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쉰여섯, 쉰일곱 번째 스케치(M81, M78) 그리고 조경철 천문대 은하수 [스케치]
  • 조회 수: 165, 2024-03-23 15:08:35(2024-02-22)
  • 쉰여섯, 쉰일곱 번째 스케치(M81, M78) 그리고 조경철 천문대 은하수

     

     

    2월달은 두 번의 관측으로 마감하였다.

    11일 조경철 천문대에서 12시까지 한가득한 구름이 걷히기를 기다리다 이후에 맑아져 스케치와 관측을 하고 새벽녘에 은하수 촬영하시는 많은분들 틈에서 은하수 촬영도 하며 하루,

    두 번째는 단양에서 초저녁부터 옅은 구름이 들어오기 시작하던 12시쯤까지 엄청난 하늘에서 스케치와 관측,

    결국 하룻밤 관측분을 이틀에 나누어 관측한 결과가 되었다.

     

     

    쉰여섯 번째 스케치 (M81, NGC3031 ; Bode’s Nebulae)

     

    211일 설 명절 다음날, 전날 나가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며, 홍천으로 출발하였으나 중간에 눈이 온다는 연락을 받고 결국 조경철 천문대로 향하였다. 썩 좋지는 않지만 12시 전후에서 새벽까지 좋다는 CO(Clear Outside)의 예보를 믿기로 한 것이었지만 도착해서 12시까지 온 하늘이 구름이었다. 그나마 구름이 빨리 움직이며 중간에 보이는 검은 하늘은 좋아 보여 기대를 하며 기다렸다. 차에서 쉬고 있는 중에 하늘이 열렸다고 창을 두드려주는 동행에게 감사하며 망원경을 세팅하였다.

    많은 관측대상을 보지는 않았지만 조금 더 평소보다 오래 보았고, 한 장의 스케치와 C59를 슈르르까님의 20인치로 눈동냥 한 것이 큰 수확이라 하겠다. C59 Ghost of Jupiter Nebula는 주변의 동그란 헤일로 안에 각이 둥근 마름모 모양의 조금 진한 헤일로가 있고 가운데가 약간 연한 헤일로가 보였으며 헤일로들이 영역에 따라 이중 삼중으로 겹쳐서 구분이 되어 보는 맛이 있었다.

     

     

    - 큰곰자리 내에 나선형은하

    - +6.77, 21.6 x 11.2 arcmin, 3.6 메가파섹, 1,200 만광년, Galaxy Type SA(s)ab I-II(NSOG2)

     

    지난번 M82를 호핑 할 때는 d UMa(2도정도 동쪽에 있음)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이번에는 3.8등급의 λ Draconis 기안파(Gianfar)가 눈에 들어와 여기서부터 호핑을 시작하였다. 서쪽으로 약 4도정도에 서로 마주 보는 삼각별들이 있고 거기서 조금 더 가면 다시 삼각형의 별들이 보인다. 여기에서 파인더 중심에 M8182가 희미하게 보인다.

    56-1_M81_240211_조경철천문대.png


    상당히 큰 은하임에도 그동안 보아 올 때 항상 조금 큰 뿌연 헤일로가 전부인 특징이 없는 은하라고 생각하고 스케치할 생각을 안 했는데, 스케치는 하고 싶고 마땅한 대상은 없고, 또 메시에 대상들을 10인치 돕으로 가능한 많이 해보자는 생각에 일단 스케치를 시작하였다.

    은하핵 동남쪽에 두 개의 별과 남쪽에 나란한 두 개의 별이 특징적이고 남쪽 두 개의 별 중 한 개는 이중성으로 분해되어 보였다. 나머지는 하나로 보였지만 이 별 또한 이중성이다.

    핵은 보였지만 그 주의의 헤일로는 너무 작게 보이며 좀 더 헤일로가 크게 보이기를 기대하며 한참을 봐도 그리 커지지는 않았다. 다만 오래 보다 보니 북서와 동남에 나선팔로 여겨지는 헤일로가 아주 연하게 보였다. 중심핵 근처의 헤일로를 좀 더 크게 보지 못한 것이 아쉽다.

