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석양의 Petavius - 090709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20778, 2012-03-28 23:18:36(2009-07-11)
  • 낮에는 온 세상 것들을 쓸어가려는 듯이 폭우가 퍼부었다

    사무실에서 밥집까지 우산 쓰고 고작 20m를 이동하는데도 옷이 흠뻑 젖었다

    이렇게 무섭게 비가 쏟아지던 적이 있었나?

    물론 많이 있었겠지만..

    비 많이 오는 것은 별 많이 보는 것처럼 인상적인 일이 아니므로 기억에 남아있지 않다

    저녁 9시쯤 회사를 나서니, 새벽부터 내리던 비가 거의 그쳤다

    10시, 버스를 타고 집 앞에 내려서 하늘을 보니 놀랍기 그지없다

    그렇게 무섭게 비가 쏟아부었는데.. 이 별들은 또 머냐.

    비가 언제 가장 많이 왔었는지는 전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서울 우리집(길음동)에서 이렇게 별이 밝게 보이는 것은 96년 8월 이후로 처음이다

    (습기가 많아서 그렇겠지만) 눈부시게 반짝반짝 빛나는 일등성들.. 선명한 별자리들...

    마침 예별이 때문에 예별할머니가 집앞에 오셔서,

    생전 별보는 것과는 관계가 없던 어머니께 북쪽 하늘에 길게 서 있는 국자를 한 번 보시라고

    손으로 방향을 가리켜 드렸더니

    "어머나! 북두칠성이네!" 한 방에 알아보신다

    오늘 달이 보일까?

    보름 지났으니 늦게 뜰테니 안 보이겠지....

    (내가 늦게 퇴근하는 것은 생각도 안 하고.. ㅡ_ㅡ;;;)

    집에 도착해서 베란다를 보니

    동쪽 개운산 위가 써치라이트를 켠 것처럼 무지무지 밝은 게.. 먼가 하고 보니

    바로.. 달이었다.  달이 떠오른 것.


    OK!

    예별이 잘때 쯤이면 보기 좋은 고도로 올라오겠구나.

    밤 11시. 베란다에 달용이를 세팅하고

    예별이꺼 뽀로로 공부상을 빌려서 스케치 준비를 한다

    마님이 내 첫 스케치가 생각보다 괜찮으셨는지 새 스케치북과 키티 연필깎이를 하사하셨다.. ㅋ

    보름에서 이틀 정도 지난 달. 처음 본다

    가장 인상깊은 지형은 Mare Crisium.  


    전체적인 모습이 불국사 석굴암 부처님 조각상의 헤어 스타일과 비슷하게 생긴 것이

    무지 이국적이다.  아니 어짜피 여기는 다른 세상인데 異國이란 표현은 이상하다

    異月적이라고 해야 하나 ㅋ

    저걸 어떻게 다 그려..  Pass!

    석양이 비치는 월면에 4개의 crater가 가장 선명하게 보인다

    Langrenus, Vendelius, Petavius, Furnerius
      

    음.. Petavius 크레이터 안에 높은 산이 멋있다.. 얘로 결정!!


    이번엔 스케치를 하기 전에 우선 사진을 한 번 보기로한다

    혹시라도 관측 point를 놓칠까봐..

    Petavius는 크레이터 벽이 여러 개의 단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걸 어떻게 표현할까..

    중앙부의 높은 산은?

    작고 깊고 아주 밝은 크레이터는?

    완전한 어둠이 덮친 곳은 어떻게?

    우선은.. 그저 내 연필을 믿고, 보이는 대로.. 내 skill로 표현할 수 있는 만큼까지만 해보자



    e_001.jpg

    항상 Nada의 사진을 감상하면서 의아하게 생각했던 것이,

    기가 막히게 멋진 사진을 찍어 놓고도 사진 설명에는 '어디어디 초점이 맞지 않았습니다'

    '무슨 처리가 잘못 되었습니다' 이런 단점만 적어 놓는다는 것이다

    왜 이렇게 다들 겸손하실까..

    굳이 없는 단점을 찾아서 공개하지 않아도 전혀 문제 없을텐데..

    몇년간 풀리지 않던 의문이, 내가 스케치를 하고 결과물을 web에 올려보니 이제 알겠다

    누가 무슨 얘기를 하던, 나는 내가 만든 저작물의 단점만 보인다

    난 겸손한 사람도 아닌데.. ㅋ

    스케치 전 Petavius 사진을 보고 가장 인상깊었던 구조는 크레이터 내의 높은 산봉우리와,

    그 산의 한 줄기에서 크레이터 벽까지 이어지는 한 줄기 밝고 선명한 rille(열구) 구조.

