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Gassendi, Schroter - 090704 [스케치]
  • 조강욱
    조회 수: 20034, 2012-03-28 23:23:57(2009-07-06)
  • 7월 4일 토요일 저녁, 도구를 가지고 밤하늘을 쳐다본지 만 16년 만에,

    연필 한자루를 들고 처음으로 천체 스케치를 했습니다

    애기 재우고.. 베란다에 나갔더니 구름이 왔다갔다 하는 하늘에 월령 11일짜리 달이

    가장 보기 좋은 위치 보기 좋은 각도에 떠 있어서..

    예별이 스케치북을 몰래 빌려서 ㅡ_ㅡ;; 한 번 그려 보기로 합니다

    멀 그릴까.. 이미 만월에 가까워지는 상황이라

    멋진 구조들은 많이 보이지 않는 상태.

    어떤게 가장 그려보기 쉬울까. 일출은 약간 지났지만 가센디가 가장 잼있을 거 같다

    달용이로 최고 배율(129배)로 올려도, 아이피스 안의 가센디는 1cm도 되지 않는다

    이걸 똑같은 크기로 그려야 하나? 아닐거야..

    그릴 수 있을만한 최대 크기로 구도를 잡는다

    40여분 뒤....

    다 그렸다!!!!!     내 첫 스케치.........................

    그림의 quality와 상관 없이, 말로 표현할 수 없이 감동적이다

    그만 할까... 하다가 하나만 더 해 보기로 한다

    달에서 가장 역동적인 구조는 일출 직후, 일몰 직전의 대상들이다

    Halold hill도 그런 언급을 했었고..

    깊은 그림자와 명암 대비로, 평상시에 볼 수 없는 구조들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외면하려고 해도, 그만 좀 걸리적거리라고 해도

    슈뢰터 계곡만 계속 눈에 들어온다

    용암으로 채워진 가센디는 크레이터가 깊지 않아 그리기라도 쉽지.. ㅡ_ㅡ;;;

    크레이터의 깊은 음영과 실처럼 이어진 계곡을 어떻게 묘사하나..

    자고로,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했다

    전직 미술학원 원장이셨던 처가의 막내고모님의 조언이 번쩍 하고 머리를 스친다

    "아무리 어려운 대상이라도 분할하고 또 분할하면 그릴 수 있는 거야" (2009.6.28 말씀)

    눈에 보이는 대로 Herodotus, Aristarchus, Schroter 계곡 부분으로 나누고..

    끊임없이 4B 연필을 움직인다

    그림 하나를 완성하려면 몇 번의 붓질 아니 연필질을 해야 하는걸까.

    계속 보다보니, 생각도 안 하던 구조들이 계속 떠오른다

    Abell 1367 볼 때 숨어있던 은하들이 하나씩 떠오르는 것보다 훨씬 빠르다.   밝으니까....

    그걸 다 그리다간 해 뜰 때까지 다 못 그릴 거 같아서,  또 skill의 한계로 일정부분 포기하기로 한다..

    아이피스를 한참 보면서 비례와 명암을 생각하고,

    스케치북에 선 하나를 긋는다

    이 과정을 무한 반복하려니 시간이 무한정으로 걸린다

    슈뢰터 스케치 1시간 25분째,  아직도 눈에 보이는 것을 100% 표현하지 못했다

    그런데, 힘도 들고 그림 실력이 안 되어 더이상은 못 하겠다

    이제 그만!

    밤샘 관측을 한 것처럼 피곤하고 뿌듯하다



    선입견이 생길까봐 스케치 중에 사진을 일부러 보지 않았다

    스케치를 마치고 사진들을 검색해 보니, 내가 본 모습과 틀린 부분이 여럿 발견된다


    우선 가센디.

    얘는 얕은 크레이터 위를 지나가는 금 간것 같은 표면 구조로 유명한 앤데..

    내 스케치에는 그 금간 길이 흔적만 표시되어 있다.

    15만원짜리 망경으로는 그렇게밖에 보이지 않는 것을 어찌 하리오.. ㅎㅎ


    슈뢰터 계곡은, 스케치를 하면서도 먼가 이상하다.. 생각했는데,

    사진을 보니 알겠다.  분명 이 계곡은 두줄기로 갈라지는 앤데, 내 그림에는 한줄기만 흘러가고 있다

    나머지 한 줄기가 있을 곳에는 낮은 산의 모습이..

    이 산 아래에는 계곡이 흐르고 있겠지.. 일출 중이라 계곡 바닥까지 아직 태양이 비치지 못했나보다



    아래는 내 첫 스케치인 가센디와 슈뢰터 계곡의 스캔본이다

    이걸 공개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하다가..