    56_M81_240211_조경철천문대.jpg



    쉰일곱 번째 스케치(M78, NGC2068, 방출 및 반사성운;Emission and Reflection Nebula )

     

    212, 조경철 천문대에서 새벽에 올라온 은하수를 간단히 촬영하고 차에서 쉬며 아침을 맞이하고 보니 너무 아쉬움이 남아 바로 단양으로 향했다. 안시관측님, 은파님, 조선광인님이 동행해 주셨다.

    일찍 도착한 단양은 너무 맑았다. 해 진지 얼마 안 되는 8시가 조금 안 된 시간이었던 것 같은데 트라페지움의 E, F가 뚜렷하게 분해 될 정도로 투명도와 시잉이 좋았다.

    다만 12시가 되고 보니 뿌연 안개와 같은 높은 구름이 가득하며 마치 새벽에 별이 하나씩 사라지듯 작은별부터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아쉬운 순간이었다.


    - 오리온자리 내에 밝은성운 (방출 및 반사성운;Emission and Reflection Nebula)

    - +8.30, 8.0 x 6.0 arcmin, 490 파섹, 1,600 광년

     

     

    오리온자리 밸트중앙의 알닐남을 파인더의 끝에 놓고 약 3도 북동쪽으로 파인더의 중앙 부분에 NGC2071에 해당하는 9.8등급의 별 두 개와 M78에 해당하는 10.8등급의 별 두 쌍이 보이며 그중 가깝고 조금 어두운 그리고 성운기가 좀 더 많은 두 쌍의 별이 있는 곳이 M78 성운이다.

    57-1_M78_240212_단양배틀재.jpg



    찾기는 쉬운데 작은 성운은 잘 안 보인다는 선입견에 잘 보지 않았던 것 같다. 그렇지만 이 성운은 보면 볼수록 성운이 커져 거의 제 크기까지 보이는 듯했다. “오래 보면 보인다는 말은 실감하기 좋은 대상인(상황) 것 같다. 물론 여러 상황이 좋아서 그런지도 모르지만 전날 M81은 아무리 오래 봐도 핵 주변의 헤일로가 더 이상 커 보이지 않은 점으로 보면 상당히 대조적이었다.

    전체적으로는 만화에 나오는 애기 유령의 눈과 몸 같다.

    10.8등급의 두 별을 중심으로 성운기가 진하게 있고, 그 별들 기준으로 오른쪽 즉 동쪽으로 옅은 성운이 분포되고, 두 별 남쪽에 13등급의 별을 중심으로 진한 성운이 다시 분포되어, 별들을 중심으로 성운의 농담의변화를 보이며 전체적으로 성운이 구름과 같이 뭉게뭉게 보이고, 스케치에도 어느 정도 반영되어 본 대로 스케치 된 듯하다.

    57_M78_240212_단양배틀재[크기변환].jpg



    12일 아침 조경철 천문대에서 촬영한 올해 첫 은하수 사진으로 한 장 무보정이다.

    벌써 전갈자리뿐 아니라 여름철 대 삼각형의 별들이 모두 보인다.