    근데, 아무리해도 그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Rille of Petavius


    Nada 윤홍선님 사진
    http://astronet.co.kr/cgi-bin/zboard.php?id=gallery_solar&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petavius&&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531


    페타비우스에 해가 높이 떠 있을 때만 보이는 구조인가..

    Nada에도, 구글에도 석양의 페타비우스 사진은 나와 있지 않아서 아직 진실을 확인하지 못했다




    Halold hill의 스케치를 보면 밝고 어두운 명암의 대비가 정말로 극적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연필로 그런 깊고 완벽한 어둠을 표현할 수 있을까?

    그걸 흉내내 보고자 스케치북에 구멍나기 직전까지 까만 칠을 했는데

    적막한 어둠을 표현하려 애쓴 것에 비해서는 결과가 너무 어설프다

    깊은 그림자의 표현, 극적인 강조.  많이 그리다 보면 나아지겠지..


    인터넷에서 페타비우스 스케치를 하나 찾았다.  무려 12인치로....

    http://www.whiteoaks.com/sketches/petavius.html

    잔뜩 기대하고 봤는데 이게 머냐.. 너무 성의 없잖아 =_=;;;




    간밤의 결과물은 심플하지만.. 작업 시간은 두시간이 넘게 걸렸다.

    다 그린 것 같으면 하나가 더 보이고..

    그걸 그리려다 보면 이미 그린 구조와 비례가 안 맞아서 애써 그린 부분을 지우고 다시 그리고..

    요령이 생기면 시간도 좀 단축이 되겠지.. =_=;;



    더 어둡게.. 어둡게..   더 밝게.. 더 세밀하게... 보이는 그대로.. 어렵다.  하면 할 수록 더 어려워질 것 같다




    Nightwid 我心如星

댓글 7

  • 이준오

    2009.07.11 07:13

    12"로 그린 스케치보다 3" 달용이로 그린 스케치가 훨씬~ 더 멋집니다. (사실 비교가 안되는군요, 어디 감히 강욱님의 스케치하고..^^;)
    그런데...여기는 어제 밤새 비와서 달은 구경도 못해씀다.

    글고 이젠 달 뜨면 이거 달용이로 보며 스케치하랴~, 그러다 달 지면 출똥~해 딮슥하이 관측하랴~, 그거 관측후기 쓰랴~,
    또 비장의 Nightwid 도전목록 만들랴~, 잊지않고 매수팔 출석하랴~, 틈틈이 쟌차로 몸짱만들랴~, 글고 젤로 중요한 예별이 보랴~ ...
    정말 그 누구보다도 바쁘게 사셔야 할 듯..ㅎㅎ
  • 김경싟

    2009.07.11 23:18

    아~
    난 오늘 과천 현대미술관에 자전거 타고가서 그림 그려야 겠다.
    무지한 자극인걸?
  • 조강욱

    2009.07.12 14:54

    준오님 - 지적해주신 대로.. 안그래도 회사일로 바쁜데 새로 시작한 별짓 때문에 요즘 너무 바쁩니다 ㅠ_ㅠ
    그래서, 별보기는.. 딥슥하이 관측 후기도.. 모두 그림으로 대체하려고 합니다
    너무 길게 쓰면 내가 나중에 보기도 어렵고..
    무엇보다 백문이 불여일견.. 그림 한 장이 훨씬 더 낫고,
    또 앞으로 관측 시에는 하루에 수십개씩 보는 것은 불가능 할 듯 합니다.. ㅋ;;
  • 조강욱

    2009.07.12 14:55

    싟형님 - 현대미술관에서 실습도 할 수 있어요?
    가까우면 나도 가서 데생 좀 배우면 좋은데.. ^^;;
  • 유혁

    2009.07.13 20:43

    멋진데요. 지난 번 스케치하고는 분위기가 또 다른 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JP정 선생께서는 여지껏 스케치에 대해 아무런 말씀도 없으신지.... 궁금합니다.

    토,일요일 양일간 자전거를 타신 후유증으로 고생하고 계신가요?


