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쉰다섯 번째 스케치(C10, NGC 663) [스케치]
  • 조회 수: 172, 2024-03-23 15:10:43(2024-01-28)
  • 지난번에 이어 이번에도 카시오페이아 근처의 천체를 스케치하게 되었다. 내가 다닌 관측지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방향 및 고도였던 것도 같다.

    이번 스케치는 세 번의 시도 끝에 완성되었지만 만족하지 못한 결과를 보여 준다. 관측지의 하늘과 집중의 문제라 생각해 본다.

    첫 번째 시도는 여러 일정으로 23년의 마지막 관측이었던 지난 1212일 처음 간 석모도인데, 듣던 데로 가로등과 광해가 있었지만 북서쪽 카시오페이아가 있는 하늘은 나름 볼만 했다. 벗고개보다는 조금 나은 듯하다. 한참 스케치하던 도중 펜슬이 일을 안 해서 중단하고.

    두 번째는 올 첫 관측인 15일 조경철천문대에서 이어 스케치하려고 준비하고 보니 석모도 보다 더 안 보여서 중단, 아마 이후에 조금 좋아지긴 했지만 보는 즐거움에 쉽사리 다시 시작하지 못했다.

    그리고 다시 17일 홍천, 해 떨어지기 전에 도착해서 오랜만에 초저녁부터 긴 시간 관측한 날이다. 하늘이 평소 홍천에 비해 좀 그렇지만 석모도 보다는 더 많은 별 들이 보여 마무리하였다.

     

    쉰다섯 번째 스케치 (C10, NGC663, Open Cluster)

     

    - 카시오페이아 내에 산개성단

    - +7.09, 14.0 arcmin, 2.4 킬로파섹, 7,900 광년, Tr Type III3(집중은 없으나 주변과 분리는 되고 밝고 어두운 별이 혼재함_NSOG1)

     

    카시오페이아의 네 번째 별 델타 루크바에서(Delta Cassiopeiae Ruchbah) 약 1도 떨어진 M103을 잇는 연장선을 1.6도 연장 한 위치에 C10 NGC663이 있다. 그리고 60mm 파인더에 양 끝에 루크바와 세긴을 최대한 붙이면 가운데에서 성단을 구분을 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시야각 0.85120배 아이피스로 보면 바로 찾을 수 있다.


    55-1_C10_NGC663_240107_홍천B.jpg



    3번에 걸쳐 스케치하다 보니 다른 대상에 비해 좀 더 오래 봤을 텐데 이상하리만치 결과는 그리 좋아 보이지 않는다. 우선 별의 색상을 전혀 표시하지 못했다. 또한 3개의 큰 이중성 중 SAO11968의 짝을 그리지 못했다. 11.4 등급 이었는데 왜 못 그렸는지 모르겠다. 분명 못 볼 수 없고 안 보일 리 없는데, 아마 작은 것은 나중에 그리려고 하다 중단되며 잊은 듯하다.

    그나마 표시한 별수가 NSOG에 나와 있는 별수 74(8/10“ 100, 15)보다 조금 많은 78개를 표시하였다. 이는 12/14” 100, 16분에서 80개와 비슷한 개수로 아마도 171배로 관측한 효과이지 않을까 생각된다.

     

    전체적인 모양은 중심에 이중성 두 개를 포함한 삼각형과 그 북쪽으로 밝은 별이 두 개씩 연결된 스타체인과 삼각형 아래 북에 남으로 조금씩 벌어지는 듯한 스타체인이 눈에 띈다.


    55_C10_NGC663_240107_홍천B-1[크기변환].jpg





    추가로 관측 후 찍은 기록용 사진도 추가해 본다.

    55-2_C10_NGC663_240107_홍천B.JPG

    10“Dob+EQP M1, Canon6D Mark II+Universal Paracorr, ISO 3,200, 6 Sec, Jpeg 1ea, 23/12/13 02:32

댓글 2

  • 조강욱

    2024.02.09 06:48

    확대해서 보니 밝은 별들은 빛번짐도 깨일같이 그려 주셨네요 넘 좋습니다 ㅎㅎ
  • 이동근

    2024.02.21 21:36

    감사합니다. 이곳에 댓글이 있으리라 예상 하지 못했습니다.