    IMG_6729.JPG

    Canon EOS 6D Mark II,

    Irix 15mm f/2.4,

    B./WAY Milky Way Night Filter 95mm,

    B./WAY Magnetic Star Soft CP-2 Filter 95mm,

    ISO 1,600,

    20 Sec,

    F/2.8,

    6240x4160 Jpeg 1ea, 무보정

    24/2/12 06:04:31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2925
  • 스케치
  • ASOD에 보낸 두점의 작품 중 등록되지 않은 스케치임니다. 전 세계 각국의 천문가가 모두 결과물을 올리는 곳이라 좀 느리고 ... 하네요. 대신에, 야간비행에 소개해 봄니다. M00N Horizon ( Along the moon limb ) 부근은 달 얼굴 전면에 비해서 극히 작은 면적이지만,...
2013-04-08 23:21:33 / 2011-11-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911
  • 스케치
  • 나를 Deep-sky 관측에 미치게 한 애가 1996년의 M22라면, 나를 스케치라는 깊은 구렁텅이에 빠뜨린 주범은 2009년의 Harold Hill 할아버지이다 1989년作 Cassini 스케치 한 장은 나에겐 실로 엄청난 충격으로 다가왔다 (윤정한 형님이 추구하는 완벽한 스케치를 접할 때...
2013-04-09 00:13:54 / 2010-02-09
thumbnail
  • M11,M22 +3 file
  • 문상혁 조회 수: 12878
  • 스케치
  • 도심속 운동장이지만 좋은 날씨에 학교 동아리 보물의 구경빨로 관측했습니다..ㅋㅋ M11의 누운 V자 아랫부분부터 왼쪽 위로 올라가는 star chain이 있었던 것도 같았는데.. 확실하게는 잘 모르겠습니다
2013-04-09 00:03:21 / 2010-09-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874
  • 스케치
  •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2985 [M82 sketch] [M82 description] 82번의 북서방향 edge의 희미한 성운기의 비밀은 아직 풀지 못했습니다 Cloudy nights 스케치 포럼의 의견도 엇갈리는 상황입니다 관련자료 link http://www.nightflig...
2012-03-28 22:23:19 / 2010-04-08
thumbnail
  • 강명우 조회 수: 12838
  • 스케치
  • 이번에는 M3입니다. 비교적 광해가 많은 경기도 양주에서 관측을 했었는데 밝은 별 옆에 솜뭉치처럼 뿌옇게 잘 보였던 기억이 나네요. 빨리 날씨가 좋아져야 되는데 걱정입니다......^^
2013-04-09 00:02:02 / 2010-09-1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746
  • 스케치
  • M41은 고대 그리스의 기록에도 남아있는 네 개의 '별이 아닌' 대상 중의 하나이다 (나머지 세 개는 44번, 7번, NGC869&884다) 흠.. 그리스가 우리나라보다 위도가 낮지도 않은데 7번은 그렇다 쳐도 41번은 왜 들어갔을까? 우리야 그게 별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보니 ...
2016-12-13 05:09:59 / 2016-12-13
no image
  • 박한규 조회 수: 12743
  • 스케치
  • http://taaa.pe.kr/bbs/zboard.php?id=nightskygallery&page=1&select_arrange=headnum&desc=asc&category=4&sn=on&ss=off&sc=off&keyword=이용혁&sn1=&divpage=1 자료 조사하다가 발견한 사이트 입니다. 국내 첨성대 회원분이...
2012-03-27 21:52:28 / 2011-04-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707
  • 스케치
  • 내가 그린 110장의 메시에 스케치 중에 특히 마음에 들지 않는 대상이 몇 개 있는데, 그 중 63번과 67번이 있다 두 장의 공통점은 100% 이상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99%와 100%의 차이는 만든 사람만 아는 것이지만 그 만든 사람은 그 그림을 볼 때마...
2017-04-14 16:08:21 조강욱 / 2017-03-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706
  • 스케치
  • 먹다버린 사과. 아령성운이란 공식 별칭보다 훨씬 먼저 사과라는 이름과 친해지게 되었다 하긴 웨이트 트레이닝보단 맛있는 사과가 낫지! 그리고, 구경을 키우거나 OⅢ 필터를 사용하면 이젠 더 이상 먹다버린 사과가 아니다. 먹기 전의 사과라고 하기엔 너무 타원형이고...
2016-10-23 14:43:34 / 2016-10-23
thumbnail
2013-04-09 00:01:41 김병수(billy) / 2010-09-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581
  • 스케치