  • 조강욱

    2009.07.13 22:04

    유혁님 - JP정은 2.3 타고서 직진하러 다니느라 바쁠 거에요.. ㅎㅎ
    걸어서도 가고 싶지 않은데 대체 그걸 타고 힘들게 산에는 왜 가는지.. ㅡ_ㅡㅋㅋㅋㅋ
    별이 나오나 망원경이 나오나~~~~~
  • 김경싟

    2009.07.14 04:31

    현대미술관에서 실습하는 것이 아니고,
    그냥 그림 감상하고
    편안한 곳에 털썩 주저앉아 그림 그린다는 것이지^^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14
  • 스케치
  • 하늘에 57 같은 아이가 또 있을까? 망원경이 크던작던 서울이던 시골이던 초보라도 고수라도 맑던 흐리던 천정인지 지평선인지 아무 관계 없이 57번 고리성운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온전히 모두 내어준다 (이 봉사는 11번이나 42번의 그것과는 또 다르다) 그리고 ...
2017-02-17 04:31:14 / 2017-02-17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1586
  • 스케치
  • 두 달전에 관측했던 지역인데, 잘 된 작품이라 생각되어 여기 올림니다. ........알키메데스 화구에서 플라토 화구 쪽으로 쭉 올라가면 지평선과 만나는 장소임니다. 화면의 큰 분화구는 지름 6-70 킬로미터 돼 보임니다. 암흑의 어둠속에 양광을 받아 반짝거리는 아주 ...
2013-04-08 23:57:32 / 2011-01-20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1576
  • 스케치
  • 1년이 다되어 가는 지난작품인데, 달남부 쉴러, 클라비우스의 지평선 지역임니다. 척 봤을때, 동남아 국가의 불탑 같이 느껴지는 풍경이었음니다. 120km 구간의 디테일이 도저히 3-4시간에 그려낼수없이 방대하여, 개략적으로 그렸음니다. 따라서, A급 스케치가 되지못...
2013-04-08 21:24:30 이한솔 / 2012-1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569
  • 스케치
  • 14번을 찾아가는 길은 쉽지 않다 1년에 한 번(메시에마라톤) 밖에 찾지 않아서 이기도 하고 호핑 루트에 밝은 별이나 특징적인 별무리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흠 그럼 보이는 모습은? 그렇게 대충 봐서 기억이 날 리가 없지 2014년 여름휴가는 횡성의 천문인마을에서 ...
2016-09-14 07:48:09 조강욱 / 2016-09-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74
  • 스케치
  • 2009년 가을 어느날의 천문인마을은 너무나도 맑았다 그리고 지난번 글에서 떠든 주변시도 필요 없이 굵은 나선팔들이 너무 쉽게 휙휙 돌았다 언제 다시 이런 33번을 또 볼 수 있을까 하나 문제는, 내 실력이 그 나선팔을 표현할 정도가 아직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나...
2016-12-05 13:43:51 조강욱 / 2016-1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55
  • 스케치
  • 북반구 중위도에 사는 관측자에게 M13은 특별한 존재이다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보기 좋은 구상성단’이기 때문이다. 과연 진짜로 그럴까? 전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구상성단부터 순서를 매겨 보자. 13번의 위치는 Top 5에도 들지 못하고 겨우 7번째에 이름을 올리고 ...
2016-09-08 05:11:55 조강욱 / 2016-09-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40
  • 스케치
  • 안시로, 또는 사진으로 메시에 전 대상을 관측한 사람은 꽤 많다 하지만 M59가 어떻게 생겼는지 기억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스케치를 한 나조차도 메시에 마라톤 순서인 "T2 옆에 58-59-60" 밖에 기억이 나지 않아서 내 스케치를 다시 찾아보았다 작은 솜뭉치. ...
2017-02-28 04:18:48 / 2017-02-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34
  • 스케치
  • 별에 미쳐서 공부도 안 하고 산과 들을 떠돌다가 선동렬 방어율 수준의 학점을 받아들고 남들보다 빨리 군입대를 하게 되었다 논산 훈련소에서 박박 기고 있을 때도 한달 뒤면 최전방에서 엄청난 은하수를 볼 꿈에 부풀어 있었는데 자대에 도착해보니.. 그곳은 용산 전...
2016-11-11 15:19:16 / 2016-11-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02
  • 스케치
  • Leo Triple의 스케치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거의 1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2013년 6월에 보현산 주차장에서 그리다가 구름 때문에 완성을 보지 못한 것을 10개월이나 지나서 벗고개에서 다시 본 것이다 물론, 그 긴 시간동안 세 은하들에선 아무 일도 없었다 그 주변의 별...
2017-04-14 04:57:50 / 2017-04-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74
  • 스케치
