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멜버른의 하늘 스케치 [스케치]
  • 조회 수: 3083, 2019-04-23 07:44:43(2019-03-08)
  • 안녕하세요?

    올해 한해 1년간 멜버른에 업무차 장기 출장을 나오게 되었습니다.


    출장간 김에 남천의 하늘을 보고 있습니다. 김남희님께 뺏아온(?) 12인치 트래블돕은 아직 한국에서 발송 대기 중이라서 아쉽지만 핸드캐리해 온

    3인치 굴절로 보고 있습니다. ASV라는 빅토리아 주의 Astronomical Society of Victoria에 멤버 가입을 하였습니다. 다음주에 멤버 미팅에 한번

    얼굴 내밀어 볼 생각인데 두근두근이네요.


    아직까지는 여러가지 이유로, 어두운 곳까지 갈 엄두는 못내고 있고, 교외의 집 뒷마당에서만 관측하고 있습니다. sqm 18.6정도의 poor한 관측지이지만

    그래도 뒷마당에서 해먹 타며 여유롭게 아이들과 하늘을 맘껏 보니 너무 행복합니다.


    한국에서와는 다르게 매일밤 구름만 걷히고 달만 지면 여유롭게 별을 보니 시간이 많습니다. 저번주에는 딸 아들과 보다가, 딸래미에게 호핑을 가르쳐주었고,

    드디어 딸래미가 호핑에 처음으로 성공했습니다! 자신의 힘으로 센타우르스 자리의 리길 => 남십자성의 becrux로 올라가 jewel box를 찾았고,

    다음 난이도로, 센타우르스 자리아 Alnzir와 Muhlifain 중간의 Omega Centauri도 찾아냈습니다.  저와 딸에게는 정말 평생 기억에 남을 소중한 밤이었습니다.

    그날 밤 동남쪽의 하늘의 별들을 스케치 한 후, 다음날 아래쪽 삽화를 추가해 그려보았습니다.

    (아래 그림을 살짝 왼쪽으로 45도 돌려주어야 실제 보이는 하늘 모습입니다)


    Melbournesky1_500.jpg


    위 별자리 스케치 후 그렸던 남서쪽 하늘도 추가합니다. 왼쪽이 카노푸스, 오른쪽이 시리우스입니다.

    중간에 비둘기 자리가 보이는 듯 한데, 이쪽 하늘이 워낙 밝아서 별이 그닥 많이 보이지는 않습니다.

    Melbournesky2_500.jpg


    아래는 딸래미가 호핑 후 스케치한 Jewel box입니다.

    SY_JewelBox_500.jpg


    이외에도 지난 3주간에 걸쳐 Jewel box, Omega centauri, Southern pleiades, Eta carinae 등을 스케치 해보았지만 3인치 + 광해 + 막눈 으로 인해

    그닥 개별적으로는 볼만 한 스케치는 나오지 못했습니다. 그냥 3인치로, 광해지에서 보이는 남천하늘에 대한 기록을 남겨보는데 혹시 의미가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JewelBox500.jpg

    Omegacentauri_500.jpg EtaCarinae_500.jpg


    또 다른 스케치에 분발해 보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댓글 6

  • 김남희

    2019.03.08 07:22

    우와.. 보기만해도 부러움이 생기는군요. 호랭이 작가분은 이제 남반구 별도사로 등극하겠네요.ㅎ
  • 김선영

    2019.03.09 06:48

    별도사라니요..ㅎㅎ 비행기 불빛과 별빛도 구분못하는 허당인줄 아시면서요..ㅎㅎ

    늘 감사합니다 

  • Profile

    김원준

    2019.03.12 00:57

    흐뭇하시겟어요^^
  • 김선영

    2019.04.23 07:43

    ㅎㅎ 딸래미와 보는게 큰 행복입니다

    감사합니다 

  • 조강욱

    2019.04.14 07:19

    저는 3372는 아직 엄두를 못내고 있습니다.. ㅎㅎㅎ
  • 김선영

    2019.04.23 07:44

    3인치라 가능했던듯 합니다..

