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예순세 번째 예순네 번째 스케치(M65, M66) [스케치]
  • 조회 수: 35, 2024-03-25 22:29:21(2024-03-25)
  • 예순세 번째 예순네 번째 스케치(M65, M66)



    314,

    평일이지만 아마도 3월의 마지막 관측이 되지 않을까 하여 몇 분과 마침 시간이 맞아 홍천으로 향했다.

    하늘은 구름 한 점 없는데 조금 아쉽다.

    하지만 10인치 돕으로, 마음 비우고 그리는 메시에 스케치는 그리 문제 되지 않을 듯하였다.

     

     

    예순세 번째 스케치 (M65, NGC3623, Leo Triplets)

     

     

    - 사자자리 내에 나선형 은하

    - +9.16, 7.6 x 2.0 arcmin, 13 메가파섹, 4,200 만광년, Galaxy Type SAB(rs)a II(NSOG2)

     

    M65Leo Triplets 중 하나이다. 10인치로 볼 때 작은 크기에 속하지는 않는 듯하다. 0.41도 시야에 제법 들어온다.

    12.2등급의 별이 핵의 남서쪽에 있고 13.6등급의 별이 핵의 북동쪽에 있다. 극적인 것은 헤일로안에 14.79등급의 GAIA3969....으로 나가는 별을 봤다는 것이다. 15등급의 별도 보이는 지는 그동안 잘 몰랐다. 물론 볼 때는 15등급인지 모르고 보고 그렸다. 동쪽 끝으로는 M66 옆에 삼각형을 이루는 11등급 대의 별 두 개가 있다. 결국 별 13개와 솜 뭉치 하나가 전부이다.

    핵은 위에서 언급한 별들의 연장선 보다 약간 북쪽에 있고, 뚜렷한 것은 없지만(아마도 Nonstellar_비항성 일 듯_정확한 개념은 모름) 작은 크기의 진하고 둥근 헤일로가 있고 그 밖에 또 조금 크고 약간 흐린 둥근 헤일로가 있었다. 북쪽으로 가며 전체적인 헤일로는 약간 울퉁불퉁하고 급격히 작아진다. 남쪽으로의 헤일로는 조금 길게 밋밋하게 이어지다 어디서 끝나는지 모르게 사라진다.


    63_M65_240315_홍천B_resize.jpg



    예순네 번째 스케치 (M66, NGC3627)

     

    - 사자자리 내에 나선형 은하

    - +8.91, 10.3 x 4.6 arcmin, 11 메가파섹, 3,700 만광년, Galaxy Type SAB(s)b II (NSOG2)

     

    M66M65와 같이 Leo Triplets 중 하나이다. M65보다 조금 크고 조금 밝지만 10인치로 볼 때 조금 작게 그리고 흐리게 보인다. 아마도 하늘 탓일 수도 있을 것 같다. 말미에 스케치 타임랩스를 올렸는데 핵을 그릴 때 “C”자 모양의 핵이 보여 그리다 보니 점차 보이지 않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핵 주변이 M65보다 조금 더 울퉁불퉁하고 전체적인 헤일로의 농담이 더 보였던 것 같았는데, 결국 그 표현이 미약한 조금 밋밋한 핵이 남북으로 놓여있는 스케치가 되었다.

    Leo Triplets M66M65의 구분은 은하 바로 옆에 서쪽으로 또는 두 은하 사이에 11등급 대의 별들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쪽이 M66이다. 그리고 두 은하의 북쪽 또는 두 은하 근처에 가장 밝은 7등급 별 쪽에 NGC 3628이 있다.


    64_M66_240315_홍천B.jpg  

    은하의 가운데 별 같이 보이는 작은 하얀 점은 뭘 보고 그린 것인지 잘 보르겠다. 마지막에 찍긴 했는데...



    스케치 타임랩스를 올려본다.

