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쉰다섯 번째 스케치(C10, NGC 663) [스케치]
  • 조회 수: 172, 2024-03-23 15:10:43(2024-01-28)
  • 지난번에 이어 이번에도 카시오페이아 근처의 천체를 스케치하게 되었다. 내가 다닌 관측지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방향 및 고도였던 것도 같다.

    이번 스케치는 세 번의 시도 끝에 완성되었지만 만족하지 못한 결과를 보여 준다. 관측지의 하늘과 집중의 문제라 생각해 본다.

    첫 번째 시도는 여러 일정으로 23년의 마지막 관측이었던 지난 1212일 처음 간 석모도인데, 듣던 데로 가로등과 광해가 있었지만 북서쪽 카시오페이아가 있는 하늘은 나름 볼만 했다. 벗고개보다는 조금 나은 듯하다. 한참 스케치하던 도중 펜슬이 일을 안 해서 중단하고.

    두 번째는 올 첫 관측인 15일 조경철천문대에서 이어 스케치하려고 준비하고 보니 석모도 보다 더 안 보여서 중단, 아마 이후에 조금 좋아지긴 했지만 보는 즐거움에 쉽사리 다시 시작하지 못했다.

    그리고 다시 17일 홍천, 해 떨어지기 전에 도착해서 오랜만에 초저녁부터 긴 시간 관측한 날이다. 하늘이 평소 홍천에 비해 좀 그렇지만 석모도 보다는 더 많은 별 들이 보여 마무리하였다.

     

    쉰다섯 번째 스케치 (C10, NGC663, Open Cluster)

     

    - 카시오페이아 내에 산개성단

    - +7.09, 14.0 arcmin, 2.4 킬로파섹, 7,900 광년, Tr Type III3(집중은 없으나 주변과 분리는 되고 밝고 어두운 별이 혼재함_NSOG1)

     

    카시오페이아의 네 번째 별 델타 루크바에서(Delta Cassiopeiae Ruchbah) 약 1도 떨어진 M103을 잇는 연장선을 1.6도 연장 한 위치에 C10 NGC663이 있다. 그리고 60mm 파인더에 양 끝에 루크바와 세긴을 최대한 붙이면 가운데에서 성단을 구분을 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시야각 0.85120배 아이피스로 보면 바로 찾을 수 있다.


    55-1_C10_NGC663_240107_홍천B.jpg



    3번에 걸쳐 스케치하다 보니 다른 대상에 비해 좀 더 오래 봤을 텐데 이상하리만치 결과는 그리 좋아 보이지 않는다. 우선 별의 색상을 전혀 표시하지 못했다. 또한 3개의 큰 이중성 중 SAO11968의 짝을 그리지 못했다. 11.4 등급 이었는데 왜 못 그렸는지 모르겠다. 분명 못 볼 수 없고 안 보일 리 없는데, 아마 작은 것은 나중에 그리려고 하다 중단되며 잊은 듯하다.

    그나마 표시한 별수가 NSOG에 나와 있는 별수 74(8/10“ 100, 15)보다 조금 많은 78개를 표시하였다. 이는 12/14” 100, 16분에서 80개와 비슷한 개수로 아마도 171배로 관측한 효과이지 않을까 생각된다.

     

    전체적인 모양은 중심에 이중성 두 개를 포함한 삼각형과 그 북쪽으로 밝은 별이 두 개씩 연결된 스타체인과 삼각형 아래 북에 남으로 조금씩 벌어지는 듯한 스타체인이 눈에 띈다.


    55_C10_NGC663_240107_홍천B-1[크기변환].jpg





    추가로 관측 후 찍은 기록용 사진도 추가해 본다.

    55-2_C10_NGC663_240107_홍천B.JPG

    10“Dob+EQP M1, Canon6D Mark II+Universal Paracorr, ISO 3,200, 6 Sec, Jpeg 1ea, 23/12/13 02:32

댓글 2

  • 조강욱

    2024.02.09 06:48

    확대해서 보니 밝은 별들은 빛번짐도 깨일같이 그려 주셨네요 넘 좋습니다 ㅎㅎ
  • 이동근

    2024.02.21 21:36

    감사합니다. 이곳에 댓글이 있으리라 예상 하지 못했습니다.

