 정리하고 있었다 이미 M1번부터 M100번까지 100개 대상에 대한 관측 기록을 완성하고, 동료 관측자인 피에르 메케인(Pier...
2018-11-08 21:56:39 조강욱 / 2018-1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4
  • 스케치
  • 밤하늘의 구상성단을 밝기 순으로 나열하다보면, 많은 대상이 남천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list 중 노란색이 남천 대상) 북반구 트로이카라 불리는 13번, 5번, 3번도 6~8위 권을 겨우 유지할 뿐이다 그리고 400여 개의 모든 구상성단 중 11위를 보면, ...
2018-04-08 06:38:55 / 2018-04-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432
  • 스케치
  • 천체관측을 하다 보면 여성적인, 또는 남성적인 아우라를 뿜어내는 대상들이 있다 부드러운 성운기나 깨알 같은 잔별들을 보면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이 느껴지고 (M8, 조강욱 스케치) (M46, 조강욱 스케치) 반대로 위협적일 정도로 강렬한 구상성단이나 (NGC 104, 조강욱...
2018-12-31 04:26:51 / 2018-12-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