    저도 얼마전 도착한 12인치로보고 바로

    포기했습니다 ㅎㅎㅎ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513
  • 스케치
  • 영하 10도가 넘는 강추위가 연일 이어지는 요즘입니다. 저는 추위를 안타기로 소문(?)이 난 사람이지만.. 한해씩 지나면서 점점 더 추위를 느껴가고 있습니다. 요즘은 겨울에 반팔 입고 못 다닐 정도... (산청은 서울에 비하면 너무나 따뜻하더군요.. 긴팔 옷을 입으면 ...
2013-04-09 00:00:09 / 2011-0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490
  • 스케치
  • 나에게는 M3에 대한 큰 고정관념이 있었다 바로 나의 스케치 스승님인 윤정한님의 2003년 스케치 때문이다. 무엇이 보이는가? 별다른 느낌이 들지 않으면 아래 가이드를 잘 보고 다시 보자 M3을 보며, 우리는 안시관측의 첫 번째 기적인 ‘아는 만큼 보인다’를 체험할 수...
2016-08-20 08:09:42 / 2016-08-19
thumbnail
  • 김경구 조회 수: 12486
  • 스케치
  • 12월3일 양평국제천문대에서 달이 지기를 기다리며 그린 스케치 입니다. 아직 연습이 많이 필요하네요. ㅎㅎㅎ 대상 : Moretus / 월령 : 8 날짜 : 2011년12월3일 23시~24시 장소 : 양평 국제천문대 공터 장비 : 12" 돕 / 10mm / x152 하늘 : trans 4/5 seeing 4/5
2013-04-08 23:20:31 김남희 / 2011-12-08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2464
  • 스케치
  • 장마가 물러간 직후, 이틀즘 지나서, 밤하늘이 갠 8월 20일 ~ 24일 경 즈음에 관측한 목성 스케치 임니다. 7개월 동안 못 보다 이번에 장마 끝에 보니 , 반갑고, 남적도대의 붉은 띠와 대적점도 확연히 살아나서, ... 특히, 목성의 눈인 대적점 부근이 인상깊게 화려한 ...
2013-04-08 23:33:41 / 2011-09-12
no image
  • 이영희 조회 수: 12438
  • 일반
  • Saguaro Astromy Club homepage에 있는 AstroByte Logging Software 를 소개합니다( http://www.saguaroastro.org/content/downloads.htm ). 1. 모든 관측활동 혹은 과정을 문서화 할 수 있으며 2. 모든 log을 report할 수 있는 기능 3. 노트북이 있다면 관측지에서 노트...
2012-03-28 23:24:58 / 2005-03-0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432
  • 스케치
  • 문득 오래전에 망한 대작 드라마 '백야 3.98'이 생각나서 비슷한 제목을 지었습니다 ^^;; 한참 전부터 그리고 싶던 것이 있었습니다 어느 유명한 크레이터도, 도전 대상인 희미한 열구도 아닌 달 전체의 모습.... 갈릴레이도 20배의 배율로 비슷한 모양의 달을 관측했을 ...
2012-03-28 22:35:09 / 2010-02-23
thumbnail
  • NGC7479 +2 file
  • 이건호 조회 수: 12405
  • 사진
  • 천문인마을 스타파티에서 요청하신 사진입니다. 막눈으로 판정하면, 별이 아닌 나선 팔의 불규칙한 부분으로 보입니다. 덕분에 파전 맛있게 먹었습니다. 종종 내기 하십시요. ㅎㅎ
2013-04-08 23:07:25 / 2005-10-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73
  • 스케치
  •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3697 ASOD, 2011년 6월 28일자 http://www.asod.info/?p=6037 3주에 걸친 지겨운 장마가 끝나고, 비가 그치자마자 바로 숨막히는 더위.. 그래도 회사 회의실 너머로 보이는 풍경이 수채화처럼 투명한 것이 ...
2013-04-08 23:35:15 / 2011-07-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68
  • 스케치
  • 25번은 보는 순간 오~ 하는 탄성을 부르게 할만한 궁수자리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25번이 어떻게 생겼더라? 잘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은 워낙에 인물이 많은 궁수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25번의 중심부에는 두 줄기의 스타체인이 동서로 뻗으며 흡사 석호성운의 암흑대와 ...
2016-10-16 03:50:46 / 2016-10-16
thumbnail
  • M57 .... +10 file