  • 나는 아이피스 안에 여러 대상이 같이 보이는 것, 적어도 근처에 무언가 다양한 것들이 많이 모여 있는 것들을 좋아한다 그래서 밤하늘의 여러가지 커플들을 감상하는 것을 즐기는데, 염소자리 위쪽의 72 & 73은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볼품없는 커플일 것이다 73번...
2017-07-17 05:59:47 / 2017-07-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73
  • 스케치
  • 오랫동안 메시에 스케치 연재를 올리지 못했다 다양하게 일을 벌리고서 허덕이며 근근히 수습하는 것을 즐기는 성격상 어쩔 수 없는 공백이었지만 이것도 벌린 일이니 수습해야지! 공허한 봄철 하늘에서도 남쪽 하늘은 더욱 심심하다 거기엔 하늘에서 가장 큰 (또는 긴)...
2017-07-10 04:40:36 조강욱 / 2017-05-2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21
  • 스케치
  • 하늘에는 자리 잘못 잡아서 손해 보는 애들이 있다. 메시에 중에도 말이다 13번 옆의 92번, 57번 옆의 56번 같은 애들.. 그리고 17번 옆의 18번도 마찬가지다 (아래 사진의 중앙 좌측은 17번, 오른쪽의 조금 밝은 별들이 모여 있는 애들이 18번이다 출처 : http://sweag...
2016-09-20 02:28:40 조강욱 / 2016-09-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280
  • 스케치
  • 73번은 40번과 함께 가장 어이없는 메시에 대상이다 40번은 이중성이니 나름 Deep-sky라고 해줄 만도 한데.. 73번은 대체 뭔가. 그냥 별 4개 모여있는 Asterism(별무리)인데 말이다 이정도 모양은 아이피스 안에서 하늘만 몇 번 휘휘 저어도 수십 개는 찾을 수 있다 178...
2017-07-19 12:26:05 관심은하 / 2017-07-18
thumbnail
  • 임광배 조회 수: 11263
  • 스케치
  • 안녕하십니까, 임광배입니다. 그동안 집안일로 통~ 관측을 못하다가 일요일 밤 잠깐 시간이 되어 멀리 나가지도 못하고, 집 근처에서 갈증을 달랬습니다. (이한솔님 김남희님 연락 주셨었는데 정신없어 대답도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예전부터 꼭 그려보고 싶었던 산...
2013-06-11 23:09:14 / 2013-06-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223
  • 스케치
  • M46 바로 옆에 있는 47번은 46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은은하게, 그러나 절묘한 collaboration을 보이는 46번과 달리 M47은 남쪽 지평선 가까이에서도 당당하고 화려한 위용을 과시한다 성운기를 품은 큰 별들과 자잘한 별들의 멋진 조화. 47번은 그 자체로 아...
2017-01-06 14:27:15 / 2017-0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137
  • 스케치
  • 뱀주인자리 정중앙에는 10번과 12번이 위치하고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별만 드문 것이 아니라 인적도 드물지만 말이다 문제 : 뱀주인이 매력이 없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다음 중 맞는 것을 고르시오 ( ) 1. 비슷비슷하게 생긴 구상성단들만 모여 있어서 2. 호핑...
2016-09-08 05:12:46 조강욱 / 2016-09-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132
  • 스케치
  • 87과 58을 그린 페이지 밑에 59와 60을 나누어 담으려 하니 아니 얘들이 한 시야에 보이네.. 사랑해요 에토스 ♡ 이미 그려놓은 4분할 바둑판의 아래쪽 세로선을 지우고 길게 구도를 잡아본다 60번은 4647과 함께 멋진 커플을 이룬다 '멋지다'는 것은 상당히 주관적인 개...
2017-03-04 05:52:00 / 2017-03-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019
  • 스케치
  • 관측 기록은 아래 링크 참조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2948 [M42&43] [Description] 33번과 마찬가지로.... 내가 가진 능력의 100% 이상을 발휘하여 스케치를 했건만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 대상입니다 과연 이 모습이 오리온 대성운의 ...
2012-03-28 22:40:18 / 2010-02-18
thumbnail
  • 임광배 조회 수: 11003
  • 스케치
  • 안녕하십니까, 임광배입니다. 새롭게 집에들인 옵세션의 트러스트 고도에 따른 광축이동에 대해 문의드렸다가, 최형주 선생님께 아직 First light도 하지 않았냐는 말씀에 뜨끔하여 어제 회사퇴근 후에, 와이프님께 재가를 받고 양평 벗고개를 다녀왔습니다. 아주 좋은 ...
2013-04-08 21:23:00 윈드복서 / 2013-04-01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0994
  • 스케치
  • 오랜만에 스케치북에 연필을 잡아보았음니다. 신작 13인치 굴절의 렌즈가 만족스러워, 갑자기 그간 중단한 스케치가 막 하고싶어짐니다. 그러나, 13은 좀 쉬고[급히 밥먹으면 체할라] 오늘 저녁은 8굴절의 운전석에 앉았음니다. 40분간 관측및 스케치...... 야간비행에 ...
2014-01-06 05:34:23 김병수(양평) / 2013-12-1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