    별들의 빛 번짐은 매번 표시하는 것은 아니고 브러쉬를 만들때 빛 번짐(별에 가시) 모양으로 그려 브러쉬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결국 점 찍듯이 한번 찍으면 빛이 번지는 별이 됩니다. 별의 크기가 크면 더 잘 보이기는 합니다.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01
  • 스케치
  • Leo Triple의 스케치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거의 1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2013년 6월에 보현산 주차장에서 그리다가 구름 때문에 완성을 보지 못한 것을 10개월이나 지나서 벗고개에서 다시 본 것이다 물론, 그 긴 시간동안 세 은하들에선 아무 일도 없었다 그 주변의 별...
2017-04-14 04:57:50 / 2017-04-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30
  • 스케치
  • 별에 미쳐서 공부도 안 하고 산과 들을 떠돌다가 선동렬 방어율 수준의 학점을 받아들고 남들보다 빨리 군입대를 하게 되었다 논산 훈련소에서 박박 기고 있을 때도 한달 뒤면 최전방에서 엄청난 은하수를 볼 꿈에 부풀어 있었는데 자대에 도착해보니.. 그곳은 용산 전...
2016-11-11 15:19:16 / 2016-11-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39
  • 스케치
  • 안시로, 또는 사진으로 메시에 전 대상을 관측한 사람은 꽤 많다 하지만 M59가 어떻게 생겼는지 기억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스케치를 한 나조차도 메시에 마라톤 순서인 "T2 옆에 58-59-60" 밖에 기억이 나지 않아서 내 스케치를 다시 찾아보았다 작은 솜뭉치. ...
2017-02-28 04:18:48 / 2017-02-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51
  • 스케치
  • 북반구 중위도에 사는 관측자에게 M13은 특별한 존재이다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보기 좋은 구상성단’이기 때문이다. 과연 진짜로 그럴까? 전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구상성단부터 순서를 매겨 보자. 13번의 위치는 Top 5에도 들지 못하고 겨우 7번째에 이름을 올리고 ...
2016-09-08 05:11:55 조강욱 / 2016-09-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73
  • 스케치
  • 2009년 가을 어느날의 천문인마을은 너무나도 맑았다 그리고 지난번 글에서 떠든 주변시도 필요 없이 굵은 나선팔들이 너무 쉽게 휙휙 돌았다 언제 다시 이런 33번을 또 볼 수 있을까 하나 문제는, 내 실력이 그 나선팔을 표현할 정도가 아직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나...
2016-12-05 13:43:51 조강욱 / 2016-1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567
  • 스케치
  • 14번을 찾아가는 길은 쉽지 않다 1년에 한 번(메시에마라톤) 밖에 찾지 않아서 이기도 하고 호핑 루트에 밝은 별이나 특징적인 별무리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흠 그럼 보이는 모습은? 그렇게 대충 봐서 기억이 날 리가 없지 2014년 여름휴가는 횡성의 천문인마을에서 ...
2016-09-14 07:48:09 조강욱 / 2016-09-07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1576
  • 스케치
  • 1년이 다되어 가는 지난작품인데, 달남부 쉴러, 클라비우스의 지평선 지역임니다. 척 봤을때, 동남아 국가의 불탑 같이 느껴지는 풍경이었음니다. 120km 구간의 디테일이 도저히 3-4시간에 그려낼수없이 방대하여, 개략적으로 그렸음니다. 따라서, A급 스케치가 되지못...
2013-04-08 21:24:30 이한솔 / 2012-12-02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1586
  • 스케치
  • 두 달전에 관측했던 지역인데, 잘 된 작품이라 생각되어 여기 올림니다. ........알키메데스 화구에서 플라토 화구 쪽으로 쭉 올라가면 지평선과 만나는 장소임니다. 화면의 큰 분화구는 지름 6-70 킬로미터 돼 보임니다. 암흑의 어둠속에 양광을 받아 반짝거리는 아주 ...
2013-04-08 23:57:32 / 2011-01-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13
  • 스케치
  • 하늘에 57 같은 아이가 또 있을까? 망원경이 크던작던 서울이던 시골이던 초보라도 고수라도 맑던 흐리던 천정인지 지평선인지 아무 관계 없이 57번 고리성운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온전히 모두 내어준다 (이 봉사는 11번이나 42번의 그것과는 또 다르다) 그리고 ...
2017-02-17 04:31:14 / 2017-02-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15
  • 스케치