  • 김지현 조회 수: 12359
  • 스케치
  • 지난 3월 천문인 마을에서 그린 M57입니다. 얼어붙은 손을 호호 불던 기억이 새롭게 떠오릅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아름답고, 가장 커다란 미술관은... 하늘이 아닐까 생각해보았습니다. 하늘 미술관의 멋진 작품들을 망원경과 눈동자와 손끝으로 더 자주.....
2013-04-09 00:02:38 / 2010-09-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47
  • 스케치
  • 집에 있는 6만원짜리 적도의(EQ2)로 첫 관측 후 실망하여 남희님께 그냥 드리겠다고 양도도 아닌 떠넘기기를 선언했었는데.. http://www.nightflight.or.kr/xe/free/29978 10월 어느 달이 밝은 밤.. 그냥 문득 달이 보고싶어졌다 그리고 이전 관측에서 무게추를 안 가져...
2011-12-07 18:20:26 / 2011-1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193
  • 스케치
  • 10번은 뱀주인자리 5형제(비록 노잼 5형제지만) 중의 맏형이다. 북천 트로이카 13번, 5번, 3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아이지만 말이다 그렇다 해도 볼 것이 없는 것은 아니다 모든 구상성단은 저마다의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그 중 10번은 구상 중에서도 참 ...
2016-09-08 05:25:37 조강욱 / 2016-08-30
no image
2013-04-08 23:02:54 / 2005-03-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98
  • 스케치
  • 69 - 70 - 54. 딱 거기까지다 별을 좀 본다는 사람들도 궁수자리 바닥에 위치한 세 개의 작은 구상성단의 순서, 69번 → 70번 → 54번.. 그 이상의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리 밝지도 특이하지도 않은 애들이기 때문이다. 우주 상에서 그리 큰 관계가 없을 두 성...
2017-06-25 06:18:54 / 2017-06-25
thumbnail
2013-04-08 23:11:10 최형주 / 2012-06-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40
  • 스케치
  • 원래 계획은 메시에 110개 스케치를 모두 완성한 다음 날부터 칼럼 연재를 시작하려 했는데, 별 이유 없이 차일피일 미루게 된 것은 M9번 때문이었다 흠 그래 1번은 1054년 얘기 쓰고 2번은 꽃게 쓰고 3번은 고속도로 4번은 하트... 하다 보니.. 9번은 뭘 쓰지? 쓸 말이...
2016-08-30 07:49:18 조강욱 / 2016-08-29
thumbnail
  • M29 +1 file
  • 강명우 조회 수: 11990
  • 스케치
  • M29 입니다. 나비를 연상케하는 이쁜 산개성단입니다. ^^ 추석은 다들 잘보내셨는지요?? 위, 아래 두 성운끼 안으로 위쪽에 세개 아랫쪽에 세개의 별이 굉장히 이쁘게 잘 보입니다. ^^ 한번 찾아보세요~
2013-04-09 00:01:20 / 2010-09-25
thumbnail
  • 박상구 조회 수: 11962
  • 스케치
  • 올 여름 장마는 유난히 지루하게 느껴집니다. 장마에 바쁜 일정까지 겹쳐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밤하늘에 아무 것도 안보이면 기력이 빠지는 느낌인데 어쩌다 맑은 날이 와도 야근이니... 그래도 인터넷에서 쓸만한 사진을 찾아서 그려보는 연습은 할 수 있어 다...
2013-08-01 21:11:07 조강욱 / 2013-07-30
thumbnail
  • 서강일 조회 수: 11922
  • 스케치
  • 2012년 11월 이후에 못하던 관측을 다시 시작하면서! 소규모 10대 친구들과 함께 강원도 귀래면에 있는 귀래정에서 관측을 진행했습니다. 날이 좋았는데 일요일에 비가 오려고 해서 그런건지.... 계속 연무가 끼고, 날이 풀리면서 산에서 도랑으로 물이흘러 안개가 약간...
2013-04-08 21:23:55 서강일 / 2013-03-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917
  • 스케치
  • 54번은 그저 평범한, 구상성단으로서는 적당한 크기의 적당한 밝기의 아이지만 나름 꽤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성단 내부의 별 배치와 헤일로가 반대 방향으로 보이는 것이다 구상성단의 분해되지 않는 외곽 부분의 성운기를 뭐라고 불러야 맞는 것인지는 나도 잘 모...
2017-02-11 04:21:39 / 2017-02-11

XE Login