    https://youtu.be/_pe6I8C57j0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021
  • 스케치
  • 늦겨울 2월 어느 밤, 남희형님 한솔형님과 천문인마을에서 관측했던 내생애 최초의 소행성.. 2012DA14. 그 느낌을 잊기 전에, 그 뽈뽈거리는 귀여운 뒷모습을 그려봐야지 그려봐야지 하다가 개천절 정오에, 예별이와 단둘이 방안에 앉아서 아크릴 물감을 꺼내 놓고 각자...
2014-01-06 05:32:21 관심은하 / 2013-10-05
thumbnail
  • 국일호 조회 수: 10552
  • 스케치
  • 첫 천문관측 스케치/Deneb & Tauruss 지난 봄에 조광욱님의 스케치 세미나를 듣고 벌써 몇달이 지난 후에야 겨우 첫 스케치를 해봤습니다. 그때 선물도 받았는데 이제야 첫 스케치를 하다니 송구합니다. 계속 하늘을 보고 있었으며 스케치도 시작했다는 보고도 드릴...
2013-10-23 23:54:00 국일호 / 2013-10-20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0994
  • 스케치
  • 오랜만에 스케치북에 연필을 잡아보았음니다. 신작 13인치 굴절의 렌즈가 만족스러워, 갑자기 그간 중단한 스케치가 막 하고싶어짐니다. 그러나, 13은 좀 쉬고[급히 밥먹으면 체할라] 오늘 저녁은 8굴절의 운전석에 앉았음니다. 40분간 관측및 스케치...... 야간비행에 ...
2014-01-06 05:34:23 김병수(양평) / 2013-12-15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9279
  • 스케치
  • 달의 북극지역의 limb 에 위치하는 유명한 피타고라스 크레이터의 중앙봉입니다. 오늘 시상이 안좋은데, 포근하여, 16돕이 잘 보여줄줄 알았는데, 400배에서 너무 어두워 치우고, 8굴절을 사용하였음니다. 2년전에도 중앙봉만 그린 5장의 스케치를 남겼는데, 스케치북째...
2014-03-07 23:50:23 비단 / 2013-12-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767
  • 스케치
  • 보름을 앞둔 토요일 오후.. 별보기 불변의 법칙, 보름달이 가까우면 닐씨가 맑은 것은 대체 왜? ㅎㅎㅎ 조석력처럼 진짜 과학적인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닐런지 ^^;; 여튼 간만에.. 아주 간만에 집 앞 공터에 15인치 돕을 폈다 집 앞에서 본다 해도 이동 거리만 짧을 뿐 ...
2022-06-04 10:43:51 replica handbags / 2014-06-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911
  • 스케치
  • 이번 추석에도 울산 미호리의 처가 전원주택에서 며칠간을 보낸다 슈퍼문인지 먼지 어짜피 보름달이라 큰 관심은 없지만 그래도 추석 보름달은 남다르지.. 초딩 1학년 조예별양 학교 숙제도 '보름달 보며 소원 빌고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얘기해주기'라서 초저녁부터 시...
2014-09-20 03:07:40 조강욱 / 2014-09-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895
  • 스케치
  • 개기월식의 하이라이트는 달의 조명이 은은한 붉은 색으로 바뀌면서 달 옆에 숨어 있던 무수한 별들이 나타나는 것인데.. 서울 도심인데다 구름도 좀 있어서 그걸 못 봐서 참 아쉬웠다.. [갤럭시노트2에 S펜과 손가락, 조강욱 (2014) ] 내년 4월 4일에는 꼭.. ^^* Night...
2014-10-11 09:43:54 조강욱 / 2014-10-10
thumbnail
  • D-1 +6 file
  • 조강욱 조회 수: 7722
  • 스케치
  • 지난주, 장인어른 생신을 맞아서 울산 처가에 놀러갔었다 일요일 새벽 이른 시간 알람을 맞추고, 집에서 20분 거리의 동네 뒷산 저수지에 D-1 달을 맞이하러 길을 나섰다 고도 10도가 채 안 되는 달이 보일까.. 발걸음을 재촉하여 저수지에 올라 보니 산등성이 사이에서...
2015-01-03 04:21:03 조강욱 / 2014-12-31
thumbnail
  • 김철규 조회 수: 9594
  • 스케치
  • 전에 만뢰산에서보다는 확실히 하늘이 좋아서 많은 별들이 보였습니다. 모두 찍으려다가는 밤샐것 같아서 도드라져 보이는 것들만 그렸는데도 이렇게 많네요. 점점 스케치가 재밌어지고 있습니다. ^^ 담에는 별 아닌 천체도 도전해 봐야 겠습니다.
2015-04-01 07:44:05 진진아빠 / 2015-03-2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907
  • 스케치
  • 스마트폰으로 전 월령 달스케치 하는 프로젝트가 이제 3개 남았다 가장 보기 어렵다는 월령 1일과, 의외로 보름 직전인 월령 13일 그리고 오늘 내일.. 월령 26일 27일 달이 남았다 지난주부터 오늘이 오기를 기다렸는데.. 아침에 아무리 찾아도 낮은 구름 사이에서 월령...
2015-05-10 17:28:01 김재곤 / 2015-04-1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