  • 밤하늘에는 안시용 대상과 사진용 대상이 있다 물론 밤하늘의 성자 57번처럼 안시로도 사진으로도 모두 만족스러운 대상도 있지만 말이다. 나는 안시쟁이라 장시간 노출로만 화려하게 나오는 희미한 성운류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아무리 해도 사진 만큼의 감동을 느끼...
2016-09-14 07:48:37 / 2016-09-10
thumbnail
  • 십자성 조회 수: 11676
  • 스케치
  • 이 그림은 어젯밤 작성한 것인데, 가타나와 같이 올려봄니다. 올가을 부터 가동을 시작한 장비가 관측 효율이 매우 높아, 주로 달관측에 활용하고있음니다. 당분간은 달에 전념할거 같음니다. 가끔 딮슥하이도 보고 싶기는 한데......여기 올린 지역은 특이하게 분화구B...
2013-04-08 23:58:09 / 2011-0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97
  • 스케치
  • 2013년 2월. 지구 최근접 소행성이 지나간 날이었다 거 기왕 지나가는거 주말에 지나가면 좋으련만.. 금요일 저녁이다 한 주의 피로를 한가득 안고 퇴근하자 마자 밥도 안 먹고 짐 챙겨서 천문인마을로 출발. 불금의 정체를 뚫고 자정이나 되어서야 시린 늦겨울 별들과 ...
2017-04-18 03:37:26 / 2017-04-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734
  • 스케치
  • 관측 기록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2903 겨울 밤하늘에는 환상의 짝궁이 몇 커플 있습니다 M46 & NGC2438 도 있고, NGC2207 & IC2163 도 있고.. 더 생각해보면 M44와 NGC2624 일당들, IC434와 B33, NGC2362와 큰개Tau, M42/43과 NGC1976, ...
2012-03-28 22:44:28 / 2010-01-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774
  • 스케치
  • 소모적(이라고 말하면 내 일과 삶이 너무 허무해 지지만)이고 물리적, 정신적으로 여유를 가지기 어려운 생활을 이어오다보니.. 스케치 게시판에 글을 올린지도 벌써 반년이 지났다 (별보러 갔다 온지도 4개월이 되었다) 일전에 안철수 교수의 인터뷰를 퇴근길에 DMB로 ...
2012-04-08 07:40:24 빌리 / 2012-01-0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35
  • 스케치
  • 71번은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대상이다 이게 정말 구상성단이 맞을까? 생긴거는 꼭 산개성단 M11 비슷하게 생겼는데.. 우리들 뿐 아니라 천문학자들도 1970년대까지는 M71을 산개성단으로 분류해 놓았었다 최근에야 구성 별들의 성분 분석을 통해 구상성단임이 밝혀진...
2017-07-10 03:21:16 / 2017-07-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41
  • 스케치
  • 1841년, 남쪽 하늘에 갑자기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 생겼다 그렇다고 초신성도 아니고..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질량이 큰 별인 카리나자리 에타별에서 분출된 물질들로 인하여 그렇게 밝아진 것이다. 이름하여 "The giant eruptions" 지겹도록 봐 온 사진이지만, 그 비...
2012-03-28 02:00:10 / 2010-09-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4
  • 스케치
  • 20년 전, 대학생이 되면 꼭 김광석의 라이브 공연에 가보고 천문동아리에 들어서 망원경으로 하늘을 보고 싶다는 두가지 명확한 소망을 가진 고3 학생이 있었다 그러나 대학교 원서 내고 오는 길에 신문 가판대에서 김광석 사망 기사를 만났고 아직 동아리방도 구하지 ...
2016-10-13 09:07:44 김재곤 / 2016-09-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6
  • 스케치
  • 미국의 안시 관측가인 Steve Coe 할아버지가 말씀하셨다는 유명한 별동네 격언(?)이 있다 "만약 내가 오리온 대성운을 보는 것이 지겨워질 때가 온다면 그 때는 내 장례식 날짜를 잡아야 할 것이다" 언제 왜 그런 얘기를 한 것인지 아쉽게도 그 원문은 찾을 수 없었지만...
2016-12-14 04:26:55 / 2016-12-14
thumbnail
  • 문상혁 조회 수: 11911
  • 스케치
  • 거의 관측 할 때 마다 본 대상이지만 스케치하는것은 처음이네요 저배율로 전체적으로 그린 후 밀집지역은 고배율 아이피스로 갈아끼워서 스케치했습니다 항상 학교 운동장에서 관측할 수밖에 없다보니 광해를 벗어날 수가 없네요.. 학교 불 꺼진 후에는 그나마 나아졌...
2013-04-09 00:00:27 / 2010-10-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917
  • 스케치
  • 54번은 그저 평범한, 구상성단으로서는 적당한 크기의 적당한 밝기의 아이지만 나름 꽤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성단 내부의 별 배치와 헤일로가 반대 방향으로 보이는 것이다 구상성단의 분해되지 않는 외곽 부분의 성운기를 뭐라고 불러야 맞는 것인지는 나도 잘 모...
2017-02-11 04:21:39 / 2017-02-1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