  • 늦은 퇴근길. 김남희님의 문의 문자를 받고 목성을 한 번 봤다가 간만에 구름이 안 낀 날이길래 가볍게 간단히 스케치 한 장 하기로 한다 보름이 되기 하루 전의 달.. 간만에 맑고 투명한 달을 보겠네.. 하고 멀 그릴까 하고 여기저기 투어를 하고 있으니 당연한 듯이 구...
2012-03-28 23:15:41 / 2009-08-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551
  • 스케치
  • 밤하늘에는 여러 전설이 있어 그중 처녀자리에는 T 3형제의 전설이 대대로 내려오고 있지 꽃샘 추위가 기승을 부릴 2월말 무렵이면 성미 급한 별쟁이들은 강원도의 산속에서 밤새 추위에 덜덜 떨면서도 새벽까지 망원경을 놓지 못하는 거야 바로 메시에 완주의 마지막 ...
2017-03-04 07:55:14 진진아빠 / 2017-02-25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2523
  • 스케치
  • 달이 보름달이되고 난뒤 , 이제 다시 그믐달로 되어 가는 시작점인데, 그 시작 터미네이터는 180도 반대쪽 ,즉 달의 동부인 위난의 바다 (mare crisium )에서 그림자가 먹기 시작하네요. 그저께 끝 터미네이터는 카테나 크라프트가 있는 달 서쪽이었는데...........오늘...
2013-04-08 23:57:17 / 2011-01-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517
  • 스케치
  • 영하 10도가 넘는 강추위가 연일 이어지는 요즘입니다. 저는 추위를 안타기로 소문(?)이 난 사람이지만.. 한해씩 지나면서 점점 더 추위를 느껴가고 있습니다. 요즘은 겨울에 반팔 입고 못 다닐 정도... (산청은 서울에 비하면 너무나 따뜻하더군요.. 긴팔 옷을 입으면 ...
2013-04-09 00:00:09 / 2011-0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509
  • 스케치
  • 나에게는 M3에 대한 큰 고정관념이 있었다 바로 나의 스케치 스승님인 윤정한님의 2003년 스케치 때문이다. 무엇이 보이는가? 별다른 느낌이 들지 않으면 아래 가이드를 잘 보고 다시 보자 M3을 보며, 우리는 안시관측의 첫 번째 기적인 ‘아는 만큼 보인다’를 체험할 수...
2016-08-20 08:09:42 / 2016-08-19
thumbnail
  • 김경구 조회 수: 12488
  • 스케치
  • 12월3일 양평국제천문대에서 달이 지기를 기다리며 그린 스케치 입니다. 아직 연습이 많이 필요하네요. ㅎㅎㅎ 대상 : Moretus / 월령 : 8 날짜 : 2011년12월3일 23시~24시 장소 : 양평 국제천문대 공터 장비 : 12" 돕 / 10mm / x152 하늘 : trans 4/5 seeing 4/5
2013-04-08 23:20:31 김남희 / 2011-12-08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2473
  • 스케치
  • 장마가 물러간 직후, 이틀즘 지나서, 밤하늘이 갠 8월 20일 ~ 24일 경 즈음에 관측한 목성 스케치 임니다. 7개월 동안 못 보다 이번에 장마 끝에 보니 , 반갑고, 남적도대의 붉은 띠와 대적점도 확연히 살아나서, ... 특히, 목성의 눈인 대적점 부근이 인상깊게 화려한 ...
2013-04-08 23:33:41 / 2011-09-1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439
  • 스케치
  • 문득 오래전에 망한 대작 드라마 '백야 3.98'이 생각나서 비슷한 제목을 지었습니다 ^^;; 한참 전부터 그리고 싶던 것이 있었습니다 어느 유명한 크레이터도, 도전 대상인 희미한 열구도 아닌 달 전체의 모습.... 갈릴레이도 20배의 배율로 비슷한 모양의 달을 관측했을 ...
2012-03-28 22:35:09 / 2010-02-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90
  • 스케치
  • 25번은 보는 순간 오~ 하는 탄성을 부르게 할만한 궁수자리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25번이 어떻게 생겼더라? 잘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은 워낙에 인물이 많은 궁수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25번의 중심부에는 두 줄기의 스타체인이 동서로 뻗으며 흡사 석호성운의 암흑대와 ...
2016-10-16 03:50:46 / 2016-10-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80
  • 스케치
  •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3697 ASOD, 2011년 6월 28일자 http://www.asod.info/?p=6037 3주에 걸친 지겨운 장마가 끝나고, 비가 그치자마자 바로 숨막히는 더위.. 그래도 회사 회의실 너머로 보이는 풍경이 수채화처럼 투명한 것이 ...
2013-04-08 23:35:15 / 2011-07-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