    별들의 빛 번짐은 매번 표시하는 것은 아니고 브러쉬를 만들때 빛 번짐(별에 가시) 모양으로 그려 브러쉬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결국 점 찍듯이 한번 찍으면 빛이 번지는 별이 됩니다. 별의 크기가 크면 더 잘 보이기는 합니다.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432
  • 스케치
  • 문득 오래전에 망한 대작 드라마 '백야 3.98'이 생각나서 비슷한 제목을 지었습니다 ^^;; 한참 전부터 그리고 싶던 것이 있었습니다 어느 유명한 크레이터도, 도전 대상인 희미한 열구도 아닌 달 전체의 모습.... 갈릴레이도 20배의 배율로 비슷한 모양의 달을 관측했을 ...
2012-03-28 22:35:09 / 2010-02-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205
  • 스케치
  • Halold Hill의 스케치를 처음 접했을 때의 놀라움과 충격을, 저는 아직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96년 임진각 주차장에서 M22를 처음 봤을 때의 감격처럼..... 영원히 기억에 남을 것입니다 입으로만 스케치를 하면서 몇년간 게으름을 부리고 있던 저를, 정신이 번쩍 ...
2013-04-09 00:13:02 / 2010-03-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868
  • 스케치
  •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2985 [M82 sketch] [M82 description] 82번의 북서방향 edge의 희미한 성운기의 비밀은 아직 풀지 못했습니다 Cloudy nights 스케치 포럼의 의견도 엇갈리는 상황입니다 관련자료 link http://www.nightflig...
2012-03-28 22:23:19 / 2010-04-08
thumbnail
  • 강명우 조회 수: 13366
  • 스케치
  • - 일시 : 2009. 1. 28 - 장소 : 송암천문대 주차장 - 망원경(경통) : 75 SDHF - 가대(삼각대) : 자이로미니 + 맨프로토055 밝은 성단이 두개가 있다는것 말고는 다른 특징이 없었네요. 밝은별은 십자선으로 표현을 했습니다. 스케치를 70분 정도 했는데도 시야에 모든 ...
2013-04-09 00:12:36 / 2010-09-05
thumbnail
  • M11,M22 +3 file
  • 문상혁 조회 수: 12869
  • 스케치
  • 도심속 운동장이지만 좋은 날씨에 학교 동아리 보물의 구경빨로 관측했습니다..ㅋㅋ M11의 누운 V자 아랫부분부터 왼쪽 위로 올라가는 star chain이 있었던 것도 같았는데.. 확실하게는 잘 모르겠습니다
2013-04-09 00:03:21 / 2010-09-08
thumbnail
  • M57 .... +10 file
  • 김지현 조회 수: 12359
  • 스케치
  • 지난 3월 천문인 마을에서 그린 M57입니다. 얼어붙은 손을 호호 불던 기억이 새롭게 떠오릅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아름답고, 가장 커다란 미술관은... 하늘이 아닐까 생각해보았습니다. 하늘 미술관의 멋진 작품들을 망원경과 눈동자와 손끝으로 더 자주.....
2013-04-09 00:02:38 / 2010-09-10
thumbnail
  • 강명우 조회 수: 12825
  • 스케치
  • 이번에는 M3입니다. 비교적 광해가 많은 경기도 양주에서 관측을 했었는데 밝은 별 옆에 솜뭉치처럼 뿌옇게 잘 보였던 기억이 나네요. 빨리 날씨가 좋아져야 되는데 걱정입니다......^^
2013-04-09 00:02:02 / 2010-09-1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725
  • 스케치
  • 호주에서 그린 세번째 스케치. 5139번이 오늘자 (100913) ASOD에 게재되었습니다 http://www.asod.info/?p=3572 너무 자주 올리는 것 같아서.. 이제는 좀 자제하려고요.. ㅡ_ㅡㅋㅋ 원본은 하얀 스케치북에 샤프로 그렸는데.. ASOD에는 흑백 반전한 그림을 올렸습니다 어...
2012-03-28 22:14:32 / 2010-09-14
thumbnail
2013-04-09 00:01:41 김병수(billy) / 2010-09-18
thumbnail
  • M29 +1 file
  • 강명우 조회 수: 11990
  • 스케치
  • M29 입니다. 나비를 연상케하는 이쁜 산개성단입니다. ^^ 추석은 다들 잘보내셨는지요?? 위, 아래 두 성운끼 안으로 위쪽에 세개 아랫쪽에 세개의 별이 굉장히 이쁘게 잘 보입니다. ^^ 한번 찾아보세요~
2013-04-09 00:01:20 / 2010-09-2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