    올려 놔야 내게 더 자극이 될 것 같아 부끄럽지만 올려 보기로 한다.. ㅡ_ㅡ;;;;


    그리고 참고 자료로, 비슷한 태양 각도로 보이는 NADA 그림을 링크하였습니다..

    거노리 형님과 남기현 님께 사전 허락은 받지 못했는데, 링크 정도는 괜찮겠죠? ^-^;;

    많은 지도편달 바랍니다.



    Gassendi

    090704_gassendi.jpg


    거노리 형님 사진
    http://www.astronet.co.kr/cgi-bin/zboard.php?id=gallery_solar&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gassendi&&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81




    Vallis Schroter




    남기현님 사진
    http://www.astronet.co.kr/cgi-bin/zboard.php?id=gallery_solar&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슈뢰터&&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041



    Nightwid 我心如星

댓글 14

  • 유혁

    2009.07.07 00:22

    대단합니다.

    최종 결과물에 대한 예상을 나름 해보다가.... 쭉 아래로 스크롤을 했는데...

    정말 예상을 뛰어넘는 훌륭한 결과물이 있더군요.... ^^;;

    그나저나 이런 스케치 몇장을 모자이크를 해야 전체 달 스케치가 완성될 수 있을까요?

    기대해보겠습니다.... ^^;;
  • 이준오

    2009.07.07 02:53

    강욱님의 첫 스케치...!!! 정말 말로 표현할 수 없이 감동적이라 하는 표현에 동감합니다.

    멋져요~, 이거 시작은 미약했지만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 그런 말이 새삼 느껴지도록 끝까지 밀고나가 위대한 작품을 하나 만들어보세요..^^*
  • 조강욱

    2009.07.07 03:50

    유혁님 - 달은 태양이 비추는 방향에 따라서 보이는 모습이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백장을 그려도 다 다른 모습이 나오지 않을까요.. ㅎㅎ
  • 조강욱

    2009.07.07 03:51

    준오님 - 위대한 작품.. 꼭 만들어야죠 ㅋ
  • 김경싟

    2009.07.07 03:53

    정말 잘 그렸죠?

    딱 느낌이 옵니다.
    달의 황량하면서도 촉촉한 느낌이...

    멋진 그림 계속 선보이시게나....
    첫작품
    축하해~
  • 유혁

    2009.07.07 04:22

    조강욱님... 대단하시네요...!!!!

    각 월령별로 하나하나.... 모자이크를 하실 생각까지 하시다니... 대단하십니다....^^;;....

    완성되면, 정말 기네스북에 오를만한 역작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어쨌든, 훌륭한 스케치 잘 봤습니다.... 그게 하고싶은 말의 요점이죠..^^;;
  • 조강욱

    2009.07.07 07:49

    싟형님 - 몇년동안 말로만 떠들던 '그 일'을 해 보니 너무 후련하고, 또 앞길이 너무 멀어요
    '별보기'라는 일은 이제 취미생활의 범주를 넘어서는,,
    어렵고 힘들지만 내가 꼭 극복하고 넘어야 하는 아주 까마득히 높은 산과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조강욱

    2009.07.07 07:51

    유혁님 - 왜 자꾸 몰아가고 그러세요.. ㅎㅎ;;
    ㅎㅅㅎㅇ와 함께라면 또 모르겠지만.. ㅋ
  • 이준오

    2009.07.07 08:23

    원래 예술을 하다보믄 배고픔속에서 명작이 나온다 하지만....

    제 생각에도 요즘은 세상이 좋아져 H. S. H. W 정도는 필수라 생각합니다..ㅋ

    [역주; H.S.H.W는 Hoeng Sseong HanWoo의 그 줄임말로써 딮~슥하이를 하는 사람이나 ★ 스케치를 하는 사람에게...
    밤샘 관측으로 인한 체력저하 및 그 피로, 또한 밤이슬에 흠뻑 젖어버린 몸과 마음에 사막의 오아시스처럼 필수적인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물품으로..
    그 결정적 쇠테(!)는 천문인 먈에 거주하는 자폐정이라는 분이 가지고 있다 함.]

  • 정병호

    2009.07.07 18:57

    사방이 적이야... 음...
    글고.
    방향 표시가 없는건 스케치가 아니오~~~!!!!
    ㅋㅋㅋ
  • 조강욱

    2009.07.08 03:03

    준오님 - 키를 쥐고 있는 그 오빠는.. 요즘에 자전거를 열씨미 타고 있으니,
    자전거대회 상금이 언제 나오는지 일정을 확인하는 게 가장 빠르겠습니다 ㅋ
  • 조강욱

    2009.07.08 03:03

    자폐정 - 방향표시.. 땡쓰.. ㅋ
  • 이민정

    2009.07.08 06:08

    짝짝짝..멋집니다.
  • 조강욱

    2009.07.08 19:46

    민정언니 - 왜이리 바뻐.. 얼굴 좀 보여주삼 ㅋ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134
  • 스케치
  • 뱀주인자리 정중앙에는 10번과 12번이 위치하고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별만 드문 것이 아니라 인적도 드물지만 말이다 문제 : 뱀주인이 매력이 없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다음 중 맞는 것을 고르시오 ( ) 1. 비슷비슷하게 생긴 구상성단들만 모여 있어서 2. 호핑...
2016-09-08 05:12:46 조강욱 / 2016-09-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127
  • 스케치
  • M11은 35번과 함께 메시에 산개성단 중에서 가장 화려한 아이다 호핑 위치마저 쉬워서 초보든 고수든 가릴것 없이 여름밤 관측지에 도착하면 망원경을 세팅하고 11번을 스윽 잡고 "우와!" 감탄사 한 번 날려주는 것부터 오늘의 관측을 시작하는 것이 대부분의 별쟁이들...
2016-09-08 05:21:20 조강욱 / 2016-08-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193
  • 스케치
  • 10번은 뱀주인자리 5형제(비록 노잼 5형제지만) 중의 맏형이다. 북천 트로이카 13번, 5번, 3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아이지만 말이다 그렇다 해도 볼 것이 없는 것은 아니다 모든 구상성단은 저마다의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그 중 10번은 구상 중에서도 참 ...
2016-09-08 05:25:37 조강욱 / 2016-08-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40
  • 스케치
  • 원래 계획은 메시에 110개 스케치를 모두 완성한 다음 날부터 칼럼 연재를 시작하려 했는데, 별 이유 없이 차일피일 미루게 된 것은 M9번 때문이었다 흠 그래 1번은 1054년 얘기 쓰고 2번은 꽃게 쓰고 3번은 고속도로 4번은 하트... 하다 보니.. 9번은 뭘 쓰지? 쓸 말이...
2016-08-30 07:49:18 조강욱 / 2016-08-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975
  • 스케치
  • 석호가 대체 무얼까? 20년이 넘도록 말하고 들어왔던 그 용어, 석호성운. 그게 대체 무언지 너무나 궁금해졌다 결국 네이버에서 한참을 뒤져서 겨우 대충 이해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경포대 앞의 경포호가 대표적인 석호인데, 원래는 해안선의 일부였으나 해안에 퇴적...
2016-08-27 09:16:26 / 2016-08-27
thumbnail
  • 정병호 조회 수: 9885
  • 스케치
  • 2003년에 그린 것들입니다. 조자폐님의 스케치를 보고 생각이 나서 올립니다. 셋 다 3시간 반 정도 걸렸습니다. M7 은 그리면서도 좀 문제 있다 생각했는데, 고치자니 너무 방대한 작업이 되겠길래 그냥... ㅎㅎ 스케치 하는 사람의 자세가 아니에요 ㅋㅋ
2016-08-30 07:55:00 조강욱 / 2016-08-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046
  • 스케치
  • M7은 기원전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온 유서 깊은, 밝은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육안으로 보이는 모습은 항상 아쉬움만 자아낼 뿐.. 원래 어떻게까지 보여야 할지 알기 때문이다. 아는게 병일까.. 7번은 적위 -34.5도로 메시에 110개 대상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대상이...
2016-08-25 19:44:30 / 2016-08-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590
  • 스케치
  • 나에게는 6번, 7번과의 강렬한 첫 만남의 기억이 있다 벌써 햇수로 20년 전, 서울의 내 방에 누워 있어도 창문 유리를 통과하여 헤일밥이 보이던 시절이었다 그 혜성이 절정기를 보내던 1997년 4월, 나는 학교 수업도 제대로 듣지 않고 매일 헤일밥 보러 다닐 생각만 했...
2016-08-30 07:59:13 조강욱 / 2016-08-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45
  • 스케치
  • 음악을 사랑하시는 한솔형님께 여쭈어 보았다. 들으면 별이 생각나는 음악이 있는지? 질문과 동시에 얻은 답은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이었다 바로 집에서 브란덴부르크 5번 연주 동영상을 찾아서 들어본다. 나는 어떤 별이 생각날지.. 5번 1악장 후반부, 피...
2016-08-30 09:34:39 관심은하 / 2016-08-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0494
  • 스케치
  • 4번은 메시에 구상성단 중 가장 헤픈 아이일지도 모른다 그냥 막 다 보여주는 놈이기 때문이다 (밤하늘의 성자, 구상 계의 57번이라고 할까?) 우리가 너무 잘 보인다고 달을 홀대하는 것처럼, 우리는 M4를 잘 뜯어보려는 노력 또한 잘 하지 않는다 그저 성단 중심부의 ...
2016-08-23 06:51:48 조강욱 / 2016-08-2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